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면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39초

슬관절의 전방 십자 인대의 비후 (Hypertrophy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the Knee)

  • 조성도;박태우;조용선;김범수;류석우;양승오;김성숙;황수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3-68
    • /
    • 2001
  • 목적 : 전방 십자 인대의 비후라는 진단명과 이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및 병리학적인 특징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2월 이후 전방 십자 인대의 비후가 주진단으로 생각되었던 10명(12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2명, 여자가 8명이었으며 연령은 35세에서 67세까지였다. 임상적, 방사선학적 및 병리학적 소견들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결과 : 주증상은 특별한 외상병력이 없이 활동에 의해 악화되는 슬관절의 둔통이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동통으로 인한 슬관절 완전 신전의 제한이 있었다. 자기공명 시상면 영상에서 전방십자인대가 신호강도의 증가를 동반한 미만성 종창 또는 비후를 보여 전방 십자 인대의 급성 파열시 관찰될 수 있는 소견과 비슷하였다. 관절경 검사에서 전방십자인대가 심하게 비후되어 슬관절 완전 신전시 대퇴과간 절흔과의 충돌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병리학적 소견상 교원질의 증가 및 점액양 변성(myxoid degeneration)이 관찰되었다. 비후된 전방 십자 인대의 부분 절제술 및 절흔 성형술(notchplastry)로 동통 및 운동제한이 소실되었다. 결론 : 슬관절 동통을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중의 하나로 "전방 십자 인대의 비후"라는 새로운 진단명을 제시하는 바이며, 향후 본 증례들의 발생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하지 관절경 수술에 대하여 시행된 항응고 요법에 의한 혈액 응고 검사의 변화 : Enoxaparin versus Rivaroxaban (The Effect of Thromboprophylaxis in Lower Extremity Arthroscopic Surgery on Coagulation Test : Enoxaparin versus Rivaroxaban)

  • 박상은;백영웅;김종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1-127
    • /
    • 2012
  • 목적: 관절경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항응고 요법이 응고능에 미치는 영향과 대표적 항응고 약물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항응고 약물 중 두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한 환자들의 혈액 응고 검사를 수술 전후에 시행하여 수술 전 후 및 두 약물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관절경 수술을 시행한 47예의 슬관절 혹은 고관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군을 무작위로 enoxaparin과 rivaroxaban을 사용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수술 전 및 수술 후 5일째 응고 검사를 시행하여 수술 전후 및 두 약물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전 시행한 응고 검사에서는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수술 후 5일째 시행한 응고 검사에서는 prothrombin time-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PT-INR),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에서 증가 소견을 보였고 특히 rivaroxaban 환자군의 수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관절경 수술의 약물을 통한 항응고 요법은 혈액 검사를 통한 결과에서 출혈 경향 면에서 안전한 범위에서 수술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rivaroxaban을 사용한 환자 군에서 응고능의 정상 범위를 넘어서는 환자가 있어 rivaroxaban의 사용에 주의를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슬개-대퇴 관절 선열의 변화 (The Changes of Patellofemoral Alignment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권기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8-133
    • /
    • 2000
  •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슬개-대퇴 관절의 문제중 슬개건의 길이 변화, 슬개-대퇴 관절의 선열의 변화 및 환자의 주관적 증상으로 비교 하였고 슬개건의 침습이 없는 동종 이식술과 슬개건을 침습한 자가 이식술을 비교하여 슬개건의 침습이 슬개-대퇴 관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환자 8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해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52예를 제 1군, 동종 골-슬개건-골과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해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35예를 제 2군으로 하였다. 수술 전, 후 단순 방사선 사진상에서 Blackburne-Peel 방법, 일치각(Congruence angle), 외측 슬개-대퇴 각(Lateral patellofemoral angle), 환자의 주관적 증상에 기초를 두어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 시상면에서 슬개골 위치는 제 1군에서 술전 0.86에서 술후 0.80으로 유의할 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제2군에서 술전 0.87에서 술후 0.83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외측 슬개-대퇴 각은 양군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는 없었으며, 일치각은 제 1군에서 술전 $-1.43^{\circ}$에서 술후 $-5.43^{\circ}$$4^{\circ}$내측으로 전위되었고 제2군에서 술전 $-1.53^{\circ}$에서 술후 -3.65로 약 $2.12^{\circ}$내측으로 전위되었다. 결론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슬개-대퇴 관절의 선열은 변하며 이러한 변화는 자가 이식건의 채취, 십자 인대 재건술 자체, 대퇴 사두근 약화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하악변위로 인한 개방교합 환자의 보철치료: 증례보고 (Approach to prosthetic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pen bite due to mandibular displacement: Case report)

  • 서민경;지승석;고경호;박찬진;조리라;허윤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20-430
    • /
    • 2022
  • 개방교합이 있는 환자는 치아접촉 및 수직피개의 감소를 나타내며 교합평면의 부조화, 저작 곤란, 언어 장애, 외모 변화 및 정상보다 낮은 교합력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교합이 완성된 성인에서 측두하악관절장애로 인해 발생한 개방교합은 원인요소의 제거 또는 관절상태의 안정화가 먼저 이루어진 후 교합 수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교정치료, 교합조정, 보철 치료, 외과적 치료법 등이 있다. 본 증례보고는 교합이 완성된 성인에서 하악의 변위로 인해 개방교합이 발생한 두 명의 환자에서 교합 변화의 원인을 추정해 보고 원인에 따라 다른 치료 접근방법에 대해 살펴 보는 것이다. 관찰한 환자 중 한 환자는 측두하악관절의 안정화 후 교합조정을 통하여 기능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도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족관절의 골-연골성 골극증 - 족관절 전방 충돌 증후군 - (Osteochondral Ridge of Ankle Joint - Anterior Impingement Syndrome of Ankle Joint -)

  • 이승구;우영균;송석환;권순용;이화성;정진화;오재찬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74
    • /
    • 2002
  • 목적 : 중년기이후의남성에서, 경골 원위 관절면의 전방이나, 거골경부의배부, 또는거골과경골의원위부관절면양측에골극이발생하여족관절배굴장애와통증을호소하는소위, 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족관절전방부위골-연골성골극증)의수술경과및방사선학적검사상골극발생부위의특이성을알아보고자한다. 대상및방법 : 1994년3월부터2001년3월까지본대학부속성모병원정형외과에서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으로진단되어수술가료한14명17족관절(양측3예)를대상으로하였다. 14명17족관절(양측이환3예)중우측이13예, 좌측이4예였고, 14명모두남자였고, 평균연령은47세였다. 명백한족관절외상력은없었으나, 족관절통증(특히배굴시)과쪼그려앉기장애가주소로서평균15개월(4개월$\~$3년11개월) 이상증상이계속되었고, 특별한운동기왕력은없었다. 수술전X-선, 배굴및척굴위측방X-선, CT그리고, 술후X-선과임상과정을최단18주에서최장26개월(평균13개월)까지추적하였다. 결과 : 족관절측부X-선상거골골극이10예로가장많았고, 경골골극이5예(유리골편2례), 그리고거골과경골양측골극형성이2예였다. 14예는족관절전측방도달법을이용하여골극및유리골편을절제하였고, 나머지3예는관절경을이용하였다. 술 후 2주경부터는일상생활보행을허용하였으며, 수술후평균13개월추적조사에서골극이나충돌증후군의재발은없었다. 결론: 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은운동량이많은중년기남자에빈발하며, 거골경부전방의골극형성이주요원인이었다. 족관절배굴및척굴X-선및CT가진단에도움이되며수술적으로골극을제거하여치료할수있었다.

  • PDF

한국인의 관상면상 원위 경골 관절면 각의 측정 (Distal Tibial Articular Surface Angle in the Coronal Plane in Koreans)

  • 이경태;김진수;양기원;김재영;차승도;김응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6-59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ormal distal tibial articular surface angle in coronal plane in Koreans. This would be helpful as the basic data for ankle reconstruction after trauma or deformity corre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ight bearing anteroposterior radiographs of 123 normal ankles were reviewed. A line parallel to the shaft of the tibia was made. Another line was drawn parallel to the articular surface of the distal tibia. The superolateral angle that subtended by these two lines was measured. Results: There were 72 males and 51 females. The mean age overall was 35.7 years old. The mean age for males was 31.9 ($28{\sim}36$) years old. The mean age for females was 41.1 ($37{\sim}45$) years old. The mean distal tibial articular surface angle was $90.8^{\circ}$. The mean distal tibial articular surface angle for males was $91.5^{\circ}$ and for females $89.9^{\circ}$. Conclusion: The mean distal tibial articular surface angle in coronal plane for Koreans is $90.8^{\circ}$. We can avoid the error of the varization at the ankle alignment when the correction was performed vertical or minimal valgus to tibia tuberosity axis in Korean people.

  • PDF

고도의 원위 중족골 관절면 각을 동반한 성인 무지 외반증 환자에서의 삼중 절골술의 결과 (The Results of Triple Osteotomy in Adult Hallux Valgus Patients with Highly Increased Distal Metatarsal Articular Angle)

  • 이경태;차승도;양기원;김재영;조주원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8-34
    • /
    • 2007
  •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al results of triple osteotomy as a treatment for adult hallux valgus with highly increased distal metatarsal articular ankle (DMAA).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3 to April 2005, we retrospectively reviewed 7 hallux valgus patients (3 cases: moderate, 4 cases: severe) treated with triple osteotomy and followed-up for more than 1 year after operation. The mean follow up was 15.1 months. The hallux valgus angle (HVA), intermetatarsal angle (IMA), distal metatarsal articular angle (DMAA) and the length of 1 : 2 metatarsal bone were measured. Proximal chevron osteotomy and distal biplanar chevron osteotomy were done in 1st metatarsal bone. Akin osteotomy was added to the base of the proximal phalanx. The clinical result was assessed using the AOFAS Hallux score, tenderness on the medial eminence, ROM of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calluses and patient satisfaction. Results: The mean HVA and IMA was improved from $37.5^{\circ}$ and $13.4^{\circ}$ to $10.5^{\circ}$ and $6.2^{\circ}$ respectively. The mean DMAA was corrected from $34.2^{\circ}$ to $11.2^{\circ}$ and mean shortening of 1st metatarsal was 2.4 mm (0.9-5.8 mm). The mean AOFAS hallux score was improved from 66.4 to 92.5 and VAS score (pain on the medial eminence) from 4.3 points to 0.4 points. Metatarsalgia disappeared in all cases and there was no complications such as necrosis of the metatarsal head. Conclusion: Triple osteotomy for adult hallux valgus with a highly increased DMAA is effective and should be considered as a part of the treatment armamentarium.

  • PDF

무지 외반증 환자에서 근위지골 기저부의 내측 돌출부 절제술 후 관절면을 통한 AKIN 절골술 (Transarticular Fixation of Akin Osteotomy on Patients with Hallux Valgus after Resection of Medial Protrusion of Base of Proximal Phalanx)

  • 안성준;김부환;송무호;강석웅;오관택;유성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0-224
    • /
    • 2013
  • Purpose: When medial protrusion in the base of proximal phalanx is severe from removing metatarsal bunion during the hallux valgus surgery, it could lead to skin irritation and medial pain after the surgery.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port our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with transarticular fixation of Akin osteotomy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hallux valgus after resection of the medial protrusion of base of the proximal phalanx. Materials and Methods: Our study is subject to 34 cases of 30 patients who went through proximal phalanx medial corticectomy among patients undergone both hallux valgus surgery and Akin osteotomy at our institution from March 2006 to March 2012. In all cases, we used absorbable suture material through the articular surface for Akin osteotomy after resection of the medial protrusion in proximal phalanx. Radiographs were reviewed to assess the union and displacement of osteotomy site at the time of postoperative 6 months. The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by using AOFAS score and complication such as skin irritation and pain. Results: AOFAS score was improved from average 44 points(36-58), before operation and average 87 points(74-96), 12 months after operation. In two cases, partial union was suspected in radiological perspective, however, complete union on the osteotomy site was observed in all cases, 12 months after the operation. No patients was dissatisfied with pain, joint discomfort, skin irritation and inflammation from the knot. Conclusion: When medial protrusion in the base of proximal phalanx is severe from removing metatarsal bunion during the hallux valgus surgery, We have good results by transarticular fixation of Akin osteotomy using absorbable suture material.

거골 골절에서 체중 부하 관절면의 중요성 (Impact of Weight Bearing Surface on Fractures of the Talus)

  • 정현욱;유시훈;서진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6-161
    • /
    • 2009
  • Purpose: The fracture of talus has critical complications and results in various clinical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linical outcome and influence on involvement of ankle and subtalar joi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1999 to December 2008, a total of 66 fractures and dislocations of talus was treated with minimal 9 months follow up period. Ankle-hindfoot scale of the American Orthopedic Foot & Ankle Society (AOFAS) was use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The complications and sequential radiologic findings were also analyzed. Results: There were 28 neck fractures, 11 lateral process fractures, 10 body fractures, 7 osteochondral fractures, 4 posteromedial tubercle fractures and 4 medial process fractures. In 38 cases, there were concomitant injuries. Ipsilateral ankle fracture, which found in 19 cases, was most common. The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in 36 cases. Mean AOFAS score was 85.5 (range, 72 to 96). In 13 of 47 cases, one or more fracture lines involving weight bearing surface were confirmed. The involvement of ankle or subtalar joint had resulted in unsatisfied outcome. Complications were developed as follows, post-traumatic arthritis in 8 cases, avascular necrosis in 3 cases, and deep infection in 2 cases. Conclusion: The involvement of ankle or subtalar joint in fractures of talus seemed to be common and to impact the clinical outcome. Meticulous consideration about that will be positively necessary.

  • PDF

관절면을 침범한 설상형 종골골절의 수술적 치료: 관혈적 및 Essex-Lopresti 술식에 따른 비교 (Operative Treatment of Tongue Type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Comparison of the Open Reduction and Essex-Lopresti Technique)

  • 신동은;윤형구;한수홍;최우진;안창수;옥현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1-156
    • /
    • 2010
  •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operat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tongue type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and to compare the open reduction and Essex-Lopresti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a consecutive series of 42 patients who received surgical treatment for tongue type calcaneal fracture (24 cases of the open reduction and 18 cases of the Essex-Lopresti technique) and the postoperative data was compared with a minimum 1 year follow-up. The clinical outcome was analyzed using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hindfoot scale and Salama's criteria. The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changes in the Bohler angle was radiologically analyz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However, for the Sander's type 3 and 4 fractures, the open reduction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f AOFAS score and less reduction loss in the Bohler angle. Conclusion: Although the clinical results were good irrespective of surgical technique, th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can improve clinical outcome and reduce the reduction loss as compared with the Essex-Lopresti technique in the comminuted tongue type calcaneal fra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