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정경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초

지층구조에 따른 해수 침투 특성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water Seepage According to Stratum Structures)

  • 안승섭;박동일;정도준;문상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82-1985
    • /
    • 2010
  • 해수침투는 대수층의 염분 농도를 증가시켜 지하수 염분화에 의한 용수의 부족 등을 야기시키며 다른 지하수 오염과 마찬가지로 회복에 대한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어 피해지역에 대한 정확한 현황파악이 어려워 피해방지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흐름과 이송을 모의할 수 있는 GMS-FEMWATER 모델을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지층구조를 구분하고 실제 대상지역의 지층과 동일하게 모델링하여 해안지역의 해수침투에 대한 특성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양수기간이 길어 질수록 지하수두강하 폭이 양수기간 30일, 60일, 90일 및 180일 경과 시 초기 수위에서 점차 4.25m (1.36%), 3.5m (1.13%), 2.96m (0.97%), 1.97m (0.65%)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수량이 많은 관정일수록 해수 침투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양수기간 30일 0.59mg/l, 채수 60일 1.65mg/l, 채수 90일 3.14mg/l, 180일 5.55mg/l으로 분석되었다. 이결과로 볼 때 양수기간 초기에서 기간이 지날 수록 해수침투가 큰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하수관측망을 이용한 밀양지역의 지하수 변화 분석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change using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in Miryang area.)

  • 백미경;심규성;김상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1-221
    • /
    • 2019
  •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대비가 상시체제가 된 요즈음,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가뭄 등의 비상시 지표수는 물론이고 지하수의 공급 가능량에 대해서도 국가적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지하수관리를 위해 국가 최상위 계획인'지하수관리기본계획(2012~2021)'이 수립되었고, 지하수의 장기적인 수량, 수질 관리를 위해 국가지하수관측망, 지역지하수관측망(보조지하수관측망), 수질측정망, 해수침투관측망 등 광역과 지역단위로 크게 나누어 지하수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지하수관측망은 지하수법에 의거하여 전국의 주요지점(2016년 말 기준 412개소)에 관측소를 설치하여 수위 및 수질의 변동실태를 광역적으로 분석함이 목적이며, 보조지하수관측망은 국가지하수관측망과 연계하고 보완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지역별 주요 관측지점의 수위, 수질자료를 획득하며, 2018년 9월 현재 3,429개소가 설치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지하수 관측망 중 경남밀양지역에 설치된 관측정 31개소에 대해 수위와 수질을 장기 분석하였다. 밀양지역의 보조지하수관측망 설치는 지하수관리계획의 하부계획인'경상남도 지하수관리계획(2015~2025)'에 의거 2012년에 6개소의 관측공이 설치를 시작으로, 2013년 7개소, 2014년 10개소, 2015년 8개소를 설치하여 총 31개소의 설치를 완료하였고, 2016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전체 관측정 31개소에 대하여 관측 운영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 1월~2019년 1월까지 지역의 누적강수량과 지하수위 및 수질변화를 관측하였다. 전 관측정에 대해 수위(GL.m), 수질(온도, EC)은 1시간 주기로 관측하였으며, 연 2회 생활용수 기준(19항목)의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지하수성분의 지질학적 기원분석을 위한 양음이온 분석을 연 1회 실시하였다. 관측정의 양수능력 변화관측을 위해 대수성 시험을 연 1회 실시하였고, 관측정의 특성상 장기간 미사용 관정이므로 최적의 상태유지를 위해 연1회 공내세척을 실시하였다. 또한, 관측정의 지형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관측정의 설치위치를 산악, 강변, 기타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대표관정에 대해 지형에 의한 서로 다른 영향을 분석하였고, 관측정의 심도별 변화를 알기위해 동일지역에 충적, 안반 관측정을 따로 설치하고 관측하여 지표수와 지하수의 심도별 영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동일지역의 관측결과 평균 5m이하의 수위변화를 보이나, 5m 이상의 수위변동을 보이는 관측망은 15년 14개소 17년 19개소로 증가추세를 보이며, 이는 주로 밀집된 시설하우스 단지의 수막재배를 위한 겨울철 지하수 사용량 증가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밀양지역은 강변지역에 밀집된 시설하우스단지의 동절기 수막재배를 위한 지하수 과다사용으로 수위급감 및 수량부족현상이 반복되고 있어, 예방과 대책강구를 위해 지표수의 함양과 지하수사용량의 상관관계 분석과 자료축적 및 추가연구를 위한 장기관측이 요구된다.

  • PDF

고려시대(高麗時代) 간행(刊行)의 불경판화(佛經版畵) 연구(硏究) (A Study on the Buddhist scripture published in the Goryeo Dynasty)

  • 석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73-404
    • /
    • 2018
  • 본 연구는 고려시대 제작된 불교 경전에 포함된 판화와 관련된 개괄적인 현황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고려시대 간행된 판화본 중 해인사 소장 대장경에 포함된 것은 ${\ll}$화엄경(華嚴經)${\gg}$ 주본(周本) 80점(5점 중복), 진본(晉本) 12점을 비롯하여 ${\ll}$예수경(豫修經)${\gg}$ 3종 44점과 송광사에 ${\ll}$천태은사한산습득시집(天台隱士寒山拾得詩集)${\gg}$의 판화 1점이 현전한다. 또한 초조대장경 중 현재 일본 남선사에는 소장된 ${\ll}$어제비장전(御製秘藏詮)${\gg}$ 권1-10까지에는 50개의 판화가 현전하며, 이것은 권11-20까지 중복해서 사용 되었으며, 권21에는 불전도(佛傳圖) 형식의 판화가 3점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 본고에 다룬 고려시대 간행된 불경 판화는 12종 19점으로, 중국에서 유입된 불경 판화의 모티브를 차용하면서도 고려인들만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독창적인 도상을 만들어 내었다는 점과, 특히 조선 초기 제작된 다양한 불경 판화의 원형을 제공해주고 있어 그 시원을 가늠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파킨슨 병(PD)의 후각기능 장애에 대한 호흡 명상 기공 효과 (Effects of Breathing, Meditation and Qigong on the Impairable Dysfunction of Olfactory Sense in the Parkinson's Disease)

  • 안소정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7-45
    • /
    • 2020
  • 목적 : 특발성파킨슨병(PD)은 운동증상(떨림, 운동 완서, 경직)과 비운동증상(통찰력과 인지 장애, 기분의 불편함, 우울증, 불안증, 후각 기능장애)이 있다. 이 연구는 호흡, 명상 및 기공 치유로 PD 비운동증상의 개선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 PD가 있는 대상자(11명)에게 An's-4444힐링호흡, An's관정힐링명상, An's힐링기공치유의 3단계를 1회에 80분 동안 12회 수행하고 치유 전후, 1개월 경과 후 3회 측정하여 측정치를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 12회 치유 후 통찰력과 인지장애에 대한 통합 파킨슨병 등급척도(UPDRSI) 수치는 69%, 우울증척도(HAMD)는 61%, 불안증(HAMA)은 64%, 후각 기능장애 냄새식별 테스트(TSI)는 82%로 각각 개선되었다. 치유 1개월 경과 후의 수치는 4개 척도 모두 차이가 없었다. 이는 치유 후 1개월 경과 후까지 효과가 유지됨을 의미한다. 결론 : An's 호흡, 명상 및 기공요법으로 PD비운동증상이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다. 특히 후각기능장애 개선으로, 향기를 맡게 되어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결과는 호흡, 명상 및 기공요법이 PD의 비운동성 증상을 개선 및 치유하는 자연요법으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며, 의생명과학적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인용문헌(引用文獻) 분석고(分析考)(1) - 농학분야(農學分野)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itation Analysis of Limwonsibyukji)

  • 노기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75-403
    • /
    • 2006
  • 이 연구는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가운데 농학분야(農學分野)에 속하는 6개 (지)志의 인용문헌(引用文獻)을 분석한 논문이다. 분석결과, 인용문헌(引用文獻)의 표기상 오류(誤謬)로 확인된 문헌은 20종이며, 약서명(略書名) 또는 이서명(異書名)은 53증으로 확인되었다. 서명(書名)의 오기(誤記)와 약서명(略書名) 또는 이서명(異書名)을 정리하여 본 결과, 농학분야(農學分野)의 인용문헌(引用文獻)은 총 357종, 인용회수는 총 5349회로 밝혀졌다. 그리고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의 농학분야(農學分野) 편찬에 인용회수가 100회 이상인 핵심문헌은 군방보(群芳譜)(667회), 농서(왕정)(農書(王禎))(299회), 농정전서(農政全書)(296회), 본초강목(本草綱目)(268회), 재민요술(齋民要術)(264회),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251회),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250회), 행포지(杏蒲志)(213회),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137회), 호주목단사(毫州牧丹史)(107회) 등 10종으로 밝혀졌고, 농학분야(農學分野)인 6개 (지)志는 원문(1차 자료)의 직접인용을 통한 편찬 작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문자이동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letters Appeared in the Wu gou jing guang da tuo luo ni jing)

  • 류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9-275
    • /
    • 2003
  • 본고는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현존본 사이에서 형성된 문자이동의 유형을 고찰하여, 한국의 경주 석가탑에서 발견된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문자이동 상태를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원문은 돈황사경이 현존본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원문 상태이며, 이것은 방산석경ㆍ조성장ㆍ고려장에 와서 한번 변화되었고, 다시 석가탑에서 발견된 無垢淨光大陀羅尼經ㆍ자복장ㆍ적사장ㆍ영락남장ㆍ경산장ㆍ청장에서 크게 변화된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석가탑에서 발견된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문자이동 상태는 자복장과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는 바 석가탑에서 발견된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저본과 계통은 자복장의 저본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지속가능한 협력 모델로서 하티트러스트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HathiTrust as a Sustainable Cooperative Model of Digital Repositories)

  • 이유경;성윤아;정영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43-464
    • /
    • 2016
  • 세계의 많은 기관들은 학술 정보 유통을 위해 디지털 리포지터리들을 구축해왔다. 동시에 디지털 리포지터리들은 증가하는 디지털 자원을 어떻게 장기적으로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정보 환경 구축할 것인가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하티트러스트(HathiTrust) 파트너십은 미국 연구도서관들의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지속가능한 협력 모델의 필요성에 의해 시작하여 전 세계의 리포지터리들과의 체결을 통해 점차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티트러스트의 설립배경부터 구축, 운영 및 정책, 현황 및 이용 서비스에 이르는 전반적인 사례와 실질적인 운영 과정 등을 다루었고 또한 하티트러스트의 효과와 앞으로 기대되는 가능성 등을 파트너십 단위 기관의 시각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하티트러스트를 통해 파트너십 기관들은 효과적인 운영 비용, 디지털 콘텐츠의 공동 관리 및 장기 보존, 저작권 관리의 용이성, 접근성 확대 등의 특장점이 있으며, 향후에는 인쇄물의 공동보존서고 운영, 빅데이터 분석 토대 마련 등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chool Library Law of Korea and Japan)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3-51
    • /
    • 2017
  •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제정의 배경과 경과를 살펴보고 학교도서관법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고 분석한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학교도서관법은 정부입법이 아닌 의원입법으로 제정되었다. 그리고 정부기관이 아닌 NGO 활동이 학교도서관법 제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학교도서관법 구성요소 중 공통되는 요소는 목적, 정의, 국가의 책무, 설치, 업무, 인적자원, 협력망, 교육 등이다. 학교도서관 업무는 한국의 경우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고, 일본은 도서관자료의 수집, 정리와 여러 가지 행사 개최 등 학교도서관의 기본적인 업무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은 한국의 경우 사서교사, 실기교사, 사서 중에서 아무나 둘 수 있도록 하고 의무규정이 아니라 임의규정으로 되어 있는데 비하여 일본은 사서교사와 학교사서로 구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시설과 자료에 대한 규정은 한국은 자세하게 규정되어 있으나 일본은 시설과 자료에 대한 규정이 없다. 학교도서관의 교육은 한국의 경우 독서교육과 정보이용교육을 실시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포함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일본은 도서관 이용지도 만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독서교육에 대한 내용은 제외되어 있다.

대학도서관 사서 역량개발 방향 탐색을 위한 직원교육 현황분석 (An Analysis of Continuing Education Status for Competency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ians)

  • 최윤희;정유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55-277
    • /
    • 2021
  • 본 연구는 사서의 자기계발 관심영역을 알아보기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가 한 해 동안 수강한 교육이수내역을 바탕으로 사서 계속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실시한 대학도서관 통계의 직원 교육훈련 항목을 활용하였으며, 사서들의 교육이수내역 30,404건을 대상으로 직원교육의 핵심 키워드를 부여하고 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사서의 선호 교육주제, 대학 규모별, 지역별, 월별 관심 있는 교육주제 등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체 수강강좌의 주제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직원교육 주제는 'DB이용'과 '자료목록'으로 나타났으며, 대학 유형(대학/전문대학)과 규모, 지역 등에서 사서의 교육훈련 관심영역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서들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량에 비해 '정보자원 및 평가'와 관련된 주제 영역에 관심이 치우쳐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교육이수내역 전수조사를 통해 교육의 주제영역에 따른 현황을 파악한 것으로, 향후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실질적인 관심사를 반영하고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린이 건강과 관련한 어머니들의 정보탐색 경로 (Information-Seeking Pathways by Mothers in the Context of Their Children's Health)

  • 이한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1-48
    • /
    • 2021
  • 오늘날,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에서 무수히 많은 건강정보가 시시각각 쏟아지면서 대중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건강에 대한 정보탐색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만 0-3세 건강한 영유아들의 건강정보를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어머니들의 건강정보 탐색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24명의 미국인, 한국인,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이민자 어머니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아이에 대한 건강정보를 탐색할 때 어떠한 정보원들을 순차적으로 활용하는지 탐색경로를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들의 건강정보탐색 경로는 아이의 건강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정보원과 탐색주제의 측면에서 눈에 띄는 차이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아이가 아플 때는 특정 질병이나 증상에 대한 정보를 중점적으로 먼저 탐색하지만, 아이가 아프지 않을 때는 성장, 발육, 식단, 육아 등 다양한 주제의 정보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활용되는 정보원과 관련하여, 아이가 아플 때보다 아프지 않을 때 더욱 다양한 건강정보원들(예컨대, 공공도서관, 정부기관, 어린이집 교사 등)이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각 어머니들 그룹에 따라 활용되는 정보원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활용하여, 국내외 정보 전문가들은 어떠한 정보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할 수 있을지 논의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