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내응축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5초

알루미늄 다채널 평판관내 R22 대체냉매의 흐름 응축 열전달 성능 비교 (Flow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R22 Alternative refrigerants in Aluminum Multi-Channel Tube)

  • 이기영;이민행;정동수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5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49-255
    • /
    • 2005
  • Flow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s(HTCs) of R22, R4IO, Propane(R290) were measured inside a horizontal 9 hole aluminum multi-channel flat tube. The main test section in the refrigerant loop was made of a 0.53 m long multi-channel flat tube of hydraulic diameter of 1.4 mm. Refrigerant was cooled by passing cold water through an annulus surrounding the test section. Data were obtained in qualities of 0.1 ${\sim}$ 0.9 at mass flux of $200{\sim}400$ $kg/m^2s$ and heat flux of $7.3{\sim}7.7$ $kW/m^2$ at the saturation temperature of $4^{\circ}C$. All popular heat transfer correlations in single-phase subcooled liquid flow and flow condensation originally developed for large single tubes predicted the present data of the multi channel flat tube within 25% deviation when effective heat transfer area was used in determining experimental data. This suggests that there is little change in flow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when the tube diameter is reduced down to 1.4 mm diameter range. Hence, a modified correlation based on the present data was proposed which could be applied to small diameter tubes with effective heat transfer area. The correlation showed a mean deviation of less than 20% for all data.

  • PDF

탄화수소계 냉매들과 DME의 수평 평활관내 흐름 응축 열전달 특성 (Flow Condens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of Hydrocarbon Refrigerants and DME in Horizontal Plain Tube)

  • 박기정;이민행;박현신;정동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9권7호
    • /
    • pp.545-554
    • /
    • 2007
  • Flow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s(HTCs) of R22, propylene, propane, DME and isobutane are measured on a horizontal plain tube. The main test section in the experimental flow loop is made of a plain copper tube of 9.52 mm outside diameter and 530 mm length. The refrigerant is cooled by passing cold water through an annulus surrounding the test section. Tests are performed at a fixed refrigerant saturation temperature of $40{\pm}0.2^{\circ}C$ with mass fluxes of 100, 200, $300kg/m^2s$ and heat flux of $7.3\sim7.7kW/m^2$. The data are obtained in the vapor Quality range of $10\sim90%$. Test results show that at same mass flux the flow condensation HTCs of propylene, propane, DME and isobutane are higher than those of R22 by up to 46.8%, 53.3%, 93.5% and 61.6% respectively. Also well-known correlations developed based upon conventional fluorocarbon refrigerants predict the present data within a mean deviation of 30%. Finally, the pressure drop increase as the mass flux and Quality increase and isobutane shows the highest pressure drop due to its lowest vapor pressure among the fluids tested.

R410A 대체냉매 R32와 R454B의 미세핀 관내 응축 열전달 (Condensation Heat Transfer of R32 and R454B Inside a Microfin Tube as an Alternative Refrigerant to R410A)

  • 안드리아스 카라지오기스;죠지 히노플로스;김만회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413-418
    • /
    • 2022
  • This paper presents two-phase condensatio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of R32 and R454B as an alternative refrigerant to R410A in a 9.52 mm OD microfin tube. The test facility has a straight, horizontal test section with an active length of 2.0 m and is cooled by cold water circulated in a surrounding annular space.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the annular space were obtained using the modified Wilson plot method. Averag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pressure drop data are presented at the condensation temperature of 35℃ for the range of mass flux 100-400 kg/m2s. The averag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R32 refrigerant are 35-47% higher than R410A at the mass flux considered in the study, while R454B data are similar to R410A. The average pressure drop of R32 and R454B are much higher than R410A and they are 134-224% and 151-215% of R410A, respectively. R32 and R454B have relatively low GWP and high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so they are suitable as alternatives for R410A.

직접접촉식 액화천연가스 기화기의 비등특성 연구 (A Study on Boiling Characteristics of Direct Contact LNG Evaporator)

  • 김남진;김종보
    • 에너지공학
    • /
    • 제4권3호
    • /
    • pp.420-428
    • /
    • 1995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액화천연가스 기화기는 관내부로 -162$^{\circ}C$의 액화가스가 흐르고, 관외부로 발전소 증기응축기 출구에서 배출된 20~3$0^{\circ}C$의 해수를 흐르도록 하여, 두 유체사이의 온도차로 기화시키는 간접접촉방식 열교환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간접접촉방식 열교환기는 두 유체사이의 큰 온도차로 인한 금속재료의 피로현상과 해수의 염분에 의한 재질의 부식 및 미생물 부착 등의 원인으로 열전달효율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을 중간매체로 하는 간접접촉식 열교환기대신 액화천연가스와 기화용수인 물을 직접접촉시키는 방법으로 이용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 한다. 본 실험에서는 기화기내의 수위 500 mm와 물의 유량 10 l/min을 일정하게 고정시키고, 액화천연가스의 유량 0.12 ㅣ/min, 0.36 l/min, 0.6 l/min, 기화기내의 압력을 100 kPa, 300 kPa, 500kPa로 변화시키면서 기화기내의 기포, 온도분포, 급팽창현상, 동결현상 및 기화후 수분함유량등의 비등특성을 규명하였다. 실험결과 기화기내의 압력이 증가할수록 기포는 작고 균일한 분포를 이루고, 폭발적인 급팽창현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동결현상은 액화천연가스의 기화를 방지하지 못하였으며, 기화된 천연가스내의 수분함유량 몰%는 압력과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PDF

사람 난포액과 소의 수란관 조직추출액이 생쥐 난구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uman Follicular Fluid and Bovine Oviductal Tissue Extract on the Mouse Oocyte-Cumulus Complex)

  • 홍민정;김지수;심명선;김해권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6권2호
    • /
    • pp.97-104
    • /
    • 2002
  • 대부분의 포유동물에서 수란관내로 배란된 난자는 정자에 의해 수정이 된 후 개체발생을 시작한다. 그러나 수정이 되지 못한 난자들은 난구세포와 함께 수란관내에서 퇴화하여 제거되는데, 그 기작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포유동물의 수란관내 물질이 난자-난구 복합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람의 난포액과 소의 수란관 조직 추출액을 생쥐의 난자-난구 복합체에 처리하고 난자의 생존율 및 난구세포의 세포자연사(apoptosis)를 조사하였다. 수란관 조직 추출액을 처리한 미성숙난자는 난포액만을 처리한 난자와 비교하여 난자의 성숙률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난구세포에서 난포액만을 처리한 경우 확장을 일으키면서 배양접시 바닥에 붙어서 배양 후 72시간까지 분열 증식을 계속하는 것이 관찰된 반면, 수란관 조직 추출액을 처리한 난구세포는 확장이 억제되며 72시간 배양 후 모두 죽었다. 한편 난포액과 수란관 조직 추출액을 함께 처리한 난구세포는 배양 후 24시간에 화장을 일으켰으나 72시간 후에는 수란관 조직 추출액 만을 처리했을 때 와 마찬가지로 모든 난구세포가 죽었다. 이러한 난구세포의 죽음이 세포자연사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DAPI로 핵을 염색한 후 관찰한 결과 세포자연사의 특징인 응축되고 분절화된 핵을 관찰 할 수 있었고, 특히 수란관 조직 추출액을 처리한 난구세포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TUNEL 방법으로 세포자연사를 확인한 결과 응축되고 분절화된 핵을 가진 난구세포에서 염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소의 수란관 조직 추출액에 의한 생쥐 난구세포의 죽음은 세포자연사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 미루어 수란관 조직세포에는 난구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or teacher educators to re-conceptualize teacher education in Korea. 것이 필요하다.량은 264,000$m^2$, 79,200$m^3$이였으며, 우려기준의 40% 농도 이상의 경우 복원 면적과 물량은 779,000$m^2$, 233,700㎥, 배경치 농도 이상의 복원 목표 설정의 경우에는 각각 969,200$m^2$, 290,760$m^3$ 이였다. 토양오염 우려기준 농도의 40%를 복원 목표로 하는 경우와 배경치 농도를 복원 목표로 하는 경우, 복원 물량은 우려기준 농도를 복원 목표로 하는 경우의 3.0배와 3.7배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복원 목표치 설정시 우려기준 농도의 40%와 배경농도의 차이에 다른 복원 물량의 차이는 적어서, 복원 목표 설정시 배경치 농도로 복원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amma}$D)안정동위원소값이 광화I시기에는 각각 11∼9.${\textperthansand}$, -92∼-86${\textperthansand}$, 광화 II시기에는 각각 0.3${\textperthansand}$(${\gamma}^{18}O_{H2O}$),-93${\textperthansand}$({\gamma}$D)이며, 리본-호상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대봉광상의 광화유체에 대한 기원과 진화과정을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1) 마그마유체로부터 광화작용이 진행됨에 따라 계속적인 순환수의 혼입이 있었으며 2) 조기 마그마${\pm}$변성유체에서 유체압력의 차에

  • PDF

저온 조건에서 핀-관 열교환기의 공기측 열전달 및 압력손실 (Air-side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of a Fin-and-Tube Heat Exchanger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

  • 김내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5-20
    • /
    • 2017
  • 최근 들어 가정용 공조기가 겨울철에 히트 펌프로도 사용된다. 이 때 실외기는 저온의 외기와 열전달을 하며 관내의 냉매를 증발시킨다. 반면 여름철에 냉방기로 사용될 경우 실외기는 고온의 외기와 열전달을 통해 관 내의 냉매를 응축시킨다. 즉, 동일한 열교환기가 여름철에는 응축기로, 겨울철에는 증발기로 사용되고 외기 조건도 겨울철의 저온에서 여름철의 고온까지 넓은 범위에 놓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설계 온도 조건에서 얻어진 j와 f 인자가 저온 운전 시에도 무리없이 적용 가능한지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2열 루버 핀-관 열교환기에 대하여 외기 온도를 변화시키며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관 내측의 브라인의 유량이 미치는 영향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외기의 온도 변화가 j와 f 인자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만 하였다. 모든 j와 f 인자는 각각 9%, 3% 내에서 일치하였다. 따라서 표준 조건에서 얻어진 j와 f 인자를 저온 조건에 사용하여도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다. 또한 관 내측 유량 변화가 j와 f 인자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미루어 관 내측 상관식의 적용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핀-튜브 열교환기와 알루미늄 열교환기의 전열성능과 압력강하 특성비교 (Comparison of Heat Transfer Performance and Pressure Drop of Fin-Tube and Aluminum Heat Exchangers)

  • 장근선;이현수;김재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22-22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루버형 핀 형상을 가진 핀-튜브 열교환기와 알루미늄 평행류 열교환기의 에어컨 응축기 조건에서의 열전달 성능과 공기측 압력강하 특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실험은 ASHRAE 표준에 근거해 제작된 공기엔탈피형 칼로리미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관외 측 공기 속도는 0.7-1.6 m/s까지 0.3 m/s 간격으로 변화시켰으며 건구온도는 $20^{\circ}C$, 상대습도는 60%로 유지하였다. 관내 측 물의 입구온도는 $70^{\circ}C$, 유량은 10 LPM로 고정하였다. 알루미늄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은 루버 핀-튜브 열교환기보다 단위체적당, 단위질량당, 단위열전달면적당 약 17-163%정도 높게 나타나는 연구결과를 보였으며 반면에 공기측 압력강하는 핀-튜브 열교환기에 비해 약 19-81% 정도 낮게 나타났다.

정압기지내의 안전밸브 분출용량 관계식 검증을 위한 유동해석 (II) - 안전밸브 유동 해석 및 필요분출면적 - (Numerical Analysis for Evaluation of Ejection Capacity Relationship of Safety Valves in Pressure Regulating Station (II) - Flow Analysis and Required Effective Discharge Area of Safety Valve -)

  • 권혁록;노경철;김영섭;이성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5-109
    • /
    • 2008
  • 안전밸브는 정압기지 내에 정압기의 파괴 또는 관 내 수분의 응축 등으로 인한 관내 압력의 비정상적인 증가를 자동적으로 완화시켜주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는 밸브이다. 따라서 정압기지의 안전을 위해서 안전밸브의 유동 특성과 유동 형태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안전밸브의 분출용량과 필요분출면적에 따른 유동 특성을 수치해석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본 결과를 국내 외 안전밸브 관련 규정인 미국의 API(America Petroleum Institute), 유럽 연합의 EN(European Standard), 프랑스의 NF(Norme Francise)를 이용하여 분석, 비교하였다. 또한 안전밸브의 최대 필요 분출 면적을 이용하여 국내 및 국외 규정을 각각 적용하였을 때의 안전밸브의 필요 설치 수량에 대한 고찰을 해보았다.

  • PDF

생쥐 초기 배아의 'In Vitro 2-Cell Block'현상에 관한 연구

  • 김해권;공희숙;조완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22
    • /
    • 1986
  • 특정 계통의 생쥐 초기 배아의 체외 배양때에 나타나는 "In Vitro 2-Cell Block" 현상을 규명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본 실험이 행해졌다. 먼저 이 현상이 발생하는 ICR 계통의 생쥐의 수정란 또는 2세포기의 배아를 일정시간 대 (배란을 유도하기 위한 hCG주사시간을 기준)를 두고 수란관으로부터 회수한 뒤 이를 3-4일간 배양하면서 배낭으로까지의 발생능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hCG주사 후 약 30시간이 지난 뒤 수란관에서 회수한 수정란이나 2세포기의 배아의 일부가 배낭으로까지 발생하였으며 만일 48시간이 지나면 수란관 내에서 회수된 배아는 대부분이 2세포기 배아이며 이것들은 거의 배낭으로 발생하였다. HCG 주사 후 27시간이 지난 수란관으로부터 회수한 수정란을 2시간에서 24시간을 배양한 뒤 이들을 다시 수란관에 이식하여 기관배양법에 의해 72시간 배양하고 다시 수란관 밖에서 배아를 24시간 배양해 본 결과, 배아들이 수란관 밖의 환경에서 배양된 시간이 길수록 이것들을 다시 수란관내에 되돌려 준다 하더라도 배낭으로까지 발생할 능력을 크게 상실하였다. 이같은 실험 결과로 보아 생쥐의 수정란이 "2-Cell Block"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정후 일정시간 이상을 수란관이라는 환경내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배아는 수란관에 오래 머물러 있을수록, 그리고 수란관으로부터 축출되더라도 다시 수란관으로 돌려보내질 때까지 밖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짧을수록, 수정란 혹은 2세포기 배아의 배낭으로의 발생능력은 정상에 가깝게 유지되는 것이다. "2-Cell Block"에 걸려있는 2세포기의 배아는 배양 후 24시간까지에는 광학현미경적인 관찰 결과 정상적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으나 48시간이 되면 핵의 이상응축이 나타나며 72시간이 경과하면 세포질 내에 비정상적인 공포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