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 주위 연부 조직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슬관절 주위에 발생한 연부조직 골육종 - 증례 보고 - (Extraskeletal Osteosarcoma Around the Knee Joint - A Case Report -)

  • 이봉진;김태호;하창원;김성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1-86
    • /
    • 2009
  • 연부조직에 발생되는 골육종은 매우 드문 종양으로, 세계적으로 소수의 예가 보고되었으며 한국에서는 2례가 보고되었을 뿐이다. 문헌상 세계에서 최고령의 증례인 91 세 남자에서 외상, 방사선 조사, 화골성 근염, 피부 근염 등과 관련없이 슬관절 주위에 발생한 연부조직 골육종을 경험하였다. 절제술만으로 치료하였으며, 환자는 수술 후 1년 추시 상 생존해 있고 국소재발이나 전이의 징후가 없으며 슬관절의 기능도 양호한 상태이다.

  • PDF

투구 손상의 보존적 치료 (Conservative treatment of throwing injury)

  • 박진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27-135
    • /
    • 2003
  • 투구 동작은 선수 견관절의 연부 조직이 심한 스트레스를 주며 이와 같은 투구 동작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와상완 관절 위에 좋은 운동 범위를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투수의 견관절 손상은 급성 외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흔히 반복적인 투구에 의한 과사용 손상의 결과로 발생한다. 견관절 주위의 근육이나 연부 조직의 균형이 깨진다면 이는 와상완 관절에 생역학을 변화시켜 이차적으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투수가 건강한 견관절을 유지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정기적인 견관절 강화 프로그램이지 만 근육의 손상이나 약화로 잘 맞은 균형상태가 깨진다면 견관절의 불안정성과 손상이 발생된다. 치료를 시행하는 의사는 먼저 투구 동작과 각각의 근육 연부 조직의 기능을 이해해 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투수의 견관절 손상에 대한 이학적 검사와 진단을 시행해야 한다 진단이 시행된 후에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의 장단점을 잘 이해하고 이에 대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좋은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요통의 해부학적 고찰 (A Comprehensive Anatomical Approach to Low Back Pain)

  • 김용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0권2호
    • /
    • pp.149-159
    • /
    • 1998
  • 요추가 제기능을 다하려면 추체와 디스크 및 후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주위 연부조직이 정상적 위치에 있어야한다. 또한 체중을 지탱하는 역학적 관계로 볼 때 척주(vertebral column)의 운동범위가 가장 큰 부위가 요천추관절이므로 항상 구조적 변화가 잘 일어난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요통 발생은 요추부의 해부학적 구조 중 후관절, 추체, 추간판의 역학적 관계를 고찰을 통해서 본 결과 어느 특정한 한 부위에서 발생한 것 보다는 추체, 추간판, 후관절의 변화에 따른 주위 연부조직의 변화도 함께 동반 손상이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요통이란 용어는 포괄적인 개념에서 다양한 원인과 증상을 동반하는 매우 광범위한 질병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요통의 해부학적 고찰을 통해서 미비하나마, 요통은 디스크의 문제라는 일반적인 개념에서 탈피해서 여러 가지 복잡 다양한 원인과 증상을 알아보았다. 요통의 치료는 그 원인에 따라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좀더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생각된다.

  • PDF

Calcifying Aponeurotic Fibroma : A Case Report

  • 최준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223-228
    • /
    • 2003
  • 석회화건막섬유종은 매우 드문 양성 연부조직 종양으로 소아와 청소년기에 팔다리, 특히 손과 발에 발생한다. 저자들은 오른쪽 엄지손가락에 발생한 석회화건막섬유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14세 남자가 오른쪽 엄지손가락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소견에서 연부조직 병변이 오른쪽 엄지손가락의 손허리손가락관절 부위에 관찰되었다. 종괴에 대한 절제가 시행되었다. 절제된 종괴는 $2.0{\times}1.5cm$ 크기의 회백색을 띠는 섬유성 조직이었다. 조직학적으로 종괴는 섬유모세포의 증식과 주위조직으로 침윤성 성장을 보였다. 종괴 내부에 부분적인 석회화와 연골 분화가 관찰되었다.

  • PDF

슬개하 지방체에 발생한 관절 주위 연골종 - 증례 보고 - (Para-articular chondroma in the infrapatellar fat pad - A case report -)

  • 남일현;안길영;문기혁;이영현;최성필;김정현;백애란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5-108
    • /
    • 2011
  • 주변골과 연결성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계 외의 연골종에는 활액막성 연골종증, 관절 내 및 관절 주위 연골종, 연부 조직성 연골종 등이 있으며, 후자의 두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 증례는 20세 군인이 심한 훈련을 한 후 발생한 슬관절의 압통, 굴곡시의 통증과 충만감, 운동 제한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x-ray와 MRI 검사에서 발견한 종괴에 대한 것으로, 이 종괴에 대해 절제술이 시행되었으며, $5.5{\times}4{\times}3$ cm 크기의 단단한 고립성 종괴였다. 현미경 소견 상 종괴는 소엽상을 이루는 초자 연골이 바깥쪽의 섬유성 피막에 의해 싸여져 있었으며, 이에 관절 주위 연골종으로 진단하였다. 저자들은 슬관절 슬개하 지방체에서 발생한 관절 주위 연골종 1 예를 경험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소견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고관절 초음파의 정상 소견 및 고관절 주위 질환의 초음파 소견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Normal Hip Joint and Painful Hip due to Soft Tissue Problem)

  • 남우동;남신우;한계영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8-46
    • /
    • 2010
  • 고관절에 위치한 골, 관절 및 주위 연부 조직의 병변은 고관절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진단하기 위해 기초적인 이학적 검사와 단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고, 경우에 따라 CT, MRI 등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건과 점액낭 등의 연부조직 병변 대해서는 초음파 검사가 비침습적이고 역동적인 검사가 가능하고, 고관절에 대한 수술 후 추시 검사 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성인의 고관절은 심부에 위치하여 그 검사가 힘들고 비만인 환자에게는 적용하기 힘든 경우도 있다. 이에 고관절 주위의 구조물들의 정상적 초음파 소견과 고관절 질환의 병적 소견을 알아보고 또한 기타 활용 방안에 대해 설명하였다.

  • PDF

슬관절 주위 재건물 감염 후유증 시 슬관절 상하부 종양인공관절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Limb Salvage Using a Combined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Replacement in the Sequelae of an Infected Reconstruction on Either Side of the Knee Joint)

  • 전대근;조완형;박환성;남희승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7-44
    • /
    • 2019
  • 목적: 슬관절 주위 악성 골연부 종양 치료 시 종양의 도약전이나 슬관절 내 침범, 종양인공관절 치환술 후 반복적 감염 치료를 위한 인접골 절제, 국소재발 및 기계적 파괴가 발생한 경우 슬관절 상하부 전치환술은 하지와 슬관절 기능을 보존하는 한 방법이다. 이 중 반복된 감염 치료를 위해 슬관절면 반대측 골까지 절제 후 한시적 슬관절 고정술을 한 환자에서 가동관절로 재치환술 시 적응증, 합병증, 치환물의 생존율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슬관절 상하부 전치환술 환자 34예 중 슬관절 주위 종양인공관절 치환술 후 반복적인 감염으로 슬관절면 반대측 골까지 절제한 후 한시적 슬관절 고정술이 불가피했던 1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원발병소의 위치, 슬관절 상하부 전치 환술을 받기 전까지 수술 횟수 및 기간, 재 재건술 후 치환물의 생존율, 합병증, 기능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슬관절 상하부 종양인공관절 치환물의 Kaplan-Meier 법에 의한 5, 10년 생존율은 각각 69.0%±12.8%, 46.0%±20.7%였다. 총 13예 중 6예(46.2%)에서 주 합병증이 발생하여 3예는 내고정물을 제거 후 슬관절 고정술을, 2예는 내고정물의 부분교체를, 나머지 1예는 감염된 육아조직만 제거하였다. 최종 추시상 가동관절을 유지한 10예의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기능평가 점수는 평균 24.6점(21-27점)이었다. 슬관절 상하부 종양인공관절 치환술이 실패하여 슬관절 고정술로 재치환 한 3예의 기능평가 평균 점수는 12.3점(12-13점)이었다. 가동관절을 유지한 10예의 슬관절 가동 범위는 평균 67°였다(0°-100°). 슬관절 능동적 신전제한은 평균 48° (20°-80°)였다. 결론: 슬관절 주위 종양인공 치환술 후 반복적인 감염으로 슬관절면 반대측 골까지 절제 후 한시적 슬관절 고정술이 불가피했던 환자에서 슬관절 상하부 종양인공관절 치환술은 합병증의 위험성은 높으나 슬관절 고정술에 비해 기능적 결과가 월등하므로 시도할 가치가 있는 술식이다. 고정된 슬관절을 가동관절로 치환 시 반흔 조직을 철저히 제거하고 연부조직을 확보하여 종양인공관절을 삽입 후 굴곡 및 신전이 가능할 정도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술식의 성공에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비골 동맥 천공지 기저 프로펠러 피판술을 이용한 족관절 주위 연부조직 결손의 재건술: 4예 보고 (Peroneal Artery Perforator-Based Propeller Flaps for Reconstruction of Soft Tissue Defect around the Ankle Joint: A Report of Four Cases)

  • 조병기;박지강;박경진;정수리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22-226
    • /
    • 2014
  • Four patients with soft tissue defects around the ankle joint were covered with peroneal artery perforator-based propeller flaps. Using color Doppler sonography, the flap was designed by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erforator and soft tissue defects. The procedure was then performed by rotating the flap by $180^{\circ}$. Additional skin graft was required in a patient due to partial necrosis, and delayed wound repair was performed in another patient with poor blood circulation at the distal part of the flap. The remaining patients did not have any complications and results were considered excellent. Good outcomes were eventually obtained for all patients.

충돌증후군을 동반한 회전근개에 발생한 결절성 통풍 - 증례 보고 - (Tophaceous Gout in the Rotator Cuff with Impingement Syndrome - A Case Report -)

  • 이우승;윤정로;김영배;강규복;윤호현;이지운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65
    • /
    • 2013
  • 결절성 통풍은 활액, 점액낭, 연골 혹은 기타 연부조직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회전근개 또는 점액낭 내의 결정성 통풍이 발생한 경우 비-출구 충돌(non-outlet impingement)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만성 결절성 통풍을 앓고 있는 환자가 견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회전근개 및 그 주위 조직에 발생한 결절성 통풍에 의한 충돌증후군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저자들은 50세 남자 환자의 충돌증후군을 동반하는 회전근개에 발생한 결절성 통풍을 경험하였고, 이에 대하여 관절경하 변연 절제술 및 견봉하 감압술을 시행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상완 골두 골괴사증에서의 관절경하 핵심 감압술 - 수술 술기 - (Arthroscopic assisted Core Decompression of Humeral Head Osteonecrosis - Technical Note -)

  • 조철현;손승원;배기철;김동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4-178
    • /
    • 2009
  • 목적: 상완 골두 골괴사증에서의 관절경하 핵심 갑압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후방 및 전방 삽입구를 이용하여 진단적 관절경을 시행하고 견봉 외측 연의 전방 1/3 부위의 3 cm 하방에 2cm의 천공술을 위한 삽입구를 만든 후, 유도핀 삽입시 주위 연부 조직 손상을 막기 위해 짧게 만든 회색 도관를 위치시킨다. C-형 투시 장치를 견관절의 전후방에 정확히 위치시키고, 관절경을 통해 상완 골두의 관절면을 관찰하면서 3~4개의 유도핀을 괴사 부위에 삽입한 후 7.0 mm 확공기를 이용하여 천공술을 시행한다. 결론: 본 술기는 기존의 삼각흉근 도달법을 이용한 개방적 핵심 감압술에 비해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견관절내 병변의 진단 및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술후 통증 및 재활에 유리하여 초기 상완 골두 골괴사증의 치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술식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