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측기기

Search Result 29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oncept Design of a K-GMT Fiber-fed Multi-Object Spectroscopy

  • Hong, Sungwook E.;Park, Changbom;Chung, Hae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2
    • /
    • pp.37.1-37.1
    • /
    • 2016
  • 2022년부터 가동되는 거대 마젤란 망원경(GMT)은 1시간 노출로 I 필터 24등급 이상의 어두운 천체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 경우 10초 지름의 시계 안에 3천 개 이상의 관측 가능한 천체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GMT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은하와 항성에 대한 광시야 분광 탐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 번에 여러 곳에 존재하는 수천 개의 천체를 동시에 분광할 수 있는 광섬유 다천체 분광기기가 필요하지만, 현재까지 제안된 GMT의 1세대 기기 중에서는 이를 동시에 만족하는 기기가 없다. 본 발표에서는 가시광선 영역의 분광기 13대를 연결하여 2천 개의 천체를 동시에 분광하는 기기의 개념 설계를 제안하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다른 다천체 분광기기 디자인과의 비교를 수행한다.

  • PDF

Analysis of the Flood Discharge Measurement and Flood Stage Reduction Effect by the Stream Detention Basins (제주도 홍수유량 계측 및 저류지 홍수위 저감효과 분석)

  • Kim, Dong-Su;Yang, Sung-Kee;Yu, Kwon-Kyu;Kang, Meoyng-Su;Jung, Woo-Yul;Lee, J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70-170
    • /
    • 2012
  • 제주도는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태풍의 증가로 집중호우의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지난 태풍 나리로 인해 발생한 제주시에서의 극심한 재해로 태풍 시 홍수 유량 관측 및 저류지의 건설로 인한 저류효과의 분석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제주대학교 주관의 제주도 물순환 해석 및 수자원 관리체계 구축 사업단은 제주도 환경에 적합한 유량조사기법을 적용 및 개발 중에 있으며 특히 집중 호우 시 유량 계측을 비롯한 제주 유량 자료 확보 방안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제주도 연구단은 지난 여름 태풍 무이파 때 제주시 하천의 제 2동산교에서 다양한 계측 방식을 활용하여 유량관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태풍 무이파는 강한 중형 태풍으로 제주도 산간 지역에 700mm 이상의 집중호우를 보여 제주 하천에 많은 양의 유출을 발생시키고 일부 재산 및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다. 홍수 유량의 계측은 지금까지도 최적화된 계측 방식이 확립되지 못했고 그 측정의 어려움과 계측기기의 한계로 봉부자 같은 전통적인 방식의 홍수유량 측정방식이 여전히 통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본 연구단은 최신 관측기법인 비접촉식의 표면영상유속계와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사용하여 전 강우 지속시간 동안 유량을 매 시간마다 관측하여 수문곡선을 완성하여 홍수 유량 계측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었다. 계측 결과 홍수유출 시 한천 상류의 제 1,2 저류지가 가동되어 저류효과가 수문곡선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홍수 유출 시 나타나는 대표적인 특이 경향이 수위-유량곡선의 이격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홍수 유출은 단순히 수위 자료만으로는 부족하고 유속자료를 동시에 관측해야 정확한 계측치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최신 계측기기인 표면영상유속계와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유속 관측값의 상호비교도 실시하여 관측기기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Creative Education Program of Astronomical Instrument Design and Observation: Development of the Small Spectrograph (창의 천문기기 개발 및 관측 교육 프로그램: 소형 분광기 개발)

  • Heesu Yang;Jong-Kyun Chung
    • Journal of Spa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 /
    • v.4 no.2
    • /
    • pp.105-120
    • /
    • 2024
  • The abilities of system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PM) are essential in the development of large instrumentations in modern astronomy. We propose a novel undergraduate educational program that allows students to gain experience in system engineering and PM by making a practical small spectrograph along with its test observation. A pilot program titled "Creative Astronomical Instrument Development and Observation" was conducted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s a part of the Space Expert Training Program of Ministry of Science and ICT during the Fall semester of 2023. After five teams were organized from 24 participating students, each team manufactured a spectrograph and observed spectra of the Sun, Moon, or planets with it. The development process was guided by several reviews, and student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outcomes of their development processes and documentation. Through this program, students acquired fundamental principles of systems engineering and PM, as well as optical and mechanical engineering skills.

해운항만청의 파랑 관측 시스템 현황과 천해 국지 파랑 산출 시스템 구축 방안

  • 연영진;박광순;이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99-99
    • /
    • 1992
  • 해운항만청은 1986년 파랑관측업무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표준 파랑관측망과 국지 파랑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표준파랑관측망은 1987년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설치하여 1991년에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렀다. 이 표준파랑관측 시스템은 넓은 해역을 대표할 수 있는 곳에서 원칙적으로 파향스펙트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 현장관측 기기와 실시간 자료전달 시스템과 중앙자료센타로 구성되어 그 자료는 해운항만청, 기상청, 수산청, 해양경찰청, 해군, 내무부, 대하 및 연구기관과 해양산업체에서 다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중략)

  • PDF

Building River Information System using Electromagnetic River Measurement Devices (전자기파 기반의 하천계측기기를 활용한 다차원 하천정보화시스템 구축방안)

  • Kim, Dong-Su;Kang, Boo-Si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
    • /
    • pp.507-512
    • /
    • 2011
  • Recently, various new devices have been introduced, which are capable of quickly measuring river hydrodynamic and morphologic features in the very broad riverine area. These devices are changing paradigm of understanding rive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data-driven aspect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numerical modeling approaches based on the limited field observations. This paper demonstrates the representative features and applications of the several recent riverine devices such as ADCP, LSPIV, MBES and ABL. In addition, the paper introduces an example of river information system that incorporates and relates such two- and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and morphologic data on top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here their spatio-temporal variations are also able to be tracked.

Technical trend of measuring instrument for hydrological monitoring (수문 모니터링을 위한 계측기 기술 동향)

  • Kim, Eu-Gene;Oh, Chung-Whan;Kim, Nam-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42-846
    • /
    • 2010
  • 최근 수자원 분야에 있어서 IT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하천 현황 감시, 각종 수리, 수질 모형을 활용한 중단기 수리, 수질 예측, 모니터링 결과 또는 예측된 결과를 활용한 하천시설물의 통합 운영은 매우 중요한 화두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일련의 통합감시,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일련의 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초기 자료 수집을 위한 하드웨어의 설치는 가장 선행되는 과정임과 동시에 대다수의 수자원 종사자들이 익숙하지 않은 분야일 것이다. 획득된 초기 자료의 신뢰성, 정확성, 안정성은 특정한 사례를 예로 들지 않더라도 하천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계측기기 분야는 기술의 발전이 가장 빠른 분야 중에 하나이다. 또한 대다수의 수문 관측 하드웨어 즉 계측기기 분야를 외국의 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의 현실에 있어서 관리하고자 하는 하천의 현황 및 설치지점의 특성, 경제성 등을 고려한 적절한 계측기기의 설치는 그 중요성에 비하여 정보 획득의 어려움, 관련 지침 및 표준화 미비, 관심 부족 등의 이유로 다소 간과되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수문 모니터링을 위한 계측기 기술 동향을 관련기술, 관측방식, 제조사, 적용사례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수문 모니터링을 위한 관측망 구성에 있어서 최적의 계측기를 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Plan for Immersion Grating High-Dispersion Infrared Spectrographs (담금격자 적외선 고분산 분광기 개발 계획)

  • Lee, Sungho;Park, Chan;Hwang, Narae;Kim, Sanghyuk;Lee, Jae-Joon;Jeong, Ueejeong;Yuk, In-Soo;Park, Byeong-G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3 no.2
    • /
    • pp.43.5-44
    • /
    • 2018
  • 한국천문연구원은 미국 텍사스대학교(UT)와 협력하여 2009년부터 2013년까지 IGRINS 분광기를 개발하였다. IGRINS는 UT의 맥도널드(McDonald) 천문대 2.7미터 망원경과 로웰(Lowell) 천문대의 4.3미터 망원경, 제미니(Gemini) 천문대 8.1미터 망원경에 장착하여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한국천문연구원이 제미니 천문대 운영에 정식으로 참여하면서 IGRINS와 유사한 관측기기를 8.1미터 망원경 전용으로 개발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개발계획을 준비하고 있다. 담금격자(immsersion grating)를 사용하는 IGRINS는 거대마젤란망원경(GMT)의 1세대 관측기기 중 하나로 선정된 적외선 고분산 분광기 GMTNIRS의 핵심 요소기술을 검증하기 위한 선행개발 기기의 의미도 갖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011년 UT와 공동으로 GMTNIRS의 개념설계를 수행하였으며, 이후 개발팀에 카네기(Carnegie) 천문대가 합류하여 6.5미터 마젤란(Magellan) 망원경용으로 GMTNIRS와 유사한 담금격자 적외선 분광기를 개발하고 시험운영함으로써 GMTNIRS의 개발을 앞당기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 PDF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2006년 설마천 시험유역 운영)

  • Kim, Dong-Phil;Kim,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60-86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설마천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정확한 물 순환 과정을 규명하는데 있다. 강우량, 수위, 유속, 유량, 수질, 부유사량, 기상 등의 기본적인 수문관측 자료를 축적하는 것과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수문관측 기술개발과 각종 관측기기의 적합성 검증과 측정방법을 개선하는데 있다. 설마천 시험유역 수문관측은 해마다 노후화된 관측기기의 교체 및 추가 설치, 실시간 전송장비의 보완 및 운영, 각 관측소당 2종 이상의 동시 관측자료 확보 등을 통해 자료의 결측을 최소화하였으며, 정확도를 개선하여 양질의 자료를 생성할 수 있었다. 관측된 우량과 수위 자료에 대하여 일상적인 자료 검토 및 처리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체계화하여 자료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유량 측정 및 산정 방법을 국제 기준에 준하여 수행하여 보다 정도 높은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렇게 다각적인 방법으로 안정적인 관측 자료를 확보한 결과, 동절기를 제외한 전적비교와 사방교에서 무결측의 유역평균우량과 유량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전송장비와 설마천 시험유역 홈페이지(http://kict.datapcs.co.kr)를 통해 실시간으로 우량과 수위 자료를 인터넷과 PCS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운영하였으며, 이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설마천 시험유역의 현장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자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 본 시험유역의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수문 기상관측, 수문 기상자료 정리 검토, 기본 수문특성 분석, 수문관측방법의 비교 검토 등을 수행하였으며, 기본 수문특성 분석 내용으로는 호우사상 현황 분석, 지속기간별 최대 강우량 분석, 2종 우량계간의 강우량 비교, 6개 지점간 강우량 비교, 주요 호우사상의 시 공간적 분포 특성, 연간, 월별, 주요 호우사상별 유출률 분석과 부유사량 및 수질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이로써 산지 소하천 유역의 물 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 PDF

A Study on Continuous long-term Wave Observation using Remote Monitoring System (원격모니터링을 이용한 연속파랑관측에 관한 연구)

  • Shin, Bumshic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
    • /
    • pp.654-659
    • /
    • 2018
  • In this study, continuous long-term observation is implemented with an ocean radar. Ocean radar conducts remote observation (combined) with ground-based radars, which enable a series of simultaneous observations of an extensive range of the coast with high frequency. An ocean radar for continuous long-term observation is operated at Samcheok on the east coast of Korea. Samcheok experienced tsunami damage in recent years and is the loca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In order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ocean radar, a pressure-type wave gauge, ultrasonic wave gauge, and ocean buoy a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data comparison and verification. The ocean radar used in this study is an array-type HF-RADAR named WERA (WavE RAdar). The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from continuous long-term observations showed that the radar observations were in agreement with more than 90% of the wave data collected within a 25 km range from the center of two sites. Less than 1% of the entire observation data was unmeasured by the time series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adar data with the direct observations made by the wave gauge, it was inferred that the RMS deviation is less than 20cm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in the range of 0.84 ~ 0.87. Moreover, supported by such observations, a comprehensive monitoring system is being developed to provide the public with real-time reports on waves and currents via the internet.

K-GMT 2012

  • Park, Byeong-Gon;Kim, Yeong-Su;Gyeong, Jae-Man;Cheon, Mu-Yeong;Kim, Sang-Cheol;Yun, Yang-N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62.2-62.2
    • /
    • 2012
  • 한국천문연구원의 대형광학망원경 개발사업(K-GMT)은 거대마젤란망원경(GMT; Giant Magellan Telescope)의 지분 10% 확보를 목표로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수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2011년 GMT 프로젝트에서는 1세대 후보관측장비 개념설계검토회의 수행, 첫번째 주경 최종 마무리, GMT 핵심연구주제 확정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였다. 2012년에는 1세대 관측장비를 공식 선정 및 상세 설계 수행, GMT 자료처리센터 구축에 관한 개념설계, 연말로 예정된 GMT PDR 준비를 시작할 예정이다. 국내 사업에서는 GMT 핵심연구그룹 육성을 위하여 AAT 3.9m, CFHT 3.6m, Magellan 6.5m 망원경 활용 연구를 수행하였고 2012년에는 UKIRT 4m 등을 이용한 연구, 계절학교 개최등의 활동이 예정되어 있다. 부경개발분야에서는 시험모델에 대한 2011년 설계검토 및 제작준비완료검토에 이어 최종 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며 관측기기개발 분야에서는 GMT 1세대 관측장비 선정이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기기개발에 참여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