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흥분성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초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에 대한 뇌영상 연구 (An fMRI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reativity and Emotional Susceptibility)

  • 조선희;이민주;최유용;김희백;이건호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03-5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고등학교 과학발명반집단(n=13)과 일반 고등학생집단(n=13)을 대상으로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을 제시하고 뇌활동성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외 창의력 경진대회 수상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과학발명반집단은 창의적 성격검사(WKOPAY, SAM) 점수가 상위 96%이내였으며 일반집단은 보통 수준이었다.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IAPS사진) 제시 시 뇌활동성을 분석한 결과 과학발명반집단은 일반집단에 비해 중간측두이랑(MTG)과 상측두이랑(STG) 영역 등에서 뇌활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창의적 성격검사점수와 뇌활동성 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MTG, STG 영역 등에서 유의적인 상관도(p<0.005)를 나타내었다. 특히 흥분의 측면보다는 기분(유쾌/불쾌)의 측면에서 유의적인 상관도를 보이는 영역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적 창의력이 높은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정서적 감수성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과학영재교육 대상자의 선발과 교육프로그램에서 정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마늘(대산(大蒜)) 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 대산(大蒜), 소산(小蒜)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 (The Bibiographical Investigation of the Garlic(Daesan 大蒜) - Through the comparison of Daesan(大蒜) with Sosan(小蒜) -)

  • 김종덕;고병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87-299
    • /
    • 1997
  • 대부분의 음식에 첨가되는 마늘은 소음인의 이질설사(痢疾泄瀉)에 사용되기도 한다. 마늘은 온성(溫性)을 가지는 채(菜)로서 고자리파리를 통한 자연생태학적인 방법으로 온열성(溫熱性)이 있음을 증명할 수 있다. 산(蒜)은 원래 재래종인 소산(小蒜)을 지칭하는 말이었지만 대산(大蒜)(마늘)이 수입되면서 소산(小蒜)과 대산(大蒜) 모두를 나타내게 되었고, 재래종인 소산(小蒜)이 재배되지 않는 지금에는 산(蒜)이라면 대산(大蒜)을 지칭하게 되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인용한 산(蒜)에 대한 문장중 약간의 오류가 있음을 비교고찰할 수 있다. 단군신화에 나오는 '산이십매(蒜二十枚)'는 '마늘 20개' 가 아니라 '달래 20뿌리'로 번역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활동성이 많은 호랑이에 비해 곰은 겨울잠을 자므로 어두운 동굴에서 양기(陽氣)가 강한 쑥과 달래를 먹음으로서 동물성과 야수성을 물리칠 수 있었고, 양수(陽數)의 극치인 21일만에 인간으로 승화하였다는 단군신화에 대한 한의학적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제례때 금하는 음식 중의 하나인 마늘은 성욕(性慾)을 일으키며 정신을 흥분시키는 작용을 알 수 있으며, 열이 많은 소양인이나 태음인이 마늘을 날 것으로 많이 복용하면 부작용이 나는 까닭을 살펴보았다.

  • PDF

가토에서 뇌실내 Calcium Antagonists가 Methoxamine과 Clonidine의 혈압및 심박수 변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racerebroventricular Calcium Antagonists on Changes of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by Methoxamine and Clonidine in Rabbits)

  • 김종근;백영홍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2
    • /
    • 1986
  • Urethane 마취 가토에서 뇌내 alpha-1및 alpha-2 adrenoceptor의 작용에 미치는 calcium antagonist의 영항을 알아보고자 뇌실내 methoxamine과 clonidine의 혈압및 심박수 변동에 미치는 diltiazem, nifedipine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1). 뇌실내 methgramine(1mg)은 혈압상승및 심박수 감소를 일으켰고, 뇌실내 clonidine$(30{\mu}g)$은 혈압하강및 심박수 감소를 일으켰다. 2). 뇌실내 diltiazem과 nifedipine은 dose-dependent한 혈압하강을 일으켰으며 심박수 감소를 일으켰다. Diltiazem에 비하여 nifedipine은 혈압하강 효과는 크고 심박수 감소효과는 작았다. 뇌실내 diltiazem$(400{\mu}g)$, nifedipine$(35{\mu}g)$의 혈압하강 작용은 완만하고 지속적이었으나 같은 양의 정맥내 투여효과는 일과성이었다. 3). 뇌실내 diltiazem$(400{\mu}g)$이나 nifedipine$(35,\;350{\mu}g)$ 처리 후에 methoxamine(1mg)의 혈압상승 효과는 영향받지 않았으나 심박수감소 효과는 유의하게 감약되었다. 4). Clonidine의 혈압하강 작용은 뇌실내 diltiazem$(400{\mu}g)$이나 nifedipine$(35,\;350{\mu}g)$ 처리 후에 감약되었으나 정맥 내 diltiazem$(200{\mu}g/kg)$이나 nifedipine$(30{\mu}g/kg)$ 후에는 영향받지 않았다. Clonidine의 심박수 감소작용은 .뇌실내및 정맥내 diltiazem이나 nifedipine 처리후에 감약되었다. 5). 뇌실내 clonidine$(30{\mu}g)$ 처 리후 뇌실내 diltiazem$(400{\mu}g)$과 nifedipine$(350{\mu}g)$의 혈압하강및 심박수 감소효과는 영향 받지 않고 그대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diltiazem과 nifedipine은 가토뇌내에서 methoxamine에 의한 혈압상승의 작용점인 alrfia-1 adrenoceptor의 흥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clonidine의 작용점인 alpha-2 adrenoceptor의 흥분에 의한 혈압하강및 심박수 감소효과는 억제한다고 추론하였다.

  • PDF

식물조직계(植物組織系)의 유효성분(有效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1] -내염성(耐鹽性) 식물(植物)의 Proline축적(蓄積) 및 질소대사(窒素代謝)- (Studies on Salient Metabolites of Plant Tissues (I) -Nitrogen Metabolism and Proline Accumulation in Halophytes-)

  • 조인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2호
    • /
    • pp.221-227
    • /
    • 1977
  • 우리나라 서해안(西海岸)에 자생(自生)하는 내염성식물(耐鹽性植物) 10종(種)에 대한 proline함량(含量)은 $84{\sim}1700{\mu}g/gfw.$이었으며 Cl함량(含量)은 $0.13{\sim}0.45mM/gfw.$이었다. 이들 식물체내(植物體內)의 proline함량과 Cl함량 간(間)에는 상호반비례(相互反比例)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중에서 화본과(禾本科)인 갈대는 고(高) proline함유(含有) 저(低) Cl함유(含有) 식물(植物)로서 염처리(鹽處理)가 갈대의 질소대사(窒素代謝)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0.25M NaCl 처리 이상에서는 위조현상(萎凋現象)이 나타나고, 총질소(總窒素) 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는 경향이지만 알콜 가용성(可溶性) 질소 및 proline함량(含量)은 염처리(鹽處理) 농도(濃度)에 비례(比例)하여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경향(傾向)은 해변(海邊)과 육지(陸地)에 채취한 갈대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Gel전기영동의 단백질분획(蛋白質分劃)을 0.1M NaCl처리까지는 변화가 없으나 0.25M NaCl처리 이상에서는 Fraction 1 단백질이 감소(減少)하고 대조구(對照區)에 없는 새로운 단백질분획이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0.1M NaCl 처리는 갈대의 생육과 질소 대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0.25M NaCl 처리는 외관상(外觀上)의 생육(生育)은 저해되지 않았으나 체내(體內) 질소 대사에 이상(異常)을 가져왔으며 0.5M NaCI 처리 이상에서는 생육(生育) 및 대사(代謝)에 이상(異常)을 가져왔다. 질소대사(窒素代謝)의 가장 두드러진 이상(理象)은 proline의 축적(蓄積)이었으며 이 proline은 내염성(耐鹽性) 식물(植物)의 삼투압(?透壓) 조절기능(調節機能)과 관계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기적 흥분현상과 결부하여 $Ca^{++}$을 유리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한편 digitalis배당체의 강심작용기전에 있어서는 digitalis 배당체에 의한 세포막의 $Na^+$, $K^+$-ATPase 억제결과 초래될 수 있는 세포내의 $Na^+$ 증가 및(또는) $K^+$감소가 간접적으로 mitochondria에서부터 $Ca^{++}$ 유리를 증가하여 E-C coupling 과정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을 사료하였다.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留意性)은 인정(認定)되지 않았고 일반적(一般的)으로 식물성 유지급여군의 간지방함량(肝脂肪含量)이 다른 군보다 높았다. 5. 혈청(血淸)콜레스테롤 함량(含量)은 쥐에 있어서는 채종유군이 가장 높았으며 참기름군이 비교적(比較的) 높은 수치(數値)를 나타냈고, 병아리실험에서는 동물유군이 어유, 콩기름, 참기름, 들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차(留意差)는 없었다.6. 지방산조성(脂肪酸造成)은 동물성유지는 대체로 palmitic acid, myristic acid함량이 많았으며 식물성유는 Linoleic acid 와 oleic acid가 많았고 옥수수기름이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 함량이 54.7%로 가장많았으며 특히 들기름이 2중 결합 3개인 Linolenic acid가 58.4%로 다른 식물성기름보다 월등히 높았다. 한편 식물성 기름에는 Arachidonic acid 가 소량있으나 동물유(動物油)나 어유(魚油)에서는 분석(分析)되지 못했다. 5. Paper chromatograhpy에 의하여 유기산(有機酸)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a) Volatile acid i) 7년(年)

  • PDF

주산기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에서 항세포자멸사를 통한 mycophenolic acid의 신경보호 효과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mycophenolic acid via anti-apoptosis in perinatal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 김지영;양승호;차선화;김지언;장영채;박관규;김진경;정혜리;서억수;김우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86-693
    • /
    • 2007
  • 목 적 : Mycophenolate mofetil (MMF)의 활성 대사산물인 (MPA는 IMPDH의 잠재적인 반응 억제제로써 새로운 면역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MPA는 신경계에서 흥분독성 손상 후 뇌세포를 보호하고, 미세아교세포에서는 세포사멸사(apoptosis)를 유도하지만, 저산소성 허혈성 뇌질환에서 MPA의 효과는 아직 알려지지 않아, 본 연구에서 Rice-Vannucci 모델을 이용한 신생 백서의 저산소성 허혈성 뇌 손상과 저산소 상태의 태아 백서 뇌세포 배양에서 MPA의 뇌보호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험하였다. 방 법 : 생후 7일된 백서의 좌측 총 경동맥을 결찰한 후 저산소 (8% $O_2$) 상태에서 2시간 노출하여, 저산소성 허혈성 뇌 손상을 유발하고 뇌 손상 전후에 MPA(10 mg/kg)를 투여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또한, 재태기간 18일된 태아 백서의 대뇌피질 세포를 배양하여 1% $O_2$ 배양기에서 저산소 상태로 세포손상을 유도하여 저산소군, 손상 전후 MPA 투여군($10{\mu}g/mL$)으로 나누어 정상산소군과 비교하였다. 세포사멸사와의 관련을 알아보기 위해서 Bcl-2, Bax, caspase-3 항체로 western blotting하였고 Bcl-2, Bax, caspase-3 primer를 이용하여 real-time PCR을 하였다. 결 과 : 형태학적으로 H&E 염색상 MPA를 투여한 군에서 뇌 보호 효과를 보였다. Western blotting과 real-time PCR을 이용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동물 모델뿐만 아니라 저산소 상태로 태아 백서 뇌세포 배양 실험에서도 MPA 투여한 경우 caspase-3의 발현과 Bax/Bcl-2의 비율이 감소함을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MPA가 anti-apoptosis 작용을 통하여 주산기 저산소성 허혈성 뇌 손상에 뇌보호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향후 신생아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의 치료에 임상적 적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카드뮴중독이 흰쥐 정관 및 꼬리동맥의 아드레나린성 ${\alpha}-$수용체에 미치는 영향 (Alteration of ${\alpha}-Adrenoceptor$ by Cd-poisoning in Rat Vas Deferens and Tail Artery)

  • 손방현;조수열;이상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3-258
    • /
    • 1985
  • 흰쥐 정관 및 꼬리 동맥의 ${\alpha}_1-$${\alpha}_2-$수용체, 그리고 prostaglandine과 관련해 NA 유리에 미치는 Cd의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d 중독 흰쥐 정관에서 전기 자극에 대한 반응은 증가하였으며, Freq.50은 대조군보다 현저히 낮아졌으며 꼬리동맥의 반응은 감약되었다. 2. Cd 중독 정관에서 clonidine의 억제반응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methoxamine 존재하의 전기 자극 반응은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3. $PGE_2$에 의한 억제작용은 Cd 중독군에서는 소실되었으나 꼬리 동맥에서 $PGE_2$의 억제효과는 Cd 중독으로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4. Cd 중독 꼬리 동맥에서 methoxamine 및 clonidine에 대한 수축반응은 최대 수축고가 현저히 낮아졌으나 $ED_{50}$치는 변화하지 아니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Cd 중독시 정관에서 시냅스 전막 autoreceptor가 억제되어 교감 신경 흥분성이 증가함으로써 전기자극에 대한 반응이 항진되었다고 생각된다.

  • PDF

배외측전전두엽피질 영역에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이 감각기능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the Sensory Function after Transcranial Direct Stimulation on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rea)

  • 민동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45-452
    • /
    • 2015
  • 경두개직류전류자극(tDCS)은 낮은 직류 전류 강도를 사용하여 대뇌피질의 자발적인 신경학적 활동의 흥분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신경조절 기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tDCS를 적용한 후 다양한 감각 기능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있다. tDCS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CPT 검사를 50명의 건강한 대상자에게 단일 기간(8월4일에서 8월29일), 단일 공간, 단일 맹검법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신경전도검사는 우세 손의 말초신경 병변을 구별하기 위해 정중 감각과 운동신경을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은 각 25명 씩 대뇌피질의 DLPFC의 tDCS 자극군과 대뇌피질의 DLPFC의 tDCS 위자극군으로 2개의 다른 조건 아래서 1 mA의 전류강도로 15분씩 양극 tDCS로 적용하였다. 촉각, 빠른 통증과 느린 통증을 각각 평가하기 위해 우세한 제 2수지에 2000, 250, 그리고 5 Hz의 주파수로 CPT 검사인 Neurometer$^{(R)}$를 이용하여 수치들을 기록하였다. DLPFC의 양극 tDCS 자극군의 CPT 수치들에서는 250과 5 Hz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양극 tDCS 위자극군의 모든 CPT 수치들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DLPFC의 양극 tDCS가 건강한 대상자들의 감각 지각과 통증 역치들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활과 통증 치료 분야에서 유용한 치료 방법 중 하나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REK-1 채널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의 효과 (The effect of flavonoids on the TREK-1 channel)

  • 김양미;김경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660-2667
    • /
    • 2011
  • TREK-1 채널은 two-pore 도메인 포타슘 (K2P) 채널로서 세포내 pH, 세포막의 신전, 불 포화 지방산, 온도, 휘발성 마취제, 신경세포방어물질에 의해 잘 조절된다. TREK-1 채널은 포타슘 이동에 의해 신경세포의 흥분성과 안정막전압을 조절한다. 최근 TREK-1은 전립선 암세포에서도 과발현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TREK-1 채널에 대한 플라보노이드 효과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생리학적 방법 중의 하나인 excised inside-out patch기법을 이용하여 TREK-1 채널을 조절하는 플라보노이드를 탐색하는 것이다. TREK-1 채널이 발현된 CHO 세포에서 단일채널 팻취고정 방법을 이용하여 커큐민 (curcumin), EGCG (epigallocatechin-3-gallate), 퀘르세틴 (quercetin)에 의한 TREK-1 채널의 차단효과를 증명하였다. 퀘르세틴과 커큐민의 차단효과는 가역적으로 회복되었으나 EGCG는 거의 회복되지 않았다. 퀘르세틴, EGCG, 커큐민의 상대적 채널 활성도 (relative channel activity)는 $73{\pm}2.3%$ (n=5), $91{\pm}3.2%$ (n=7), $94{\pm}5.6%$ (n=4)까지 감소하였다. CHO 세포에 발현된 TREK-1 채널에 대한 커큐민, 퀘르세틴, EGCG의 $IC_{50}$는 각각 $1.04{\pm}0.19\;{\mu}M$, $1.13{\pm}0.26\;{\mu}M$, $13.5{\pm}2.20\;{\mu}M$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플라보노이드가 TREK-1 채널을 억제하며, 이 조절은 신경계 또는 종양세포에서 플라보노이드의 약리학적 작용 중의 하나임을 제시한다.

횐쥐 부신에서 Opioid가 니코틴 수용체를 통한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pioid on Nicotinic Receptor-Mediated Catecholamine Secretion in the Rat Adrenal Gland)

  • 임동윤;이종진;최철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1-190
    • /
    • 1992
  • 흰쥐 적출관류 부신에서 선택적인 nicotine 수용체 효능약인 DMPP(1,1-dimethyl-4-phenylpiperazinium)와 acetylcholine(ACh)의 카테콜아민(CA) 분비작용에 대한 opioids의 영향을 연구하고자 시행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Methionine-enkephalin$(9.68{\times}10^{-6}\;M)$으로 전처치시 DMPP(100 uM)과 $ACh(50\;{\mu}g)$에 의한 CA 유리작용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basal CA release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Morphine$(1.73{\times}10^{-5}\;M)$으로 전처치시 DMPP 및 excess $K^+$의 CA 분비작용은 뚜렷이 약화되었다. Morphine 역시 그자체는 basal CA release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Opiate 수용체 길항제인 naloxone$(1.22{\times}10^{-7}\;M)$은 DMPP 및 ACh에 의한 CA 분비작용을 현저히 차단 하였으나 basal CA release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보아, 흰쥐 관류 부신에서 니코틴 수용체에 의한 CA 분비작용은 내인성 opioid peptide에 의해서 억제되며, 이는 부신에 존재하는 opiate 수용체 흥분작용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추출용액에 따른 유산균 발효 땅두릅의 항염증 효과 (Enhancement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Extracts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 우영민;김옥주;조은솔;조민영;안미영;이상현;하종명;김안드레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38-1447
    • /
    • 2018
  • 본 연구는 추출 용매별 땅두릅 추출물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후 용매별로 추출한 땅두릅 발효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염증 효과를 측정한 연구이다. 땅두릅은 중추신경 계통에 대한 흥분작용이 있고 혈압강하 작용이 알려져 있으며 관절염, 감기, 신경통, 류마티스, 피부가려움증 등에 쓰인다. LPS (lipopolysaccharide)로 염증을 유도한 마우스 유래 macrophage에서의 NO 생성 및 염증관련인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항염증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건조 땅두릅을 water, ethanol, hexane, ethyl acetate, butanol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들과 L. plantarum으로 발효한 후 추출한 추출물들에서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독성 여부를 측정하였고,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에서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추출물은 LPS로 유도된 NO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주요 염증 유발인자인 COX-2와 iNOS의 발현 또한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염증관련 cytokine인 $IL-1{\beta}$, IL-6 및 $TNF-{\alpha}$의 생성량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땅두릅을 L. plantarum으로 발효한 후 water, ethanol, butanol로 추출하였을 때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