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측소 정보

Search Result 22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omputation of Bessel Coordinate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by Trilateration Adjustment of GPS Baseline Measurements (GPS 관측기선의 삼변망 조정계산에 의한 우리나라 지적측량기준점의 베셀성과 산출)

  • Yang, Chul-Soo;Kang, Sang-Gu;Jung, Rea-Jung;Kim, Yong-Ho;Lee, Min-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3
    • /
    • pp.41-49
    • /
    • 2007
  • In this study, the software to compute Bessel coordinates by trilateration adjustment was developed, and the software was used to determine coordinate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over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The baseline measured by GPS was reduced to the distance on geoid surface by applying PNU95 geoid model, and the distance on geoid surface was reduced to the plane grid distance by applying scale factor of map projection of Bessel coordinates. Using the plane grid distance, Bessel coordinates of 32 CORS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 were computed by free adjustment at first, and then the coordinate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were computed by joining the control points to adjacent CORS. The result shows a possibility of construction of highly accurate and consistent cadastral survey network with coordinate error less than 1ppm of distance, when newly computing the coordinates of the control points by using distances measured by GPS.

  • PDF

Estimation of Daily Maximum/Minimum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전국 일 최고/최저기온 공간변이의 추정)

  • 신만용;윤일진;서애숙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5 no.1
    • /
    • pp.9-20
    • /
    • 1999
  • The use of climatic information is essential in the industial society. More specialized weather servies are required to perform better industrial acivities including agriculture. Especially, crop models require daily weather data of crop growing area or cropping zones, where routine weather observations are rare. Estimate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aily climates might complement the low density of standard weather observation st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aily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s in Korean Peninsula. A topoclimatological technique was first applied to produce reasonable estimates of monthly climatic normals based on 1km $\times$ 1km grid cell over study area. Harmonic analysis method was then adopted to convert the monthly climatic normals into daily climatic normals. The daily temperatures for each grid cell were derived from a spatial interpolation procedure based on inverse-distance weighting of the observed deviation from the climatic normals at the nearest 4 standard weather stations. Data collected from more than 300 automatic weather systems were then used to validate the final estimates on several dates in 1997. Final step to confirm accuracy of the estimated temperature fields was comparing the distribution pattern with the brightness temperature fields derived from NOAA/AVHRR. Results show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estimated and the observed temperatures at 20 randomly selected automatic weather systems(AWS) range from -3.$0^{\circ}C$ to + 2.5$^{\circ}C$ in daily maximum, and from -1.8$^{\circ}C$ to + 2.2$^{\circ}C$ in daily minimum temperature. The estimation errors, RMSE, calculated from the data collected at about 300 AWS range from $1.5^{\circ}C$ to 2.5$^{\circ}C$ for daily maximum/minimum temperatures.

Analysis of Extreme Rainfall for Evaluation of IDF Curves i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IDF곡선 평가를 위한 극한강우 분석)

  • Choi, Jeonghyeon;Lee, Okjeong;Lee, Jeonghoon;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11-211
    • /
    • 2016
  • 도시 배수 시스템의 설계 및 홍수 방지 전략의 수립은 공통적으로 특정 재현 기간에 대한 극한강우량의 정보가 필요하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극한강우사상의 발생이 잦아짐에 따라, 수공 구조물의 설계 및 계획에 기후변화의 영향(특히 강수량)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현기간의 IDF(intensity duration frequency)곡선에서 극한강우량을 산출하고, 이를 분석한 통계학적인 추세가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IDF곡선의 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첫 단계에는 연 최대 일강수량 시계열의 추세를 분석하고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2015년까지의 60개 관측소의 연 최대 일강수량 시계열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관측소별로 다른 유의수준을 고려하여 Mann-Kendall test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연구기간동안 증가 및 감소 추세가 발생하였다. 추세가 분석 및 정량화 되면, Gumbel 분포를 이용하여 극한강우량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별로 실시한 추세분석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통합하고 추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가지의 기후 시나리오를 규정하여 IDF곡선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통계학적인 추세의 증가 또는 감소 모두 각 지속시간의 극한강우시계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ydrological cycle components in North Korea basins by statistical analysi (북한지역의 수문순환요소의 통계특성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

  • Kwon, Bo Ra;Je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02-202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슈퍼태풍 및 극한 강우, 폭설과 한파, 온난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한반도의 기후변화는 전 세계 평균보다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북한지역은 오랜 식량난과 에너지난으로 산림생태계가 훼손되어 홍수 및 이수와 같은 기후변화 관련 자연재해에 매우 취약하며, 무분별한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층의 증가로 인해 유역내의 수문순환요소가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기상 및 기후정보의 활용이 중요하다. 하지만 본 논문의 대상지역인 북한지역은 우리가 수문자료를 구하기가 힘들고, 직접 측정 할 수 없기 때문에 수문순환분석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MO에서 제공하고 있는 북한의 27개 기상관측소의 강수량, 기온자료를 제공 받아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각 관측소별 잠재 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또한 lumped conceptual model 인 WASMOD 모형을 이용하여 북한 미계측 유역의 유출량을 산정 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수문순환요소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BCP, 유황분석등 시계열 분석을 통해 북한지역의 수문순환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A Non-annotated Recurrent Neural Network Ensemble-based Model for Near-real Time Detection of Erroneous Sea Level Anomaly in Coastal Tide Gauge Observation (비주석 재귀신경망 앙상블 모델을 기반으로 한 조위관측소 해수위의 준실시간 이상값 탐지)

  • LEE, EUN-JOO;KIM, YOUNG-TAEG;KIM, SONG-HAK;JU, HO-JEONG;PARK, JAE-HU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6 no.4
    • /
    • pp.307-326
    • /
    • 2021
  • Real-time sea level observations from tide gauges include missing and erroneous values. Classification as abnormal values can be done for the latter by the quality control procedure. Although the 3𝜎 (three standard deviations) rule has been applied in general to eliminate them,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sea-level data where extreme values can exist due to weather events, etc., or where erroneous values can exist even within the 3𝜎 rang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et designed in this study consists of non-annotated recurrent neural networks and ensemble techniques that do not require pre-labeling of the abnormal values. The developed model can identify an erroneous value less than 20 minutes of tide gauge recording an abnormal sea level. The validated model well separates normal and abnormal values during normal times and weather events. It was also confirmed that abnormal values can be detected even in the period of years when the sea level data have not been used for train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 utilized in this study is not limited to the coastal sea level, and hence it can be extended to the detection model of erroneous values in various oceanic and atmospheric data.

A study on the density analysis of climatological stations using the correlation integral method in the fractal dimension (상관적분 기법의 프랙탈 차원 추정을 통한 기후관측소 밀도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Hee-Kyung;Lee, Yung-Seop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4 no.1
    • /
    • pp.53-62
    • /
    • 2013
  • Currently we have 11 climatological stations registered in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Geographically, these stations are unevenly distributed in Korea and are mainly located on seaside. Therefore station's density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to produce the high-quality climatological data. Using the correlation integral method, the density of climatological stations can be measured by the estimation of fractal dimension. In this study, new climatological stations having the higher fractal dimension were selected. Sequential or simultaneous selection method were carried out until 3 new station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ractal dimension.

Training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water level forecasting (하천수위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학습에 관한 연구)

  • Jung, Ji Won;Ler, Lian Guey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63-563
    • /
    • 2016
  • 국내 강우발생은 기상학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장마기간(6~8월)에 집중되어있으며, 최근에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강우가 발생하는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시간과 지역에 관계없이 국지성호우의 발생빈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집중호우와 국지성호우는 짧은 시간에 하천수위를 상승시키므로 홍수로 인한 물적 피해가 크게 발생된다. 국토교통부에서는 그동안 홍수예보에 필수적인 우량, 하천수위 등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관측소(500여개) 및 홍수량 측정지점(80여개)을 확대하였으며, 관측된 자료는 모두 전산망에 기록, 보관하고 있다. 또한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의 경우 홍수통제소에서 홍수량 예측 계산 등을 통해 홍수 예경보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4대강을 제외한 중소하천의 홍수예경보에 대한 정보를 찾아볼 수 없으며, 현재 연구가 진행중이다.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하여 중소하천의 강우와 유출의 관계를 해석하는 과정은 다양한 인자를 고려해야하지만 중소하천의 경우 하천단면 등 하천자료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못하므로 유출량 계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하천의 홍수위 예측을 위해 한강의 과거 수위와 현재 수위만을 활용하여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의 학습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ANN을 활용하여 한강유역 중 홍수예보지점(잠수교)의 수위변화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5개 수위관측소를 선정하였으며, 과거 장마기간(6~8월)관측 자료를 활용하였다. 두 번째로 홍수예보지점(잠수교)과 5개 수위관측소의 과거 관측수위(2009~2014년)를 인공신경망의 학습자료로 활용하여 모델을 훈련시켰으며, 마지막으로 2015년의 관측수위를 이용하여 ANN의 학습정확도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본 과정은 수위예측을 위한 ANN의 훈련단계로 Training/Test를 반복하였으며, 학습결과와 2015년 관측수위 비교시 $R^2=0.987$과 상관계수 r=0.994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나 최대치와 최소치에 대한 오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election Methods of Multi-Constellation SBAS in WAAS-EGNOS Overlap Region (WAAS-EGNOS 중첩 영역 내 위성기반 보강시스템 선택 기법 연구)

  • Kim, Mingyu;Kim, Jeongrae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3 no.3
    • /
    • pp.237-244
    • /
    • 2019
  • Since SBAS provides users with GNSS orbit, clock, and ionospheric corrections and integrity, the more precise positioning is possible. As the SBAS service area is expan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SBAS and the installation of the additional ground stations, there is a region where two or more SBAS messages can be received. However, the research on multi-constellation SBAS selection method has not carried out.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result of positioning accuracy after applying the SBAS correction selected by using WAAS priority, EGNOS priority, or error covariance comparison method to LEO satellites in the regions where WAAS and EGNOS signals are transmitted simultaneously. When using WAAS priority method, 3D orbit error is smallest at 2.57 m. The covariance comparison method is outperform at the center of the overlap region far from each WAAS and EGNOS stations. In the eastern region near the EGNOS stations, the 3D orbit errors using EGNOS priority method is 8% smaller than the errors using the WAAS priority method.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도심지의 면적강우량 산정

  • Jeung, Se Jin;Kim, Young Gon;Lee, Suk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6-96
    • /
    • 2016
  •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적 요인과 지역별 온도차 등으로 인해 국지성 호우가 빈발하고 있다. 많은 양의 폭우가 좁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를 뿌리는 국지성 호우는 저지대 침수와 범람, 산사태, 축대 붕괴 등의 위험성 등을 증가시키며, 특히 도시지역은 개발로 인한 지표면의 포장 등 자연공간이 감소하여 개발 전 지표면의 유역 내 저류 및 지연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 시가지의 확대와 도로포장 등 유역 내 불투수층의 증가로 홍수유출량과 첨두유출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국지성 호우에 의한 피해는 점점 다양해지고 대형화 되고 있으며, 버스정류장 한 두개 정도의 거리에서도 호우형태가 크게 달라지고 있다. 하지만 영동지방의 경우 1개의 관측소가 $834.4km^2$, 낙동강 유역의 경우 $126.8km^2$로 간헐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많은 양의 폭우가 좁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를 뿌리는 국지성 호우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고밀도의 면적강우량 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하여 W-S-R 관계식을 개발하였으며, 대상지역인 삼척시내를 대상으로 면적강우량을 산정 하였으며, 실제 관측 면적강우량과의 비교를 통해 차량용 강우 센서를 이용하여 생산된 면적강우량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urges on Information Devices Installed in a Power Substation (변전소내 정보기기에서 서지의 측정과 분석)

  • Song Jae-yong;Park Dae-won;Seo Hwang-dong;Han Joo-sup;Kil Gyung-s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9 no.2
    • /
    • pp.289-294
    • /
    • 2005
  • This paper deals with the analysis results of surge voltage and current measured on information devices installed in a power substation. The power recorder to measure surge voltage and current was connected to signal lines near power transformers and switches, and the time resolution of the power recorder is 4 MS/s. Peak value of the measured surge voltage and current were ranges of 500~1,300v and 500~3,100k,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of measurement, over 5~10 events per day were recorded. Consequently, information devices installed in around high voltage power facilities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surge voltage and current caused in the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