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quantitative sensory profiles of rice wines made with nuruks using eight different cereal ingredients were developed using sensory descriptive analysis. Two appearances, eight aromas, eight flavors and tastes, and two mouthfeel related sensory attributes were evaluated by a panel of 10 judges. The sample made of black rice nuruk had the highest intensity in red color, while the other samples had similar ranges in yellow color. The mean sensory intensities of the samples prepared with black rice and glutinous rice nuruks were high in 'sweet', 'fruit taste', 'pungent', and 'sour', while those samples prepared using non-glutinous rice, buckwheat, hull-less barley, unpolished rice nuruks had overall high intensities in 'grain', 'fermented aroma', 'bitter', and 'astringent' attributes.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descriptive data, samples were primarily separated along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hich accounted for 53% of the total variance between the rice wines with high intensities of 'red color', 'sweet', and 'fruit taste' versus 'bitter', 'astringent', and 'yellow color'.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Jinyang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brewed using unique glutinous rice, were investigated over the following range of fermentation temperatures: 10, 15, 20 and $25^{\circ}C$. The pH value, total acidity, total sugar content, alcohol content and color value of the Jinyangju were determined after the 2-week fermentation, followed by sensory evaluation of the final product. After fermentation for 2 weeks at temperatures of 10, 15, 20 and $25^{\circ}C$, the final pH values were 3.70, 3.73, 3.40 and 3.26, the final total acidities were 1.04, 1.01, 1.39 and 1.72%, the final total sugar contents were 6.43, 6.22, 5.91 and 5.53% and the final alcohol contents were 14.20, 14.17, 14.83 and 15.40%, respectively. The color value of the Jinyangju was not different among the samples. In conclusion, the Jinyangju fermented at $15^{\circ}C$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such sensory properties as color, flavor and odor, and was judged in the sensory evaluation to be the overall favorit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owning inhibitors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of rice-grape wine. Bentonite, polyvinylopolypyrrolidone (PVPP), and potassium metabisulfite were added to rice-grape wine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in order to find an effective method of inhibiting browning. Total phenolics content, pH, amino acidity, hydroxymethylfurfural content, and absorbance at 420 nm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browning substrates. Potassium metabisulfite was the most effective browning inhibitior. Sensory evaluation also showed that rice-grape wine treated with potassium metabisulfite was highly Preferable in terms of color, taste, flavor, and overall quality.
Korean medicinal herbs -sasam, gilkyung, jakyak, danggwi, hwangki and chunkung were soaked to the distillate of Korean rice wine for 75 days. The alcohol concentration of distillate, soaking media was adjusted to 45, 35, and 25% respectively with distilled water. Changes in alcohol concentration, pH, optical density, concentration of peoniflorin and decursin were analyzed. Quality of the final product was determined by sensory evaluation. Alcohol concentration was rapidly decreased but pH increased in 15 days and thereafter they showed slow decrease. Decrease of alcohol concentration was affected by the kind of herb and alcohol concentration of soaking media. The strongest effect was observed from danggwi and low alcohol concentration. Concentration of paeoniflorin and decursin, an index component of jakyak and danggwi respectively, showed the similar trend of decrease after increase to maximum concentration. From the sensory evaluation, the best overall quality was obtained from liquors made from 45% alcohol concentration. The quality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sasam, jakyak, chunkung and hwangg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v.37
no.1
/
pp.76-82
/
2008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properties of Jinyangju,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de with different additions of Citrus junos peel (0, 10, 20, 30, and 40%) were investigated. The pH and the total sugar content of the Jinyangju decreased, whereas the total acidity and alcohol content increased with greater additions of Citrus junos peel. The color L-value increased and the color a- and b-value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Citrus junos peel. Th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Citrus junos peel.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values in the sensory test for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favorite were 4.2, 4.9, 5.6, 5.0, and 3.9, respectively, with the addition of 20% Citrus junos peel.
In order to produce clear and favorable citrus wine from Citrus unshiu produced in Cheju island,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cesses for alcoholic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The ratio of pressed juice passed below 100 mesh sieve and peel of mandarin orange were 55.9% and 25.6% respectively. Orange juice for fermentation source contained 8.85% total sugar, 1.43% total acid and 0.056% volatile acid. Pressed juice was adjusted to 24 degree Brix with cane sugar, and was fermented at $20^{\circ}C$ for one month. Starter screened and selected was Saccharomyces cerevisiae IAM 4274. As principal fermentation proceeded for one week, suspended solids began to precipitate slowly after then. After fermentation, clear citrus wine consisted of about 8 degree Brix residual sugar, $13.3{\sim}14.4%$ ethanol, $0.78{\sim}1.11%$ total acid, $0.05{\sim}0.07%$ methanol and $2.25{\sim}3.29%$ extract, was obtained. Color, flavor and taste of citrus wine found good with panel test. Citrus wine which was treated with fungal enzyme derived from Aspergillus niger CCM-4 was cleared much faster, and could be filtered more rapidly than the untreated. The enzyme-producing strain was isolated from field soil of Cheju island and identified.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2003.07a
/
pp.83-83
/
2003
우리 전통주의 질적인 향상과 저장성이 우수한 무증자 발효주를 제조하기 위하여 쌀과 옥분의 배합 비율을 쌀 100%, 쌀 80%+옥분 20%, 쌀 60%+옥분 40%, 쌀 40%+옥분60%, 쌀 20%+옥분 80%로 달리하여 무증자로 담금한 발효주와 쌀 100%로 증자하여 발효시킨 주류의 물리화학적인 변화 및 성분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관능검사를 병행하여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술덧의 온도변화는 발효 초기 30 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발효중기 27.5 를 거쳐 발효 종료 시 모두 26.5 였다. 2) 술덧의 주정도 변화는 옥분의 양을 첨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6∼18.3v/v% 였다. 3) 유기산은 무증자주는 쌀 100%일 때 0.6 g/dl로 증자주 0.49g/dl보다 높았으며 옥분을 첨가한 무증자주에서는 옥분이 첨가될수록 차즘 감소하여 80%일 때 0.34 g/dl 였다. 4)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옥분이 40% 첨가되면서부터 leucine의 함량이 쌀 100% 증자주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leucine>arginine>lysine의 순이었다. 5) 유리당 함량은 무증자로 옥분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여 옥분 80%에서는 9.81mg/dl였다. 6) 휴젤유는 278.6ppm∼441.6ppm으로 쌀100% 무증자에 비해 옥분이 첨가될수록 감소하여 옥분 80%일때 가장 적은 278.6ppm이었다. 7) 휘발성 향기성분중 ester함량은 100% 무증자주에서 총 9종류가 검출되었으나 옥분이 첨가되면서 10∼12 종으로 많아졌다. Ethyl octanoate는 옥분 60%첨가 무증자주에서 19.26%로 많이 나타났으며 ethyl acetate는 옥분이 첨가되면서 증가하였다. 특히 옥분 80% 무증자주는 총 ester류함량은 적었으나 isoamyl acetate, phenylethyl acetate, ethyl octanoate, ethyl acetate의 함량이 비교적 많이 검출되어 독특한 향기를 기대할 수 있었다. 8) GC/O를 사용하여 향기성분을 동정한 결과 무증자 발효주 시험구에서는 옥분을 첨가할수록 sweet 및 warm note가 강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다. 9) 발효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밝기에서는 무증자구가, 적색도에서는 옥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하였으며 황색은 증자주보다는 무증자주의 옥분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10) 관능검사 결과 쓴맛, 미묘한 맛, 좋은 맛, 떫은 맛, 신맛 그리고 좋은 맛에 대한 전체 적인 평가를 종합하면 쌀 100% 증자발효주가 가장 점수가 낮아 무증자 발효주에 비하여 기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옥분 첨가량 80%와 60%의 무증자주가 기호도 면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 manufacture of Kiwi liqueur. Eight-weeks of storage was found to be the optimal extraction time for unsliced fruit, but 4 week of storage was found to be optimal extinction time when the fruit was sliced into 4 pieces.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brix, pH and total acidity during extraction. However 24.92 ppm of methanol and acetaldehyde was detected after extracting the liqueur after 8 week extraction time when the fruit was sliced into 4 pieces.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e highest over all acceptability. The Kiwi liqueur was contained 48.90 mg% of total phenolic compounds, 16.7 mg% of vitamin C, 1.77% of malic acid, 1.18% of fructose, 1.12% of glucose and 0.08% of maltose at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The sensory quality of the Kiwi liqueur was estimated to be best when 0.035% of stevioside, 0.0085% of citric acid and 0.005% of salts were added to the Kiwi liqueur.
Kim Seon-Jae;Jung Soon-Teck;Park Yoon-Mi;Cho Kwang-Ho;Ma Seung-Jin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v.12
no.2
/
pp.190-194
/
200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honey wine, which was fermented by Saccaromyces sake, Saccharomyces bayanus and Nuruk. For alcohol fermentation of the diluting solution, mixtures of S. sake and Nuruk, and Nuruk and S. bayanus resulted the excellent fermentation. These conditions also produced a higher alcohol content than that from the single yeast Strain. The values of pH and acidity of honey wine showed little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es. In the case of the mixture of Nuruk and yeast, the content of reducing sugar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es decreased rapidly, but the content of alcohol increased. The soluble solids were $7.5\~8.1\;^{\circ}Brix$ after the fermentation period of 6 days, and the alcohol contents were represented $12.5\~13.1\%$, from the mixture of Nuruk and yeast. In addition, the sensory evaluation of honey wine with the mixture of Nuruk and yeast showed more effective results than that of the single yeast bacillus.
Moju is a low-alcoholic beverage made by filtering after boiling a mixture of makgeolli, ginseng, arrowroot, licorice root, cinnamon, jujube, ginger, and raw sugar. It is known to alleviate hangovers. To provide information for use in the development of palatable Moju,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22 kinds of Moju being sold at different restaurants in Jeonju city. The mean values of obtained in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water content, 91.28%; alcohol content, 1.09%; pH, 4.25; total acidity, 0.27%; reducing sugar content, 40.68 mg/mL; soluble solid content, 13.75 $^{\circ}Brix$; and viscosity 11.19 cP. The Lactic-, malic-, and citric- acid contents were higher than the contents of other organic acids. The sucrose content was higher than the contents of other free sugars. The mean value of the free amino acids was 175.3 mg%, lower than that of Takju, the main ingredient of Moju. It was considered that the free amino acids in Takju can be used as a substrate for the browning reaction in the process of Moju manufactur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Moju with 0.15~0.25% total acidity, 10.6~13.4 $^{\circ}Brix$, and 5.73~9.57 cP was preferred.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