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고 선호도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5초

명성의 지배서열: 유명인의 몰락을 대하는 진화심리 연구 (Hierarchy of Reputation: Evolutionary psychology toward fall of famous people)

  • 조정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231-241
    • /
    • 2018
  • 이 연구는 명성에 대한 진화심리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학제적 분석을 통해 명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피알이론개발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 첫 단계로 Tall Puppy Scale을 활용해 유명인에 대한 한국인의 일반적 태도를 측정한다. 유명인에 대한 지지보상과 몰락선호를 검증하고 한국의 결과를 호주의 것과 설문을 통해 비교한다. 성공한 유명인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는 호주인들보다 첨예했다. 포용성은 낮았고, 공격성은 높았다. 보상선호와 몰락선호를 함께 고려했을 때 한국인의 명성서열심리는 호주인들보다 6배 이상 공격적이었다. 명성서열심리를 설명하는 제1변수는 자존감이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성공한 유명인에 대해 관대하고 그들의 사회적 필요성에도 공감하고 있었다. 남성보다 여성이, 나이가 많을수록, 친구가 적을수록, 의사표현에 소극적일수록, 그리고 느끼는 경쟁이 치열할수록 유명인에 대한 공격성향이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개인의 자존감은 명성의 진화심리를 이해하는 핵심 척도였다.

브랜드 경험(Brand Experience)디자인 시스템 개발사례 연구 -'정가(家)네곳간' 브랜드 개발사례 중심으로- (Case Study about BX(Brand Experience) Design System Development -Focusing on JUNGGANEGOTGAN Brand-)

  • 김성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38-46
    • /
    • 2018
  • 본 연구는 브랜드 경험(BX : Brand Experience) 기반의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 개발사례에 관한 연구로, 2018년 1월 - 4월에 진행된 정가(家)네곳간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 개발 사례를 토대로 연구 하였다. 브랜드의 경험은 소비자의 주관적이며 내적인 반응이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포함한 브랜드 디자인의 자극을 통해 발생하는 소비자의 반응이다. BX 디자인은 브랜드의 경험을 바탕으로 브랜드와 관련된 자극으로 브랜드디자인의 자극물과 소비자가 브랜드와 접촉을 통해 일어나는 반응이 서로 상호작용 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경험이 발생한다. BX 디자인의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브랜드의 다양한 접점에서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에 대한 브랜드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특정 브랜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BX디자인을 기반으로 진행된 정가(家)네곳간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의 개발 전략과 함께 최종 완성된 브랜드 디자인 시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정가(家)네곳간 브랜드 경험 디자인의 조형성과 연상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0.961, p<.001). 브랜드 디자인 선호도는 조형성(${\beta}=.443$, p<.001), 연상성(${\beta}=.218$, p<.001)순으로 브랜드 디자인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자산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스포츠화 구매자의 관여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Brand Equity)

  • 김봉관;김태우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1권
    • /
    • pp.59-78
    • /
    • 2003
  • 본 연구는 브랜드자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마케팅 요인들과 브랜드자산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들간의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브랜드자산이 고객의 심리적 과정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어지는가를 규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서 스포츠화 단일 브랜드(나이키)구매자를 대상으로 사전연구(김봉관 등 2003)가 이루어졌는데, 분석결과 브랜드 자산 형성이 고객의 심리적 발전단계에 구조적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는 사전연구의 후속적 연구로서 소비자 관여수준에 따라 브랜드자산의 형성과정에 보이는 영향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하여, 고 저 관여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브랜드자산의 형성과정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광고는 고 저 관여 집단에서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관여 집단보다는 저관여 집단에서 강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판매촉진은 고 관여 집단에서는 브랜드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이미지에는 부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집약도는 관여집단에서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선호도,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는 저관여 집단에서는 인지도와 선호도에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 고 저관여 집단에서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선호도,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선호도,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충성도간에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브랜드 구성요소들간에 관계의 정도는 저관여 집단보다는 고관여 집단에서 더 강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 PDF

융합형 뉴미디어 광고의 시장세분화 연구: 소비자 주관성에 근거한 해석적 관점에서 (Market Segmentation of Converging New Media Advertising: The Interpretative Approach Based on Consumer Subjectivity)

  • 서경진;황진하;정장훈;김기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91-10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IT와 광고 산업 간의 융합형 이머징(emerging) 디지털 광고물에 대한 소비자 유형화 연구를 수행하여, 비즈니스 마케팅 관점에서 관련 시장 세분화 전략 수집에 필요한 소비자 특성에 관해 이론적 정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응답자 내면의 주관적 사고체계, 선호, 의견, 인지 등을 해석하여 새로운 이론을 발견해가는 정성적 관점의 주관성 연구인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방법론은 가설 검증을 추구하는 기존의 정량적(또는 실증적) 연구와 비교할 때, 연구자가 제시하는 조작적 정의(가설)에 의존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응답자의 진술만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해석적 연구를 추구한다. 이런 이유로, Q연구는 신규 서비스의 초기 시장형성 단계에서 나타나는 실제적인 소비자 유형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선행연구로서 소비자 행동 특성을 이론화 하는데 적합하다. 본 연구는 철저한 문헌연구와 인터뷰를 통해 30개의 'IT 통합형 디지털 광고 종류(Q샘플)'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40명의 응답자(P샘플) 개인별 Q소팅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적으로 총 4개의 소비자 유형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세분화 된 각 집단의 고유한 특성을 해석하여, '멀티채널 디지털 광고 추구형', '감성적광고추구형', '뉴미디어 광고 추구형', 'Web 2.0 광고 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이머징 디지털 광고 산업을 주제로 한 학술 및 산업적 연구의 선행 연구로서, R&D, 마케팅 프로그램 및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 관련 정책을 계획하는 분야 등 기초 연구로서 활용 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맞춤형 광고 서비스 및 양방향 개인 맞춤형 방송 시스템 구축 (The Development of the Bi-directionally Personalized Broadcasting and the Targeting Advertisement System Based on the User Profile Techniques)

  • 신사임;이종설;장세진;이석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32-641
    • /
    • 2010
  • 본 논문은 양방향 개인 맞춤형 방송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이다. 맞춤형 방송이란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만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양방향 방송 서비스는 사용자의 방송단말과 방송 서버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여 만족도 높고 개인화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양방향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표준인 TV-Anytime에서 제안하고 있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프로파일과 콘텐츠 데이터 및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포함한 맞춤형 방송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여 양방향 데이터 전송까지 지원하고 있다. 구축된 양방향 맞춤형 방송 시스템은 사용자 프로파일을 통하여 개인 별로 선호하는 방송 콘텐츠 및 광고를 추천 및 지원하여 사용자의 시청 만족도를 높였으며, 기존의 방송과 차별화된 지능적인 방송 서비스의 지원으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켰다.

광고회사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의 핵심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Research on Creative Director's Core Competence in an Ad Agency)

  • 오창일;이현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5호
    • /
    • pp.5-16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광고의 상황 논리라고 할 수 있는 광고 외적 변수를 배재하고, 최상의 광고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크리에이티브 품질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의 영향력에 연구의 초점을 맞춘다. 변혁적 리더는 카리스마(charisma), 영감(inspiration), 지적 자극(intellectual stimulation), 개인 배려(individual consideration), 창작물 목표(performance goal) 등에서 영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 연구문제를 두었다. 연구 결과,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의 '영감 유발' 능력은 현재나 미래나 언제나 갖고 싶은 역랑이며 보완해야 할 역량으로 나타났다. '카리스마'는 현재에는 필요하지만 미래에는 반드시 필요한 가치가 아니라는 평가도 도출되었다. 오히려 '지적 자극'이라는 보다 소프트하고 지식 정보화된 역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리스마'는 미래의 다양성 사회에서는 창의력 향상에 장애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었다. 불확실성 시대와 모호성 시대에 아이디어의 혁신은 경제적인 효과를 낳을 수 있다 (Cockayne, 2004). 따라서 개인과 조직의 크리에이티브 능력에서 상호 충돌의 문제와 비공식적 조직에서의 혁신 아이디어의 발생에 관한 연구도 요구된다. 또한 혁신적 리더의 비공식적인 네트워크의 역동성에 관한 문제도 후속 연구로 제안한다.

  • PDF

환경교육을 받은 어린이를 통한 어른들의 소비행동과 역사회화 (Impact of Environmental-Educated Children on Their buying behaviors and Retroactive-Socialized Parents)

  • 강봉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41-51
    • /
    • 2004
  • 환경운동을 실천하고 생활하는 주체는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모든 구성원들이다. (가족$.$기업$.$정부 등) 최근에 환경파괴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면서 환경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한 일련의 노력으로서 교육적 접근, 특히, 환경교육의 강화가 제기되고 있다. 환경문제의 근원은 곧 인간이며 이의 개선과 예방은 매인의 인식과 행동변화를 통해서만 근본적으로 해결되어질 수 있다는 점등을 고려하면 교육을 통한 접근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어른들이 자녀들의 소비태도나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 일반적 현상, 즉 사회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교육을 받은 어린이들이 부모들의 소비태도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역사회화에 대한 연구는 흔치 않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학교에서 환경교육을 받은 자녀를 둔 가정의 부모들이 어린이들로부터 얻은 환경관련 지식과 정보를 통해 그들의 소비태도 및 구매행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고 있는지, 즉 역사회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인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환경교육을 받은 어린이를 둔 부모의 환경관련 광고에 대한 태돈 환경관련 제품가격에 대한 민감도, 환경관련 제품에 대한 선호도, 가족간의 대화 빈도, 환경 친화성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인구 통계적 특성과 환경교육시범학교와 비시범학교에 다니는 어린이들에 따라 어른들이 다른 소비 태도와 구매행동을 나타내는지 실증적 연구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연구결과 학교에서 환경교육을 받은 어린이를 들 가정의 부모들은 자녀를 통해서 환경관련 정보를 많이 얻게 되고 환경친화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이 제공하는 환경관련제품 광고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 및 그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 빈도가 높았다. 반면, 환경관련제품에 대한 가격에 대해서는 환경교육을 받은 어린이를 둔 가정의 어른이나 그렇지 않은 어른 모두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환경교육시범 학교의 자녀를 둔 부모와 비시범학교의 자녀를 둔 부모들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들의 자녀로부터 환경관련 정보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교육시범학교의 자녀를 들 부모들은 환경관련문제에 대한 의식 및 환경관련 제품에 대한 구매행동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PDF

추천시스템에 활용되는 Matrix Factorization 중 FM과 HOFM의 비교 (Compare to Factorization Machines Learning and High-order Factorization Machines Learning for Recommend system)

  • 조성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31-737
    • /
    • 2018
  • 추천 시스템은 컨텐츠, 온라인 커머스, 소셜 네트워크, 광고 시스템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자가 관심 있을 만한 정보를 선별 제안함을 목적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 선호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안하는 추천시스템이 많고 과거 데이터가 적거나 없는 사용자를 대상으로는 제공하기 어려우므로 낮은 성능을 보인다는 부문에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더욱 고차원적인 데이터 분석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Matrix Factorization이 주목받고 있다. 이 논문은 그 중 추천시스템에서 주목받는 Factorization Machines Learning(FM)모델과 고차원 데이터 분석인 High-order Factorization Machines Learning(HOFM)의 비교와 재연을 연구하고 제안 한다.

에로티시즘 표현 진 의류광고의 선호도 및 제품 구매의도에 대한 유행의사선도자와 추종자 집단간 차이 (Eifferences between Fashion Opinion Leader and Follower in Preferences of Advertisements and Intentions to Buy the Advertised products in sexuality Oriented Fashon Jeans Advertising)

  • 홍희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91-306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exuality in jeans fashion advertising 2)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fashion opinion leaders and followers in the preferences of advertisements and followers in the preferences of advertisements and intentions to buy the advertised jeans in highly and low sexual advertising.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from 441 collesge students(female=225, male=216) living in Seoul. Korea, and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perception of sexuality in jeans fashion advertising. Second t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ashion opinion leaders and followers in intentions to buy the advertised jeans of highly sexy advertisements were found in the data collected from male.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ashion opinion leaders and followers in preferences and intentions to buy the advertised jeans of highly sexy advertisements in female's data.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ashion opinion leaders and followers in the preference of low sexy advertisements in female's data.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ashion opinion leaders and followers in preferences and intentions to buy the advertised jeans of low sexy advertisements in male's data.

  • PDF

소비자의 신세대 특성 지향 정도에 따른 성적소구 진 의류광고의 선호도 및 제품 구매의도 차이 (Differences of Advertisement Preference and Intention to Purchase Product between the Groups haying Different Orien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New Young Generation in Sexuality - oriented Fashion Advertising)

  • 홍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33-345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in the perception of sexuality in jeans fashion advertising, 2)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and low sexy advertisemen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hich had different orien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new young generation in preferences of advertisements and intentions to purchase product in sexy fashion advertising.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s which contained nine advertisements of Guess Jeans, from 441 college students (female= 225, male= 216) living in Seoul,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data were and analyzed by paired 1·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perceptions of sexuality in jeans advertisements. Second, by paired t-test, male preferred highly sexy advertisement to low sexy advertisement, and female's intention to purchase product was higher in the advertisement of high sex appeal than that of low sex appeal. Third,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erences between two groups which had different orien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new young generation in preferences of sexy advitisements. The differences of intentions to purchase product between two groups were significant in highly sexual advertising. But in low sexual advertis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not found in advertisement preferences and intentions to purchase produ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