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 영재교육의 목적

Search Result 28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과학영재교육 체제 정립

  • 이군현;김하진;박찬웅;이용수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5 no.1
    • /
    • pp.121-144
    • /
    • 1995
  • 과학영재교육이란 수학 과학 분야에 창조적 사고를 가지고 탁월한 학문적 성취를 보일 가능성 있는 학생을 육성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세계 각국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과학영재를 육성하고 있다. 본 논문은 과학영재 육성이 왜 필요한가를 살펴보고 국내외의 과학영재 교육현황을 분석한 후 한국의 과학영재교육 체제를 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 PDF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반응분석

  • 문경근;박일영;박수경;정권순;추봉욱;곽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5-166
    • /
    • 2003
  •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PDF

Theoretical Review on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utonomous Inquiries for the Gifted in Science Education (과학영재 교육에서 자율탐구활동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 Lee, Hyonyong;Cho, Hyunju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2 no.2
    • /
    • pp.33-50
    • /
    • 200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 programs for those gifted students in science education. The authors suggest the importance of autonomous inquiries amongst various activities for those gifted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we identified the meaning of autonomous inquiry by comparison with the open inquiry and presented the importance of the autonomous inquiries with the aim of the gifted in science education. From this, w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program development to cultivate the gifted adolescents' independence, creativity, and autonomy beyond previous programs.

  • PDF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특성과 적응에 관한 연구

  • 문경근;박일영;추봉욱;박수경;곽미용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4 no.2
    • /
    • pp.49-73
    • /
    • 2004
  •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지적,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특성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 선택 경향, 학업성취도, 개별연구과제 선택 경향, 진로선택 및 학교 적응 정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영재아들의 지적 ${\cdot}$ 정의적 특성 및 학교적응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의 경우 출신 지역에 따라 영재교육을 받았는지의 여부에 차이가 났다. 즉,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 중 대다수가 수도권과 영남 지역의 학생들이었다. 둘째, 학생들이 지적인 학습 능력에는 만족도가 높으나 대인관계 능력과 관련하여서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그리고 영재학교의 학생들은 일반학교 학생들과 성격 유형상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즉, 영재학교 학생들은 일반학교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향적이고 미래 지향적 혹은 개념적이며, 감정보다는 논리적 과정을 우선시한다. 셋째, PT 과목 통과에 있어서 생물과 정보 영역을 제외하고는 영재교육원에서의 교육과 PT 통과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넷째,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은 R&E 주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물리 과목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선호도에는 남녀 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영재교육의 여부와 큰 상관이 없었다.

Standards for Evaluation of a Center for Scientifically Gifted Education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 기준 개발)

  • Choi, Don-Hyung;Kang, Wan;Son, Yeon-Ah;Jeon, Young-Seo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1 no.2
    • /
    • pp.59-85
    • /
    • 2001
  • Offered in this paper are standards for evaluation of a center for scientifically gifted education attached to a university. Various methods of study are used, such as review of literature, professional meetings, seminars, and discussion groups. To implement this study we first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 of the center through examination of already published research in regard to scientifically gifted education. Based on this analysis, we then identified the direction and framework of evaluation of a center for scientifically gifted education attached to a university that could function as a local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fter this, we designed detailed standards for evaluation for such a center in regard to direction, organization, procedures and methods for selection of a center, curriculum development, and strategies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phase, and function of the center as identified. Lastly, we presented a framework for evaluation concluding standards and methods for evaluation classified by the domains and times of evaluation we had explored. Plans for evaluation of the center as described here, will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enabling centers for scientifically gifted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institutions'educational environment.

  • PDF

Research on the changes of the belief of science teachers after dispatch training -focusing o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파견 연수를 통한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 변화 조사)

  • Kim, Gyeong-Hwa;Choe, Seung-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331-338
    • /
    • 2005
  •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데 핵심이 되는 영재교육 담당교사를 위한 연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교사의 인식수준 파악과과 신념 변화 과정을 조사하고바람직한 교사연수 모형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서울시교육청에서 처음 시도하는 교사연수 형태인 [파견연수] 전후에 있어서 과학교사들의 신념변화 과정을 설문지와 관찰, 인터뷰를 통하여 확인하고 논의점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가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신장시키는 연수 프로그램의 기본 틀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후속 연구로는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과 전문성 실태 분석 및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연수 프로그램 효과 분석 및 효율적인 과학영재교육분야의 교사연수 모형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Case Study Of Scientific Gifted Education in Russia (러시아의 과학영재교육 사례연구)

  • Oh, Hee-Jin;Lee, Hyo-nyong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2 no.1
    • /
    • pp.85-100
    • /
    • 2008
  • Korea has begun institutional education for the gifted since 2002. It has quantitatively expanded, but needs rather qualitative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a case of scientific education for the gifted in Russia. Three principal of Russian science academy, one educational psychologist, and one education-government official had in-depth interviews for this study. All data from interviews were carefully analyzed.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in Russia gives us full assurance that students should reveal their potential ability with the specialized program in school. The Russian run various, particular academies because they try to search for potential ability in manifold areas. The people in charge of scientific education in Korea should make an effort to seek for varied routes in the way of searching for hidden originality and potential ability.

  • PDF

Delphi Study about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 Choi, Kyou-Le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2 no.2
    • /
    • pp.387-41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science gifted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by Delphi study. As a result by a total 3 round Delphi method,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or science gifted students was to promote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the effectively interactive communications in the process of creative problem finding and solving. Thus this elicited the consensual agreements of experts about science gifted educational aims, methods, contents, and evaluations etc. As a follow-up research will be developed science gifted educational model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in Mathematics or Science (수.과학 영재학생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 Kang, Ji-Yeon;Lee, Jae-Ho;Jin, Suk-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5 no.3
    • /
    • pp.469-48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cognition and opinions of gifted students, as well as their parents and teachers, on applying the artistic components to current educational programs for high ability students, gifted in mathematics and/or scienc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84 gifted students, 59 parents, and 23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a) More than 1/4 of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or sciences reported that they are talented in both math/science and arts, (b) most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believe that arts education is useful for cultivating academic talents of gifted students, (c)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prefer 'Science and Arts School for the Gifted' to 'Science School for the Gifted', if both options are available.

  • PDF

Analysis of the Curriculum for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Based on the Core Competency of Gifted Students (과학 영재 핵심 역량 기반의 과학영재교육원 교육 내용 분석)

  • Kim, Heekyong;Lee, Bongwoo
    • New Physics: Sae Mulli
    • /
    • v.68 no.12
    • /
    • pp.1338-134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of a university-affiliat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education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For this purpose, we set the 12 core competencies as follows: 6 cognitive competencies such as knowledge, creativity, scientific thinking ability, inquiry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fusion ability, and 6 non-cognitive competencies such as task commit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otivation reinforcement and challenge, communication skills, collaboration ability and leadership. The curricula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s reflect all the competencies, but some competencies are only potentially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In this study, we present examples of education programs by each competences and suggest additional descrip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