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 탈구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8초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치료방침의 결정 (Stabilization in the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here Do We Stand Today?)

  • 이용걸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4년도 연수강좌
    • /
    • pp.112-116
    • /
    • 2004
  • 전방 탈구인 경우 첫탈구이거나 생애에 몇번만 탈구를 경험하고 일상생활에 별 지장이 없다면 보존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early surgey가 요구되는 경우는, 첫탈구가 teen aged이면 관절경적 수술을, 골편이 큰 Bankart병변이 있는 첫탈구는 수술하는 것이 좋다. 전방 불안정성인 경우, collision sports는 개방술로, non-athletes이거나 throwing 또는 contact sports는 관절경술로 시행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가 명심하여야 할 것은 전방 불안정성을 다루는데 환자의 입장에서 서야 한다는 것이다. 의사의 능력 정도나 욕망보다도 환자의 상태, 활동 정도와 환자의 요구에 맞추어 환자를 치료하여야 한다.

  • PDF

대퇴관절 전치환술을 이용하여 개의 재발되는 대퇴관절 탈구증의 치료 (Treatment of Recurrent Coxofemoral Joint Luxation by Total Hip Replacement in a Dog)

  • 김주호;허수영;김민수;이기창;김남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5-128
    • /
    • 2014
  • 38 kg, 7년령의 골든리트리버가 대퇴관절 탈구증으로 의뢰되었다. 신체검사에서는 왼쪽 뒷다리를 신전시킬 때 통증과 염발음이 확인되었다. 방사선 검사를 통해 왼쪽 대퇴관절 탈구증 및 경도의 퇴행성 골변화가 관찰되었다. 치료로서 TightRope$^{(R)}$를 이용한 최소침습 관절경적 정복을 하였으나, 수술 후 한달이 지나 재탈구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해 무시멘트형 대퇴관절 전치환술을 실시하였다. 수술 후 10개월 경과된 결과, 환자는 정상적으로 앉기, 서기, 보행을 보였으며, 특이한 파행없이 편안하게 뛸 수 있었다. 수술한 뒷다리의 허벅지둘레는 반대쪽 다리의 그것에 비해 108.6%였다. 이 증례를 통해 대퇴관절 전치환술은 대퇴관절 정복이 실패하여 재탈구된 개의 대퇴관절 탈구 치료에 효과적인 수술법이 될 수 있다.

유도 선수에서 발생한 수지 근위 지관절의 재발성 전방 회전 탈구 - 1례 보고 - (Recurrent Volar Rotatory Dislocation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Finger in Judo Player - A Case Report -)

  • 황정철;정덕환;한정수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1-55
    • /
    • 2009
  • 수지 근위 지관절의 전방 회전 탈구는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저자들은 여자 유도 선수에서 발생한 수지 근위 지관절의 전방회전 탈구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24세 여자 유도 선수로 총 4번의 근위 지관절 전방 탈구가 발생하였다. 수술 시 회전 손상으로 파열된 척측 측부 인대와 파열 없이 늘어져 있는 중앙 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술적 치료로 파열된 척측 측부 인대 봉합술과 중앙 건과 측부대 사이를 봉합하여 근위 지관절의 배측부를 강화 시켜주었다. 술 후 운동시에 탈구는 다시 발생하지 않았다. 수지 근위 지관절의 전방 회전 탈구는 매우 드문 손상이지만 다른 탈구처럼 조기 진단과 치료, 그리고 단계적인 재활이 무엇보다 중요하겠다.

  • PDF

고라니에서 최소침습적 관절경과 TightRope®의 이용한 엉덩관절탈구 교정 증례 (Minimally Invasive Arthroscopic-Assisted Reduction with TightRope® for Coxofemoral Luxation in a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opus))

  • 허수영;설재원;박지영;정성목;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40-543
    • /
    • 2015
  • 왼쪽 뒷다리 체중부하 없는 파행을 가진 고라니가 구조 되었다. 임상검사와 방사선검사에서 앞쪽외측 엉덩 관절 탈구로 진단되었고 탈구에 원인은 확인 할 수 없었다. 고나리에 앞쪽외측 엉덩 관절 탈구는 토글 핀(mini-TightRope$^{(R)}$)과 관절경을 이용하여 최소 침습적 방법을 통해 교정 하였다. 고라니에 앞쪽외측 엉덩관절 탈구는 수술 후 성공적으로 교정되었다. 수술 후 60일후 고라니는 자연으로 복귀 할 수 있었다. 이번에 사용된 토글핀과 관절경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인 엉덩관절 탈구 교정법은 야생동물에서 성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정복 불가능한 슬관절 탈구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Reduction of Irreducible Knee Dislocation - A Case Report -)

  • 정진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1-164
    • /
    • 2009
  • 외상성 슬관절 탈구 중 도수 정복되지 않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대개는 관혈적 정복술을 요한다. 본 증례는 도수 정복되지않는 슬관절 탈구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경험으로 자기공명 영상에서 정복을 방해하는 내측 인대 및 관절낭 구조물을 관찰하고 관절경 검사로 확인한 후 대퇴골 내측와가 완전히 관찰되고 관절이 정복 될 때까지 끼어있는 조직을 제거하였으며 인대 봉합이나 재건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술 후 약 4주간의 신전상태에서 고정 후 점진적인 관절운동 및 체중부하 보행을 허용하였다. 3년 추시 관찰에서 경도의 슬관절 불안정성은 있었으나 일상생활에 지장 없었으며 정상범위의 관절운동범위를 회복하였다.

  • PDF

견관절 불안정성 진단 및 치료방침의 결정

  • 최창혁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7년도 제5차 연수강좌
    • /
    • pp.104-109
    • /
    • 2007
  • 외상성 전방탈구의 경우 일차성 탈구이거나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불안정성이 있을 경우 및 비외상성 다방향 불안정성의 경우 보존적 치료가 바람직하며, 10대 및 20대의 재탈구로 인한 불안정성이 유발될 경우 관절경적 혹은 개방성 Bankart 술식을 통하여 관절순의 해부학적 정복 및 술 후 잘 조절된 재활치료를 시행할 경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치료 방법의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환자의 원하는 결과를 만족 시켜줄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며, 이는 불안정성의 원인, 정도, 탈구의 횟수, 환자의 활동도 및 재활 의지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 PDF

견관절 전방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 발생한 이중 Hill-Sachs 병변 - 증례 보고 - (Double Hill-Sachs Lesion in a Recurrent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Patient -A Case Report -)

  • 김용민;박경진;김동수;최의성;손현철;조병기;홍경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24
    • /
    • 2011
  • Hill-Sachs 병변은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병변으로 상완골두의 후외방 골결손으로 지칭된다. 처음 탈구되는 환자에서도 관찰될 수 있으며, 탈구가 진행될 될수록 진행하여 탈구의 수와 Hill-Sachs 병변의 관찰정도는 비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ill-Sachs 병변의 위치와 유무는 견관절 불안정성에 중요한 의미를 띄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저자들은 재발성 전방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동반된 이중 Hill-Sachs 병변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단순 견인으로 정복되지 않는 슬관절 후외측 회전 탈구의 비관혈적 정복 (Closed Reduction of Irreducible Posterolateral Rotatory Knee Dislocation)

  • 이화성;이상헌;이세원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95-100
    • /
    • 2020
  • 일반적으로 슬관절 탈구의 대부분은 단순 견인에 의하여 쉽게 정복된다. 매우 드물게 슬관절 탈구에서 도수정복을 시도하나 파열된 인대나 근육이 관절에 끼어 정복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정복되지 않는 슬관절 탈구의 증례가 종종 보고되었으나 넙다리빗근(sartorius muscle)에 의한 포착으로 인한 경우는 문헌상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단순 견인으로 정복되지 않는 슬관절 후외측 회전 탈구를 비관혈적 도수정복으로 정복한 증례 1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이 증례는 임상의가 도수정복으로 정복되지 않는 슬관절 탈구를 경험할 때 임상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짚어 보는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성 관절와 병변 (Glenoid lesion in Traumatic Anterior Instability of Shoulder)

  • 이승준;박진영;금정섭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23-26
    • /
    • 2007
  • 관절와 병변은 급성 외상으로 인한 골절뿐 아니라 불안정성으로 인한 골 침윤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진단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전방 탈구와 동반된 전방 관절와 골절의 빈도는 5.4%에서 32%까지 보고되었다. Hovelius 등이 226명의 탈구환자를 대상으로한 연구에서 8%의 관절와 골절이 있었다고 보고하였고, 노령의 환자에서 약간의 빈도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또한 Rowe는 전방 관절와 골절이 있는 27명의 환자에서 기계적 안정성의 결함으로 62%의 재발성 탈구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보다 최근의 방카르트 술기에 대한 보고에서 수술적 처치를 한 환자중 44%가 관절와 골절을 동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Rowe 와 Zarins는 다발성 전방탈구 환자에서 관절와 병변이 잘 치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낸다고 보고하였다. 전자에 따르면, 관절와 병변을 진단하는 것은 중요하며 환자의 최종적 예후는 이를 어떻게 치료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였다. 관절와 상완관절의 불안정성에서 동반된 관절와 병변의 진단은 보존적 치료시나 수술적 치료 시 모두 중요한 인자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