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경적 절제술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7초

26개월 여아에서 발생한 슬관절 외측 원판형 연골 파열의관절경적 치험례 -증례보고- (Arthroscopic treatment for symptomatic lateral discoid meniscus in a 26-month-old girl -A case report-)

  • 이병일;최형석;민경대;조영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4-59
    • /
    • 2002
  • 소아에서의 슬관절 탄발음은 주로 원판형 연골에 의해서 발생되며 슬관절의 신전제한은 원판형연골의 파열을 강력히 시사하는 소견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3세미만 소아에서의 보고는 극히 적은 실정이다. 또한 3세 미만의 증상이 있는 원판형 연골의 치료방법에 있어서는 정설이 없고 기술적으로도 어려운 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들은 신전제한을 주소로 내원한 25개월 여아에서 자기 공명영상검사상 외측 원판형 연골 파열을 확인하고 관절경하 부분 절제술 시행 후 2년 9개월간 추시 한 바 합병증이나 증상의 재발없이 임상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여 이에 대한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거골하 관절경 : 적응증과 그 결과 (Subtalar Arthroscopy : Indication and Results)

  • 안재훈;이광원;김하용;이승훈;최원식;김승권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44
    • /
    • 2007
  • 목적: 저자들은 각종 질환이나 외상에 대해 거골하 관절경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여 거골하 관절경의 적응증과 그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9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본원에서 거골하 관절경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4명, 5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성별은 남자 43예, 여자 14예였고, 평균 연령은 40세, 평균 추시 기간은 18개월이었다. 술전 진단은 족근 동 증후군 19예, 퇴행성 관절염 13예, 종골 골절 10예, 관절 섬유화 5예, 삼각골 증후군 3예, 거골 골절 3예, 거종 결합 3예, 종골 종양 1예였다. 결과의 분석은 술전 및 술후 AOFAS ankle-hindfoot scale과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외 거골하 관절경술로 인한 합병증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관절경술은 활액막 절제술 23예, 거골하 관절 유합술 13예, 진단적 관절경술 11예, 유착 박리술 5예, 유리체 제거술 4예, 삼각골 제거술 3예, 관절경적 골절 정복술 1예가 시행되었으며 이중 4예에서 두 가지 수술이 병행되었다. 동반된 질환으로는 족관절의 충돌 증후군이 17예,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이 11예, 거골의 골연골 병변이 7예 관찰되었으며, 이에 대해 족관절 관절경술 25예, 변형 Brostrom 수술 11예 등의 동반 술식이 시행되었다. AOFAS ankle-hindfoot scale은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는 술전 33점에서 술후 7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그 이외의 군에서는 술전 69점에서 술후 89점으로 향상되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42예에서 만족, 4예에서 불만족을 표시하여 91%의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특별한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적절한 적응증에 대해 시행한 거골하 관절경술은 관절에 대한 손상을 가능한 줄이면서 병변을 정확하게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술식이나 기법의 숙달을 위한 노력 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회전근개 관절내 부분 파열 환자의 관절경적 처치(변연 절제술 단독과 견봉하 감압술 병용시와의 비교) (Arthroscopic Treatment for Articular Side Partial- Thickness Tears of the Rotator Cuff - Comparison Between Simple Debridement and Additional Acromioplasty -)

  • 문영래;윤태현;박준광;오서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2호
    • /
    • pp.120-125
    • /
    • 1999
  • Objectives : To evaluate the effects of arthroscopic acromioplasty and debridement for partial thickness articular side rotator cuff tears, Method: We divided 97 patients into 2 groups according to treatment protocol, with both groups having confirmed intra-articular partial tears of the rotator cuff. In group Ⅰ, we debrided the frayed and fibrotic cuff margin while in group II, we performed subacromial decompression in addition to debridement. After the surgery we checked all the patients with the modified UCLA shoulder rating scale. Results: The follow-up observation 12 months after surgery revealed that 44 patients in group I were rated as excellent in 32 cases, good in 10 cases, fair in 1 case, and poor in one case, while 53 patients in group II, were rated as excellent in 38 cases, good in 17 cases, and fair in 2 cases. Twenty-four month after surgery we observed that patients in group I were rated as excellent in 23 cases, good in 16 cases, fair in 4 cases, and poor in 1 case, while patients in group II were rated as excellent in 34 cases, good in 17 cases, and fair in 6 cases. Conclusion: The use of acromioplasty on partial thickness tears of rotator cuff, even in the cases of intra-articular nature, is preferable to the procedure performed without it.

  • PDF

슬관절의 관절경적 변연절제술 (Arthroscopic Debridement of the Knee Joint)

  • 서정탁;박병국;송진헌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9-163
    • /
    • 1998
  • We reviewed the cases of 35 knees of 34 patients who had arthroscopic debridement for degenerative osteoarthritis of the knee.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n average of 29 months (range: 13 months to 45 month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at operation was 54 years (range: 44 years to 75 years). At the time of follow up, the patients were evaluated using the nine-point scale by Baumgaertner et al. We divided the knee into 4 stag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Jackson et al. Satisfactory results were achieved in 80%(stage I), 75%(stage II), 55.6%(stage III) and 25%(stage IV) of the patients. Arthroscopic debridement is of significant value in the earlier stages of degenerative osteoarthritis (stage I and II) for the symptom relief as a simple procedure with rare complication as well as in the later stages(stage III and IV) as a time buying procedure before the total knee arthroplasty.

  • PDF

류마토이드 관절염에서 슬관절의 관절경적 활액막 절제술 (Arthroscopic Synovectomy of the Knee in Rheumatoid Arthritis)

  • 정재훈;박일성;양동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1-97
    • /
    • 1997
  •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synovectomy of the knee in the rheumatoid arthritis. So we studied to determine if the arthroscopic synovectomy of the knee was of benefit in the rheumatoid arthritis. We ana lysed 25 knees of 15 patients who underwent the arthroscopic synovectomy of the knee joint for their rheumatoid arthritis from Jun. 1995 to Oct. 1996.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0.1 months($12\~28$ mon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20 knees $(80\%)$ for the pain and the effusion each, 23 $(92\%)$ for the range of motion and 19 $(76\%)$ for the functional capacity. 2. In the overall results for the pain. effusion. range of motion and the functional capacity. we obtained excellent results in 14 knees $(56\%)$ and satisfactory results in 9 knees $(32\%)$. 3. In the patient's self assessment, 11 patients $(44\%)$ were delighted and 10 patients $(40\%)$ were satisfactory. 4. In the overall results according to the articular cartilage damage,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15 $(93\%)$ out of 16 knees in Grade I and II, and 6 $(75\%)$ out of 8 knees in Grade III and IV. In conclusion, arthroscopic synovectomy could be one of very useful treatments for the rheumatoid knee. But further study is needed to get the long-term results of the synovectomy because there's many reports saying gradual decrease of good results with increasing time. And continuous and proper medical treatment including DMARDs, is need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rheumatoid arthritis even after the synovectomy.

  • PDF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 INTRAFIX system을 이용한 경골부 고정 후 부가적 고정의 효과 - (Arthrosco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Autogenous Hamstring Gratt - Effect of the Additional Fixation after Fixation of the Graft with Intrafix -)

  • 유재두;노권재;신상진;윤종석;여성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1-55
    • /
    • 2005
  • 목적: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대퇴 터널 내의 고정은 2개의 생흡수성 핀인 Rigidifix system (Mitek Product, Johnson and Johnson, USA)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경골 터널 내는 Intrafix system을 이용한 생간섭나사로 고정 후 이식건의 경골 족에 인대 고정 나사를 이용한 부가적 고정이 수술 후 슬관절 전방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3년 1월까지 Rigidfix와 Intrafix를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39명 중 추시 관찰이 되지 않은 2명을 제외한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4개월(범위: $25{\sim}13$개월) 이었다. 부가적 고정 여부의 결정은 수술 순서에 따라서 교대로 선택하였고, 경골 터널 밖으로 나온 이식건을 인대 고정 나사로 고정하였고 이식건이 짧은 경우는 봉합사를 인대 고정 나사에 묶었다. Intrafix만으로 고정한 경우 17명, 부가적 고정을 한 경우가 20명이었다.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절제 2예, 내측 반월상 연골의 봉합 2예, 외측 반월상 연골의 봉합 1예에서 시행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이학적 검사인 Lachman검사, Pivot shift 검사와 재건술 후의 Lysholm점수, IKDC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평가 기준, KT-1000관절 계측 결과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상 수술 후 Lysholm점수는 93.1점(범위: $65{\sim}98$점), IKDC 평가 기준에 의한 최종 평가 상 정상(A) 26예, 거의 정상(8) 10예, 비정상(C) 1 예이었으며, 심한 비정상은 (D)은 없었다. 최종 추시 상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 상 건측과의 차이는 평균 2.5mm$(0{\sim}6mm)$ 이였다. 술 후 시행한 Lachman 검사 상 정상 32예, 1 등급 4예, 2 등급 II 1예 이었고, Pivot shift 검사 상 정상 34예, 1 등급 2예, 2등급 1예 이었다.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 상 건측과의 차이는 부가적 고정을 한 경우는 평균 2.2 mm$(0{\sim}4mm)$ Intrafix 만으로 고정한 경우는 평균 2.8 mm$(0{\sim}6mm)$였다.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재건술 후 전방 안정성은 Intrafix를 이용한 경골 터널 내의 이식건의 고정이 부가적 고정을 한 경우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경골 터널 내에서 부가적 고정 없이 슬괵건의 고정만으로도 전방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이식 건 고정 시 슬관절 위치가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결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nee Position during the Graft Fixation of the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Autogenous Hamstring Graft)

  • 이철우;유재두;노권재;박성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3-147
    • /
    • 2005
  • 목적: 슬개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시, 이식 건을 경골 쪽에서 고정할 때 일반적으로 슬관절의 굴곡 각도는 신전 위치에서 시행한다. 저자들은 슬괵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시, 이식 건을 고정 할 때 슬관절의 굴곡 각도가 수술 후 슬관절 안정성과 운동 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슬괵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시, Rigidfix system(Mitek Product, Johnson and Johnson, USA)와 intrafix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39명 중 추시 관찰이 되지 않은 2명을 제외한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4개월(범위: $13{\sim}25$개월) 이었다. 완전 신전 위 또는 20도 굴곡 위의 슬관절 굴곡 각도의 결정은 수술 순서에 따라서 교대로 선택하였다.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절제 2예, 내측 반월상 연골의 봉합 2예 외측 반월상 연골의 봉합 1예에서 시행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이학적 검사인 Lachman검사, Pivot shift검사와 재건술 후의 Lysholm점수, IKDC(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평가 기준, KT-1000관절 계측 결과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상 수술 후 Lysholm 점수는 93.1점(범위: $65{\sim}98$점), IKDC 평가 기준에 의한 최종 평가 상 정상(A) 26예, 거의 정상(B) 10예, 비정상(C) 1 예이었으며, 심한 비정상은 (D)은 없었다. 최종 추시 상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 상 건 측 과의 차이는 평균 2.5 mm 이였다. 술 후 시행한 Lachman 검사상 정상 32예, 1 등급 4예, 2 등급 II 1예 이었고, Pivot shift 검사 상 정상 34예, 1 등급 2예, 2 등급 1예 이었다.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 상 건 측 과의 차이는 20도 고정을 한 경우는 평균 2.3 mm, 완전 신전 위에서 고정한 경우는 평균 2.7 mm이였다(P<0.05). 수술 후 1년 슬관절의 운동 범위는 20도 굴곡 위에서 고정한 경우에 1례 에서 5도의 굴곡 구축이 있었고, 신전 위에서 고정한 경우는 2례 에서 건측 보다 10도의 굴곡 제한이 있었다. 결론: 자가 슬괵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재건술 시, 경골 부의 고정 시 슬관절의 굴곡 각도 따른 슬관절의 전방 안정성에 차이는 없었으나, 신전 위에서 고정하는 것이 과도한 이식 건의 장력으로 인한 슬관절 굴곡 구축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40세 이상에서 발견된 외측 원판형 연골의 임상분석 (The Clinical Analysis of Lateral Discoid Meniscus in Adults Over 40 years old)

  • 임홍철;노경선;정효섭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7-82
    • /
    • 2006
  • 목적: 40세 이상의 성인에서 발견된 외측 원판형 연골의 임상적 특징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994년 3월부터 2004년 3월까지 40세 이상에서 원판형 연골이 발견되어 관절경적 치료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48명의 환자 53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의 평균 연령은 48.4세($40{\sim}62$세)였다. 환자군을 대상으로 이학적 검사 소견, 단순 방사선 및 MRI 소견, 관절경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53예중 증상 이환 기간은 1년이내가 42예(79.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26예(49.1%)에서 외상의 기왕력이 있었으며, 방사선학적 검사상 대퇴골 외과의 편평화, 외측 구획의 퇴행성 변화가 37예(69.8%)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내측 구획의 퇴행성 변화는 16예(30.2%)에서 관찰되었다. 슬관절경 검사상 45예(84.9%)에서 원판형 연골의 파열이 관찰되었고 파열이 없었던 경우는 8예(15.1%)였다. 파열형태는 복합형(18예, 40.0%)의 파열 형태가 가장 흔하게 나타났으며 그외 종파열(longitudinal) 12예(26.7%), 수평파열(horizontal) 11예(24.4%), 횡파열(transverse) 4예(8.9%)가 관찰되었고, 내측 연골판 파열을 동반하는 경우는 7예(13.2%)였다. 치료 방법으로는 관절경하 연골판 성형술이 46예(86.8%), 이중 6예에서 연골판 성형술 후 부분적 봉합술을 함께 시행하였으며 연골판 아절제술이 5예(9.4%), 연골판 전절제술이 1예(1.9%), 1예(1.9%)에서 관절경 검사후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성인의 원판형 연골은 소아의 경우와는 달리 외상의 기왕력을 가지고 있는 빈도가 높으며 가벼운 외상에 의해 증상이 발현된다. 또한 슬관절 내 외측 구획의 퇴행성 변화 등 방사선학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어 가능한 보존적인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외과 점액낭염의 내시경적 방법과 개방적 점액낭 절제술의 비교 연구 (Endoscopy versus Open Bursectomy of Lateral Malleolar Bursitis; Comparative Study)

  • 최재혁;김정렬;김동현;정우철;윤정로;오성록;이경태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2-96
    • /
    • 2011
  • Purpose: To compare the result of endoscopic versus open bursectomy in lateral malleolar bursitis, which was not treated conservativel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8 and October 2009, We divided to two groups, endoscopy (group A) 11 cases, open bursectomy (group B) 11 cases.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5 months (range, 12 to 18), the mean age was 66 (range, 38 to 79). We compared patients satisfaction, complete healing time, operation time, complications and recurrence. Results: Group A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clinical satisfactions, complete healing time. operation time, complications. Group A showed satisfaction (excellent 9, good 2), mean complete healing time 11.9 (8~14) days, operation time 37 (25~45) minutes, 1 case recur. Group B showed satisfaction (excellent 4, good 3, fair 1, poor 3), complete healing time 32.7 (14~98) days, operation time 22 (18~26) minutes. complication were one case of skin necrosis, one case of wound dehiscence, two cases of superficial peroneal nerve injury, no recurrence. Significant advantages of endoscopic method include lower morbidity and rapid wound healing period (p<0.05). Conclusion: Endoscopic resection of the lateral malleolar bursitis is a promising technique and shows favourable results compared to the open resection. Significant advantages of this method include lower morbidiy and rapid wound healing.

스포츠 손상에서의 비구순 파열 (Acetabular Labral Tear in Sports Injury)

  • 황득수;이광진;권육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20
    • /
    • 2002
  • 목적: 스포츠손상에의한비구순파열환자에서진단및치료에대해고찰해보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1995년3월부터2000년1월까지스포츠손상후발생한고관절통으로본원에내원한환자에서비구순파열로진단된15예를대상으로하였다. 원인별로달리기5예, 격투기3예, 에어로빅3예, 수영2예, 등산1예, 자전거 1예등이었다. 남자가6명, 여자가9명이었고, 나이는 평균41세였다. 모든 환자는6개월간격으로 추시하였고,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경우최소2년 이상 투약 및 증세관찰을 하였고,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한6예에서 수술 전, 수술 후 6개월과 12개월에 Harris Hip Score (이하HHS)를측정하였고, JOA pain scoring system에의해결과를평가하였다. 결과: 보존적치료를 시행한9예에서 HHS는 평균 15점 향상되었고, 그중 4예는 1단계의 통증 지수 향상이 있었는데, 이들 모두Czerny 분류상type IA였다. 관절경적수술을 시행한6예에서수술후 HHS는 32점향상되었고, 6예모두에서2단계이상의통증지수향상이관찰되었다.결론: 스포츠손상환자에서급,만성고관절통을호소하는경우비구순파열은반드시감별진단되어야하며, 이학적검사상의심이될경우자기공명관절조영술을이용한진단이유용할것으로사료된다. 확진이된경우관절경을이용한파열된비구순의변연절제술이효과적인치료방법으로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