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측지점

Search Result 1,80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of bankfull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generation of bankfull discharge for bed change simulation (만제유량 특성 분석 및 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유량의 배분/생성)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0-70
    • /
    • 2015
  • 하천에서의 수문/수리적 특성은 주수로의 다양한 지형학적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흐름과 수반된 유사량의 변화는 하천의 지형학적, 수리기하적 특성을 지배하며, 하도의 물리적 시스템을 변화시켜 동적 평형에 이르게 된다. 하천에서 하도 형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수리특성은 하도형성유량으로 지배유량이며, 보통 만제유량을 사용한다. Dunne and Leopold(1978)는 만제유량을 유사의 이송, 하천의 사행, 유선형의 변화 등 하천의 일반적인 형태를 변화시키며, 주수로의 특성을 형성하는 유량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수리 지형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만제유량은 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 20개 하천, 27개 수위 관측소의 최소 10년 이상의 실측 자료를 기반으로 다년간의 연평균 실측유량을 산정하였으며, McCandless(2003)가 제시한 지형학적 만제지표를 이용하여 추정한 만제유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만제유량은 HEC-RAS model을 이용하여 만제하폭, 만제수심, 만제 시 평균유속을 산정하였다. 27개 지점의 실측유량과 만제유량의 상관성 분석결과 만제유량은 연평균 일유량의 7.7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제유량을 7일 평균유량(1 week mean discharge)으로 정의하였으며, 수정된 7일 유량과 만제유량의 RMSE는 13.90 m/s, MAPE는 9.94 %로 상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제유량과 만제하폭, 만제수심, 평균유량, 구간경사와 상관성 분석결과 개별적으로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제하폭, 수심, 평균유량과 만제유량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R^2$는 0.911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구간경사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R^2$가 0.914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만제유량은 수리 기하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만제유량을 통해 추정된 연평균 유량($48{\cdot}Q_{bf}$)을 우리나라의 월간 유출량 분포 비율을 이용하여 일유량으로 배분/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일유량을 통해 CCHE2D model을 이용하여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대상 구간은 병성천 최하류로부터 상류로 7 km 구간이며, 2013년 1월과 12월 측량 자료를 통한 1년간의 실제 하상 변동 자료와 2013년 실측 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 및 만제유량에 의해 배분/생성된 일유량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7일 평균 유량으로 정의된 만제유량을 통해 배분/생성된 유량의 수치모의 결과는 실제 측량자료 및 실측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결과와 매우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bankfull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generation of bankfull discharge for bed change simulation (만제유량 특성 분석 및 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유량의 배분/생성)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0-580
    • /
    • 2015
  • 하천에서의 수문/수리적 특성은 주수로의 다양한 지형학적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흐름과 수반된 유사량의 변화는 하천의 지형학적, 수리기하적 특성을 지배하며, 하도의 물리적 시스템을 변화시켜 동적 평형에 이르게 된다. 하천에서 하도 형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수리특성은 하도형성 유량으로 지배유량이며, 보통 만제유량을 사용한다. Dunne and Leopold(1978)는 만제유량을 유사의 이송, 하천의 사행, 유선형의 변화 등 하천의 일반적인 형태를 변화시키며, 주수로의 특성을 형성하는 유량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수리 지형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만제유량은 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 20개 하천, 27개 수위 관측소의 최소 10년 이상의 실측 자료를 기반으로 다년간의 연평균 실측유량을 산정하였으며, McCandless(2003)가 제시한 지형학적 만제지표를 이용하여 추정한 만제유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만제유량은 HEC-RAS model을 이용하여 만제하폭, 만제수심, 만제 시 평균유속을 산정하였다. 27개 지점의 실측유량과 만제유량의 상관성 분석결과 만제유량은 연평균 일유량의 7.7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제유량을 7일 평균유량(1 week mean discharge)으로 정의하였으며, 수정된 7일 유량과 만제유량의 RMSE는 13.90m/s, MAPE는 9.94 %로 상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제유량과 만제하폭, 만제수심, 평균유량, 구간경사와 상관성 분석결과 개별적으로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제하폭, 수심, 평균유량과 만제유량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R^2$는 0.911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구간경사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R^2$가 0.914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만제유량은 수리 기하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만제유량을 통해 추정된 연평균 유량($48{\cdot}Q_{bf}$)을 우리나라의 월간 유출량 분포 비율을 이용하여 일유량으로 배분/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일유량을 통해 CCHE2D model을 이용하여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대상 구간은 병성천 최하류로부터 상류로 7 km 구간이며, 2013년 1월과 12월 측량 자료를 통한 1년간의 실제 하상 변동 자료와 2013년 실측 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모의 결과 및 만제유량에 의해 배분/생성된 일유량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7일 평균 유량으로 정의된 만제유량을 통해 배분/생성된 유량의 수치모의 결과는 실제 측량자료 및 실측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결과와 매우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Model Development of Coastal Area Inundation due to Sea-level Rising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안지역 침수모의기법 개발)

  • Kim, Won Bum;Son, Kwang Ik;Jung, Wo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92-292
    • /
    • 2018
  • 2016년 태풍 "차바"로 인한 부산과 울산지역의 침수 및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로 인한 마산창원지역의 침수사례는 우리나라 해안도시유역이 해수면 상승에 의한 피해에 노출되어 있음을 간접적으로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IPCC 4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전 지구적 차원에서 지난 100년 동안 해수면은 약 1.7 m 상승하였으며, 1961~2003년 사이 해수면 상승률은 연평균 3.1 mm에 이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남해안은 연평균 3.4 mm씩 상승하고 있어 전 세계 해수면 평균 상승속도를 상회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이전보다 이후 기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의 수가 많으며 평균적으로 태풍의 강도 및 해일고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과 태풍해일고 증가에 따른 복합적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유역의 침수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미래 발생 가능한 수퍼태풍에 의한 급격한 해일고의 상승은 해안유역에 침수피해를 더욱 가중시킬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수피해 특성은 홍수유출에 의한 내륙 침수피해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기법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도시지역 대한 침수피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한 침수모의기법을 개발하고 효율적 대응방안을 선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부정류 특성을 지닌 해수면 상승 경계조건 및 건물 간 도로를 통해 흐름이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해안지역의 시공적 침수규모 및 유속 등을 예측할 수 있는 2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 발생 기간 동안 관측된 실제 해일고를 적용하여 창원 등 해안도시유역에 범람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실제 침수흔적과 비교함으로써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해안 경계선을 따라 월파방지벽을 설치하는 경계조건을 도입하여 월파방지벽 높이에 따른 해안도시유역 침수규모를 산정하여 월파방지벽 높이에 따른 시공적 침수규모를 분석함으로써 월파방지벽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해안지역 지점별 침수규모 및 최대 침수심 발생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침수에 따른 중장기적 구조적 대응방안 수립은 물론 초단기적 예상 해수면 상승에 다른 대피경로 제공 등 비구조적 수재해 대응 기법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lood Frequency Analysis Considering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Return Period under Non-stationary Condition (비정상성 확률분포 및 재현기간을 고려한 홍수빈도분석)

  • Lee, Sang-Ho;Kim, Sang Ug;Lee, Yeong Seob;Kim, Hyeong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10-610
    • /
    • 2015
  • 수공구조물의 설계에서는 홍수빈도분석을 통해 산정된 특정 재현기간에서의 확률수문량이 설계기준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기후 현상이 심해짐에 따라 수문기상자료의 정상성을 가정하는 기존의 홍수빈도분석은 변화되는 수문현상을 적절히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확률분포의 모수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정상성 빈도분석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확률분포의 모수들을 최우추정법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분위수 추정과정에서도 비정상성을 고려하여 정상성 가정에서 산정된 재현기간 및 위험도와 비교분석하였다. 확률분포는 GEV 분포를 사용하여 정상성 및 비정상성 모형 4개를 구축하였다. 특히, 비정상성 모형은 위치모수만 선형 경향성을 가지는 경우, 규모모수만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 위치 및 규모모수가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의 3가지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구축된 4개의 모형 중 적합모형을 선정하기 위해 우도비 검정과 Akaike 정보기준을 사용하였으며 적합모형선정 절차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적용하여 적합모형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비정상성 홍수빈도분석 기법은 우리나라의 8개 다목적댐 (충주댐, 소양강댐,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대청댐, 섬진강댐, 주암댐)으로부터 취득된 과거 관측 댐 유입량을 대상으로 하여 적용되었다. 우도비 검정과 Akaike 정보기준을 이용한 적합 모형 선정 결과 합천댐과 섬진강댐이 비정상성 GEV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나머지 지점의 다목적댐들은 정상성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합천댐과 섬진강댐의 경우 비정상성 가정에서 산정된 재현기간이 정상성 가정에서 산정된 재현기간보다 매우 작게 산정되었으며 확률수문량과 위험도는 크게 산정되었다. 적합모형으로 정상성 모형이 선정된 6개의 다목적댐 중 소양강댐은 Mann-Kendall 비모수 경향성 검정 결과 유의하지는 않지만 비교적 큰 선형경향성을 가지고 있었다. 비록 비정상성 모형이 적합모형으로 선정되지는 않았지만 소양강댐에 비정상성 모형을 가정하여 재현기간과 확률수문량,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정상성 모형 가정에서 산정한 결과와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문자료의 정상성과 비정상성을 고려한 홍수빈도분석이 향후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신뢰성 있는 확률수문량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Groundwater Level Changes and Aquifer Characteristics during Pumping at a Radial Collector Well (방사형 집수정 취수시 대수층 특성에 따른 지하수위의 변화)

  • Choi, Myoung-Rak;Lee, Ho-Jeong;Kim, Gyoo-Bum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9 no.3
    • /
    • pp.279-288
    • /
    • 2019
  • The groundwater drawdown at each monitoring well near a radial collector well along Anseong Stream, Korea,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drawdown using the mirror well concept. The drawdown calculation is performed by treating the collector well as a large vertical well in a homogeneous isotropic aquifer. The measured drawdown at each monitoring well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calculated value due to anisotropy in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aquifer thickn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and calculated values at Well OW-7 is large, reaching approximately 48 cm, because a horizontal well is not installed along this direction. Sensitivity analysis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aquifer thickness indicates that the hydraulic conductivity is more sensitive to groundwater level changes. Groundwater level changes become a concern when a radial collector well with a large pumping rate capacity is installed, which highlights the need to thoroughly investigate the aquifer characteristics in the surrounding area.

Probabilistic Analysis of Independent Storm Events: 1. Construction of Annual Maximum Storm Event Series (독립호우사상의 확률론적 해석: 1.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의 작성)

  • Park, Min-Kyu;Yoo, Chul-S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127-136
    • /
    • 2011
  • In this study, annual maximum storm events are proposed to determined by the return periods considering total rainfall and rainfall intensity together. The rainfall series at Seoul since 1961 are examin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ivariate exponential distribution is used to determine annual maximum storm events. The parameter estimated annually provides more suitable results than the parameter estimated by whole periods. The chosen annual maximum storm events show these properties. The events with the biggest total rainfall tend to be selected in the wet years and the events with the biggest rainfall intensity in the wet years. These results satisfy the concept of critical storm events which produces the most severe runoff according to soil wetness. The average characteristics of the annual maximum storm events said average rainfall intensity 32.7 mm/hr in 1 hr storm duration(total rainfall 32.7 mm), average rainfall intensity 9.7 mm/hr in 24 hr storm duration(total rainfall 231.6 mm) and average rainfall intensity 7.4 mm/hr in 48 hr storm duration(total rainfall 355.0 mm).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Cold Water Occurrence using K-Means Clustering (K-Means Clustering을 활용한 냉수대 발생 분포에 관한 연구)

  • Kim, Bum-Kyu;Yoon, Hong-Joo;Lee, Jun 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2
    • /
    • pp.371-378
    • /
    • 2021
  •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ld water occurred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the K-means clustering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ocean observatory buoy of Gori and Yangpo and GHTSST Level 4 from 2016 to 2018. The buoy data was used to identify the change in sea water temperature and the cold water occurrence at Gori and Yangpo in the Southeast Sea. As a result, the sea water temperature of Gori and Yangpo decreased equally at the cold water occurrence. Therefore, the reciprocal of the sea water temperature and the variance of SST were compared to see the changes of SST when the cold water occurs. When the reciprocal of the sea water temperature increases, the dispersion of SST also increase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water temperature distribution of SST in the sea when the cold water occurs. After that, K-means clustering was used to classify the cold water. After analyzing the optimal K value for clustering by using the Elbow method, it was possible to classify a region with cold water. Through this, it is estimated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diffusion range of the cold water, and it can be estimated and used in future studies to identify damage caused by the cold water and predict spatial spread.

Proposal of Early-Warning Criteria for Highway Debris Flow Using Rainfall Frequency (1): Proposal of Rainfall Criteria (확률 강우량을 이용한 고속도로 토석류 조기경보기준 제안 (1) : 강우기준 제안)

  • Choi, Jaes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2 no.2
    • /
    • pp.1-13
    • /
    • 2019
  • In this study, we propose rainfall frequency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early-warning system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highway debris flow that includes the contents of the rainfall recurrence cycle. The rainfall criterion was recommend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and the recommended rainfall criterion was 1 hour, 6 hours, and 3 days. At this time, the study subjects were located in Gangwon area and the probability rainfall of 8 stations in Gangwon area was collected. Also, the probabilistic distribution of the 1 hour, 6 hour, and 3 day rainfall criteria to be used for the early warning for the highway debris flow in Kangwon area was estimated through the probability analysi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3 types of rainfall criteria selected from the rainfall data and the actual destructive damages of debris flow at 12 points in 7 lines of Gangwon highways. At this time, the rainfall criterion 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was divided into an average value and a lower limit value.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case of using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rainfall according to the recurrence intervalwell simulates the situation of actual debris flow hazards.

Agro-Climatic Zonal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of Abnormal Air Temperature Occurrence in South Korea (한국의 농업기후지대별 이상기온 출현 특성 평가)

  • Shim, Kyo Moon;Kim, Yong Seok;Jung, Myung Pyo;Kim, Seok Cheol;Min, Seong Hyun;So, Kyu Ho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4 no.2
    • /
    • pp.189-199
    • /
    • 2013
  • Using meteorological data collected from 60 observation stations during the last 38 years from 1973 through 2010, we have analysed the occurrence frequencies of abnormally low or high temperature leading to agrometeorological disasters. The analysis was made for 20 agro-climatic zones that had already been divid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before. Since 1973, there have been an average of 1.8 frequency of abnormal air temperature occurrence per year. The frequency of abnormally high temperature occurrence has increased from an average of 0.2 per year in 1970s to 1.0 in 2000s. However, the frequency of abnormally low temperature occurrence has decreased from an average of 2.06 per year in 1970s to 0.63 in 2000s, which might be able to explain a recent global warming. The highest frequency of abnormally high temperature occurrence appeared in Taebaek Alpine zone with an average of 0.76 frequency per year. Meanwhile, abnormally low temperature was the highest in Western Sobaek Inland zone with an average of 1.43 frequency per year.

Derivation of Synergistic Aerosol Model by Using the ECMWF/MACC and OPAC (ECMWF/MACC와 OPAC자료를 이용한 시너지 에어로솔 모델 산출)

  • Lee, Kwon-Ho;Lee, Kyu-Tae;Mun, Gwan-Ho;Kim, Jung-ho;Jung, Kyoung-J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4 no.6_1
    • /
    • pp.857-868
    • /
    • 2018
  • The microphysics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atmospheric aerosols are responsible for estimating the optical properties at a given location. Its accurate estimation is essential to plan efficient simulation for radiative transfer. For this sake, synergetic use of reanalysis data with optics database was used as a potential tool to precisely derive the aerosol model on the basis of the major representative particulates exist within a model grid. In detail, mixing of aerosol types weighted by aerosol optical depth (AOD) components has been developed. This synergetic aerosol model (SAM) is spectrally extended up to $40{\mu}m$. For the major aerosol event cases, SAM showed that the mixed aerosol particles were totally different from the typical standard aerosol models provided by the radiative transfer model. The correlation among the derived aerosol optical properties along with ground-based observation data has also been compared. The current results will help to improve the radiative transfer model simulation under the real atmospheric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