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 영재 교육

Search Result 1,02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cience Gifted/Talented Education System in KOREA (과학영재 교육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호감;김명환;이상천;하종덕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2 no.1
    • /
    • pp.61-7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system for science 34gifted/talented students in Korea. There are fifteen science gifted/talented education centers established in major universities, sixteen science high schools and one research center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located at KAIST. To examine the selection procedure and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 centers and science high schools, the annual reports of the fifteen education centers and the annual plans of sixteen science high schools are analyzed. About 200 gifted/talented students are employed in the field of science, mathematics and information science at each education center, Multidimentional education system is developed for efficient way of teaching for the gifted.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for each education center is unique and different from the science high schools that follow nationally given form. This study shows new selection method and unique curriculum for the science gifted/talented students employed in the education centers. Also, current situation of science high schools are reported in this study. Finally we suggest the systematic way of developing the education system for the gifted in science in korea.

Design of a Stepwise Enrichment Curriculu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cs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단계별 심화 교육과정의 설계)

  • Kim, KyungKyu;Lee, JongY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1
    • /
    • pp.35-50
    • /
    • 2014
  • The current curriculu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formatics are not practical and systematic in teaching methods because it is hard to provide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with appropriate education individualized at their own levels. Furthermore,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in previous curriculu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formatics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t sufficient on previous curriculu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informatics in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previous curriculums in use do not contribute to cultivating the creativity, problem-solving, logical thinking abilities and insight for the gifted students. Third, there is no curriculum, which reflects on individual's ability and aptitude,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informatics. Therefore, in this paper, we suggest stepwise enrichment curriculums that enables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to be equipped with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ies. In this regard, at first, The problem with existing research and educational institute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cs were analyzed. Next we developed a concrete stepwise enrichment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al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cs.

  • PDF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특성과 적응에 관한 연구

  • 문경근;박일영;추봉욱;박수경;곽미용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4 no.2
    • /
    • pp.49-73
    • /
    • 2004
  •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지적,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특성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 선택 경향, 학업성취도, 개별연구과제 선택 경향, 진로선택 및 학교 적응 정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영재아들의 지적 ${\cdot}$ 정의적 특성 및 학교적응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의 경우 출신 지역에 따라 영재교육을 받았는지의 여부에 차이가 났다. 즉,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 중 대다수가 수도권과 영남 지역의 학생들이었다. 둘째, 학생들이 지적인 학습 능력에는 만족도가 높으나 대인관계 능력과 관련하여서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그리고 영재학교의 학생들은 일반학교 학생들과 성격 유형상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즉, 영재학교 학생들은 일반학교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향적이고 미래 지향적 혹은 개념적이며, 감정보다는 논리적 과정을 우선시한다. 셋째, PT 과목 통과에 있어서 생물과 정보 영역을 제외하고는 영재교육원에서의 교육과 PT 통과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넷째,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은 R&E 주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물리 과목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선호도에는 남녀 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영재교육의 여부와 큰 상관이 없었다.

수학영재 프로그램 분석 - 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2002{\sim}2005$년 수학기초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Park Jong-Ryul;Jang Mi-R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6.04a
    • /
    • pp.173-188
    • /
    • 2006
  • 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은 1998년부터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영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2002년${\sim}$2005년에 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반에서 수학영재교육에 사용했던 프로그램에 대해 수학 영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구성체제와 주제별 내용 및 활동,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하고 주제별 프로그램에 패한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를 설문하여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수학영재교육을 더욱 개선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 수학영재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삼고자 한다.

  • PDF

Research on the changes of the belief of science teachers after dispatch training -focusing o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파견 연수를 통한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 변화 조사)

  • Kim, Gyeong-Hwa;Choe, Seung-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331-338
    • /
    • 2005
  •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데 핵심이 되는 영재교육 담당교사를 위한 연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교사의 인식수준 파악과과 신념 변화 과정을 조사하고바람직한 교사연수 모형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서울시교육청에서 처음 시도하는 교사연수 형태인 [파견연수] 전후에 있어서 과학교사들의 신념변화 과정을 설문지와 관찰, 인터뷰를 통하여 확인하고 논의점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가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신장시키는 연수 프로그램의 기본 틀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후속 연구로는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과 전문성 실태 분석 및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연수 프로그램 효과 분석 및 효율적인 과학영재교육분야의 교사연수 모형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방안

  • 이재수;이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4.11a
    • /
    • pp.179-19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영재와 정보과학영재에 대하여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그 개념을 정의하고,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교육하고 있는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선발 실태 분석을 통하여 정보과학영채 선발방법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선발방법에 대한 개선점과 선발절차를 제시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초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

  • Kang, Hunsik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7 no.6
    • /
    • pp.789-800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To do this, the reflective journals of 33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productive refle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of reflective journals included the aspect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ducation (100.0%)' and 'science-gifted students (90.9%)'. 'Curriculum for science-gifted education (42.4%)' was also frequently included although fewer than two previous aspects. However,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assessment in science-gifted education' were included less than 10%. The mean score of the inclusion scores was 2.48 on a scale of 5 points and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eaching careers in science-gifted education. 18.2% of the journals showed no integrations, which were unproductive reflection. 66.7% of the journals integrated only two aspects and 24.2% of the journals integrated three aspects. Only 6.1% of the journals integrated four aspects and no journals integrated all five aspects. Especially, the integrations between 'science-gifted students (81.8%)' or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ducation (81.8%)' and the other aspects were most frequent. The integrations between 'Curriculum for science-gifted education (30.3%)' and the other aspects were also frequently included. However, the integrations between 'subject matter knowledge (6.1%)' or 'assessment in science-gifted education (0.0%)' and the other aspects were hardly included. The mean score of the integration scores was 2.12 on a scale of 5 points and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eaching careers in science-gifted education.

A Study on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Convergence Education School for the Gifted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Jae-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6 no.1
    • /
    • pp.123-130
    • /
    • 2012
  • As a sequel of "special improvement act for gifted student education" legislated on January 2000, "regulation act for gifted student education" was published on April 2002 which is the time Korea has settled down its education for the gifted. Announced in the December 2007 "general plan for development of gifted student education" provided a platform for the gifted student education in Korea of growth in quantity, in which a plan of providing gifted student education up to 1 percent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students (approximately 70 thousands) has been established while the education currently provides to 0.59 percent (40 thousands) of all students. Until recently, however,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has been performed based on the way of concentrating on academic domains. and it has put more weights on mathematics and english domains. In order to overcome this drawbacks,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for growth in quality of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one of them is the our proposal of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 education for cultivating 21 century creative humans through establishment of new type of institution. In this paper, education curriculum and management strategies appliable to the proposed convergence education institutions for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derived the implication points through analysis on education processes used in korea science school for the gifted students,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for the gifted students in Korea, and we suggested educational process curriculums for the science and art institute for gifted students along with the detailed contents of convergence subject which is an essential subject to the institute.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System of Student's Participation for IT-Gifted Youth Education (정보과학기술 영재교육을 위한 학생 참여도 분석시스템 연구)

  • Joo, Jee-Young;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60-264
    • /
    • 2010
  • 본 연구는 2010년 전국 정보과학기술(IT) 영재교육을 위한 학생 선발 과정을 중심으로 과거의 선발 과정과 차이점을 비교해보고, 정보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교육생을 대상으로 모집된 결과로 부터 성별, 지역별, 학교별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율이 1 : 0.29로 나타났는데 이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정보과학기술을 접하기 어려운 분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지역별 분포비율을 조사한 결과 부산지역이 가장 많은 관심 비율을 보이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에 한국과학영재학교를 비롯한 부산광역시 교육청 산하 정보영재교육원과 같은 정보영재교육의 참여도가 많은 학생들이 지원한 것으로 보인다. 세번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약간 우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좀 더 일찍 자신의 적성에 적합한 영재교육의 혜택을 경험해보기 위해서이며, 학업의 내용이 학교 교과과정에만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계발을 위한 학부모와 학생들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국가적 IT 브랜드의 위상이 높아지고 IT의 발전이 학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본 연구에서는 판단된다. 정보과학기술 영재교육의 학생 선발 방식이 새롭게 전환되면서 무엇보다도 전국의 많은 학생들이 IT영재교육원의 교육 혜택을 받게 되었다는 점과, 많은 학생들이 온라인 교육을 통해서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창의력과 자기계발 잠재력을 키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