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감수성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Mg_2SiO_4$:Tb(MSO-S) TLD의 광감수성과 방향의존성 (The Light Sensitivity and Angular Dependence of the $Mg_2SiO_4$:Tb(MSO-S) TLD)

  • 김도성;박명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59-63
    • /
    • 1998
  • $Mg_2SiO_4$:Tb(MSO-S) TLD의 사용에서 부정확한 선량평가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광감수성과 방향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200 lux의 형광등과 백열등 하에서 8시간씩 노출한 경우 각각 약 11 mR과 3 mR의 조사선량에 해당하는 광감수성이 나타났다 그리고 수직입사($0^{\circ}$)에 대한 ${\pm}80^{\circ}$ 의 각도로 입사하는 경우의 열형광강도 비가 MSO-S는 약 0.8, badge형의 MSO-L은 약 0.15로서 방향의존성이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 PDF

비름과(科)(Amaranthus sp.) 식물(植物)의 재배종(栽培種)과 야생종간(野生種間)의 생리학적(生理學的) 특성비교(特性比較) (A Comparative Study on Physiological Characters Between the Cultivar and Wild Plant in Amaranthus sp.)

  • 정장희;최관삼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38-50
    • /
    • 1987
  • 최근(最近) 이삭비름(Grain Amaranthus) 종(種)으로 알려진 재배종(栽培種) A. hypochondriacus 종(種) 및 A. cruenthus 종(種)과 야생종(野生種)인 A.retroflexus 종간(種間)의 생장곡선(生長曲線), 생산성(生産性), 개화습성(開花習性), 발모특성(發茅特性) 등(等)을 비교검토(比較檢討)하였다. 남미지역(南美地域)에서의 재배종(栽培種)인 A. hypochondriacus 종(種)은 모둔 면(面)에서 가장 왕성(旺盛)한 생육(生育)을 보여 우리나라에서의 재배(栽培)가 가능(可能)한 작물(作物)임을 알아내었다. 한편 종자(種子)의 등숙과정(登熟過程)에 따른 발모력형성(發茅力形成)과 휴안유유도(休眼誘誘導)의 과정(過程)을 경시적(經詩的)으로 조사(調査)해 본 결과(結果) 재배종(栽培種)과 야생종간(野生種間)에는 커다란 차이(差異)가 있음을 알아내었다. 백색종피(白色種皮)의 재배종(栽培種) A. hypchondriacus 종(種)은 높은 발모력형성능(發茅力形成能)만 보일 뿐 휴안(休眼)이 전혀 유도(誘導)되지 않았는데 비하여 흑색종피(黑色種皮)의 야생종(野生種) A. retroflexus 종(種)은 강한 휴면이 유도되어 등숙과정에는 전혀 발모(發茅)하지 않았다. 이들 재배종(栽培種)과 야생종간(野生種間)의 휴안유도(休眼誘導)의 차이는 등숙과정중(登熟過程中)의 친식물(親植物)이 갖는 광감수성(光感受性)의 차이(差異)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써 형성(形成)된 종자내(種子內) 피토크롬 색소계의 존재양상(存在樣相)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이들 종자내(種子內)의 피토크롬 색소계가 다르게 존재(存在)할 수 있는 것은 재배종(栽培種)의 흰색종피가 야생종(野生種)의 검은 종피보다 광 스펙트럼 흡수에 있어서 보다 적게 흡수할 뿐만이 아니라, 야생종인 흑색종피는 700nm이상의 근적외광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많이 흡수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