• Title/Summary/Keyword: 광도만

Search Result 1,28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접촉쌍성 AA UMa의 재검토

  • Song, Mi-Hwa;Kim, Cheon-Hwi;U, Su-Wa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46.2-146.2
    • /
    • 2012
  • 2008년부터 2012년에 걸친 관측기간 동안 총 21일간 관측하여 AA UMa의 BVRI 광도 곡선을 획득하였다. AA UMa의 I 필터 광도 곡선은 이번에 처음으로 얻어진 것이다. 또한 극심시각을 추가적으로 획득하기 위하여 2005 ~ 2008년까지 총 8일간 AA UMa의 극심 부근의 측광관측을 수행하였고, SuperWASP에서 공개하는 AA UMa의 측광 자료를 수집하여 총 31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결정하였다. 우리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포함하여 83년 동안의 AA UMa 극심시각을 수집하여 총 250개의 극심시각으로 주기 변화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AA UMa 계는 $3.30{\times}10^{-11}d/yr$의 영년 주기 증가 위에 58.7년의 주기적인 변화가 겹쳐 발생한다. 주기적인 변화의 원인이 제3천체에 의해 발생한다고 가정했을 때 제3천체의 최소 질량은 $0.28M_{\odot}$이다. 이전 연구자의 광도곡선(Meinunger(1976), Wang et al.(1988), Lee et al(2011))을 수집하여 우리의 광도곡선(2008, 2012)과 함께 각각 주기변화가 보정된 통일된 기산점을 사용하여 광도곡선을 분석하였다. 모든 광도곡선에서 0.75 위상에서 밝기가 더 어두워지는 O'Connell effect가 발생하였고, 일부 광도곡선은 부식에서 식의 깊이가 주식보다 깊어지는 시기를 가진다. 이는 스펙트럼 유형이 F0-F5보다 만기형 별에서 흑점이 부식의 깊이에 영향을 주어 주식보다 깊어지는 AC Boo, TY UMa 등에서 보여 지는 특징이다. 우리는 W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광도곡선 중 B-V 색지수 그래프에서 식 이외부분에서 변화가 적고 광도곡선의 O'Connell effect의 크기가 작은 2008 광도곡선으로 광도해를 결정하였다. 전형적인 TY UMa형 별과 같이, 우리의 광도해 역시 W-subtype의 결과를 나타낸다. 결정된 광도해를 다른 광도곡선에도 적용시켜 광도곡선에 나타나는 흑점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주기 분석 결과와는 달리 제 3천체의 광도는 검출 되지 않았다.

  • PDF

Growth and Yield Response of Rice Cultivars to Different Night illumination Intensities (야간조명 광도에 따른 벼 품종별 생육 및 수량 반응)

  • 김충국;조현숙;서종호;최성호;변종영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7 no.6
    • /
    • pp.471-474
    • /
    • 200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rice growth and grain yield to night illumination. Three cultivars Heugjubyeo (early maturing), Hwaseongbyeo (medium maturing), and Ilpumbyeo(mid-late maturing) were tested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ies ranging 1.0 to 20.0 lux (0.3 to 5.6 $1\mu\textrm{W}$ $cm^{-2}$). Awn length of all cultivars became longer as night illumination intensity increased; 4.09 cm under 10-20 lux compared to 1.93cm under 2 lux in Hwaseongbyeo. However culm and spike length ere not affected by night illumination. Night illumination delayed flowering by 3 days in Heugjinjubyeo, 5 days in Hwaseongbyeo, and 9 days in Ilpumbyeo at 10-20 lux compared to that at 2 lux. Grain yield was reduced by 10.0% in Heugjinjubyeo, 17.7% in Hwaseongbyeo, and 20.7% in Ilpumbyeo at 10-20 lux compared to 2 lux condition.

BD Andromedae의 주기 변화와 광도곡선 분석

  • Song, Mi-Hwa;Kim, Cheon-Hwi;U, Su-Wan;Yun, Yo-Ra;Bae, Tae-Seok;Jo, Yeong;Jin, Hye-Jin;Han, Won-Yong;Choe, Yong-Jun;Mun, Hong-Gyu;Im, Hong-Seo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1.04a
    • /
    • pp.21.2-21.2
    • /
    • 2011
  • 2010년 11월 05일부터 11월 29일 중 총 12일간 진천 소재 충북대학교 천문대의 60cm 반사망원경과 ST-8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BD And의 BVR CCD 측광 관측을 수행하여 처음으로 BVR 광도 곡선을 완성하였다. 또한, 극심시각 결정을 위한 측광관측이 레몬산 천문대 1m 반사망원경과 충북대학교 천문대의 35cm 망원경으로 수행되었다. 우리의 관측과 SWASP 관측을 통하여 모두 31개의 극심시각을 새로이 결정하였다. 새로운 관측은 이 별의 공전주기가 이전까지 알려진 0.4629일이 아니라 그 두 배인 0.9258일이며, 기산점도 반주기 바뀌어야 함을 보여 준다. BD And의 광도요소를 Min I = HJD 2434962.8602 + 0.d9258054 E으로 새롭게 개정하였다. 이 광도요소로 작성한 우리의 BVR 광도곡선은 제1식과 제2식의 깊이가 거의 비슷하며, 식바깥 부분에 잘 발달된 파형 모양을 보인다. 이는 BD And가 짧은 주기의 RS CVn형 식쌍성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의 극심시각을 포함한 총 144개의 극심시각에 대한 (O-C)도를 작성한 결과, BD And의 공전주기가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변화를 보이지 않는 제3천체에 의한 광시간 효과로 가정하여, 궤도이심율이 0.78이며, 9.19년의 주기를 가진 광시간 궤도를 결정하였다.우리의 광도곡선을 2003년 Wilson-Devinney 쌍성 모형으로 분석하여 광도곡선 해를 질량비 q=1.1822, 궤도경사각 i=$86.^{\circ}16$, $T_1$=6358(K), $T_2$=6250(K), $r_1$=1.117(Rsun), $r_2$=1.321(Rsun)와 같이 산출하였다. 식바깥에서 나타나는 파형 모양의 변화는 주성의 표면에 매우 큰 흑점으로 잘 설명되며, BVR 광도곡선에서 각각 전체 광도의 각 6.4%, 8.1%, 9.9%에 해당되는 제3 광도가 검출되었다. 이는 주기연구에서 제안된 제3천체의 존재 가능성을 더 공고히 한다.

  • PDF

BD Andromedae의 주기 변화와 광도곡선 분석

  • Song, Mi-Hwa;Kim, Cheon-Hwi;U, Su-Wan;Yun, Yo-Ra;Han, Won-Yong;Bae, Tae-Seok;Jo, Yeong;Jin, Hye-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30.1-30.1
    • /
    • 2011
  • 2010년 11월 05일부터 11월 29일 중 총 12일간 진천 소재 충북대학교 천문대의 60cm 반사망원경과 ST-8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BD And의 BVR CCD 측광 관측을 수행하여 처음으로 BVR 광도 곡선을 완성하였다. 또한, 극심시각 결정을 위한 측광관측이 레몬산 천문대 1m 반사 망원경과 충북대학교 천문대의 35cm 망원경으로 수행되었다. 우리의 관측을 통하여 모두 19개의 극심시각을 새로이 결정하였다. 새로운 관측은 이 별의 공전주기가 이전까지 알려진 0.4629일이 아니라 그 두 배인 0.9258일이며, 기산점도 반주기 바뀌어야 함을 보여준다. BD And의 광도요소를 $MinI=HJD2434962.8602+0.^d9258054E$으로 새롭게 개정하였다. 이 광도요소로 작성한 우리의 BVR 광도곡선은 제1식과 제2식의 깊이가 거의 비슷하며, 식바깥 부분에 잘 발달된 파형 모양을 보인다. 이는 BD And가 짧은 주기의 RS CVn형 식쌍성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의 극심시각을 포함한 총 130개의 극심시각에 대한 (O-C)도를 작성한 결과, BD And의 공전주기가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변화를 보이지 않는 제3천체에 의한 광시간 효과로 가정하여, 궤도이심율이 0.78이며, 9.19년의 주기를 가진 광시간 궤도를 결정하였다. 우리의 광도곡선을 2003년 Wilson-Devinney 쌍성 모형으로 분석하여 광도곡선 해를 질량비 q=0.094, 궤도경사각 $i=85.^{\circ}4$, $T_1=6365(K)$, $T_2=6250(K)$, $R_1=1.132(Rsun)$, $R_2=1.304(Rsun)$와 같이 산출하였다. 식바깥에서 나타나는 파형 모양의 변화는 주성의 표면에 매우 큰 흑점으로 잘 설명되며, BVR 광도곡선에서 각전체 광도의 각 8.3%, 10.0%, 11.7%에 해당되는 제3 광도가 검출되었다. 이는 주기연구에서 제안된 제3천체의 존재 가능성을 더 공고히 한다.

  • PDF

SAO 23229와 ER Vul의 광도곡선의 해

  • 김호일;이우백;성언창;김천휘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3.04a
    • /
    • pp.11-11
    • /
    • 1993
  • SAO 23229는 최대 밝기가 7등급이고 공전주기가 4.2일 정도이며 식의 깊이가 약 0.5등급에 이르는 algol형 식쌍성을 1989년에 발견 되었다. 우리는 1990년 가을부터 소백산천문대의 61cm 망원경을 이용하여 SAO23229의 UBV 광도곡선을 만들었다. 이 광도곡선을 이용하여 극심 시각을 정하였으며, 공전주기가 2.1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또한 UBV 광도고선의 해를 W-D 코드를 사용하여 얻었다. 헝가리 Konkoly 천문대에서 관측한 ER Vuld의 UBVRI 광도곡선을 W-D 코드로 다시 분석하여 해를 얻었다. 우리가 1991년에 주성에 두개의 흑점이 있다고 가정하여 해를 구하였으나 광도곡선을 잘 맞추지 못하였었다. 이 연구에서는 세 개에 흑점을 적용하여 보다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

  • PDF

Analysis of Arrayed Waveguide Grating Waveglength Filter using Wide Angle Beam Propagation Method (Wide Angle BPM 을 이용한 광도파로열 격자 파장 필터의 해석)

  • Park, Jun-O;Jeong, Yeong-Cheo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39 no.2
    • /
    • pp.46-55
    • /
    • 2002
  • The key component to accomplish the WDM all optical network is an Arrayed Waveguide Grating(AWG) wavelength filter Numerical analysis is necessary for design and analysis of optical components like AWG wavelength filter. Beam Propagation Method(BPM) is the most widely-used metho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axial BPM and the WA-BPM when they are applied to the analysis of InP/InGaAsP/InP AWG wavelength filter. The paraxial BPM is based on paraxial approximation, and the WA-BPM is based on the low order Pade approximant. The side lobe level(SLL) and insertion loss calculated from both methods are compared. The high order Pade approximant will to used to more accurate design and analysis of AWG.

A Comparison between Infrared and Visible Light Curves of Short Period Variables

  • Lim, Jihye;Sohn, Jungjo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2
    • /
    • pp.58.1-58.1
    • /
    • 2015
  • 단주기 변광성들의 적외선 광도곡선이 가시광선 광도 곡선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주기가 하루 이내로 짧은 다양한 유형의 변광성을 대상으로 보현산 천문대의 1.8m 반사망원경과 적외선검출기(KASINICS)를 이용한 J($1.25{\mu}m$), H($1.64{\mu}m$), K($2.15{\mu}m$)필터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대상은 맥동변광성으로 분류되는 BO Lyn외 2개 대상, 격변변광성으로 분류되는 RX And외 3개 대상, 그리고 식변광성으로 분류되는 V1007 Cas외 1개 대상이다. IRAF를 이용한 전처리 및 구경 측광을 실시하여 각 필터별 적외선 광도곡선을 얻었다. 이를 통해 현재 각 분류 대상별 주기분석과 여러 해 동안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각 대상들의 장주기에서의 변광 요인 유무도 확인하여 가시광선 광도곡선과의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격변변광성의 경우 가시광 광도 곡선이 주로 강착원반의 더 뜨거운 내부고리와 대기에 의한 것인 반면 적외선 광도 곡선은 동반성과 차가운 강착원반에 의한 것이라 여겨지며, 맥동변광성과 식변광성의 경우도 가시광선과 적외선이 서로 다른 깊이를 보게 될 것이므로 파장대별 최대 밝기 위치와 광도 윤곽에서의 차이가 기대된다.

  • PDF

식쌍성들의 광도곡선에 나타나는 색효과

  • 김희수;박흥서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2.10a
    • /
    • pp.22-22
    • /
    • 1992
  • 식쌍성 Algo1과 44i Boo에 대해 각각 두 개의 비교성을 이용하여 광전관측을 수행하여 광도곡선을 얻었다. 색효과는 목적성과 비교성의 색의 차이에 기인한 효과로서 광도곡선상에 체계적인 오차로 남게 된다. 따라서, 자료보정 과정에서 전체 소과계수인 k만으로 보정하게 디면 색효과에 의한 체계적인 오차는 광도곡선상에 그대로 남게 된다. 즉, 쌍성관측에서는 비교성을 목적성과 거의 같은 위치의 것을 택하여 관측하기 때문에 투과 대기량의 차이와 곱해져 등급에 영향을 주는 1차 소광계수에 의한 효과보다는 색의 차에 기인한 2차 소광계수에 의한 효과가 더 크다는 의미이다. 물론 투과 대기량의 크기가 큰 곳에서는 1차 소광계수에 의한 효과도 커지게 된다. Algo1의 경우, 비교성과 점검성을 이용하여 얻은 광도걱선들은 평탄영역에서 이들의 색의 차이 때문에 다르게 나타났으며, 색항을 보정한 결과 두 광도곡선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44i Boo의 경우는 평탄 영역이 거의 보이지 않고, 색에 의한 효과는 광도곡선의 전 영역에 걸쳐 나타났으며, 비교성이 점검성에 비하여 목적성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관계로 k1,k2항이 모두 중요하게 나타났다. 한편, 1,2차 소광 보정 이후에도 날짜에 따라 다른 그림을 보여 준 것은 기기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졌으며, 자료에 가장 큰 오차로 기여하는 것은 시간에 따른 대기 상태의 변화이기 때무에 보다 정확한 자료보정을 하기 위해서는 동-서쪽으로 나누어 소광보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할것으로 보여졌다.

  • PDF

CCD PHOTOMETRY OF CONTACT BINARY WZ Cephei (접촉쌍성 WZ Cephei의 CCD 측광관측)

  • Lee, Woo-Baik;Kang, Young-Woon;Oh, Kyu-Do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5 no.1
    • /
    • pp.19-24
    • /
    • 2008
  • We present the full BVR light curves and five times of minima of WZ Cep to provides a complete photometric solution and to confirm the long term variation of the light curves. Our light curves show symmetry while previous light curves of Hoffmann (1984) show a high degree of asymmetry (the O'Connell effect). The BVR light curves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Wilson-Devinney Differential Correction. Our photometric results show a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Djurasevic et al. (1998).

Design and analysis of a mode size converter composed of periodically segmented taper waveguide (주기적으로 분리된 광도파로로 구성된 모드 크기 변환기의 설계 및 분석)

  • 박보근;정영철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5 no.1
    • /
    • pp.22-27
    • /
    • 2004
  • In this paper, we designed a mode size converter to reduce coupling loss between optical waveguide and single mode fiber. The proposed mode converter is composed of periodically segmented tapered waveguide to achieve small size and easy fabrication. For the optimally designed mode size converter at 1550nm, the taper length is 500(equation omitted), the segmentation period 5ß:, the waveguide width of fiber contact section 1.3ß:, and duty cycle 0.95. The coupling loss of the optimized mode size converter is 0.33㏈/point, which is 1.27㏈/point lower than that without the mode size conver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