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과 미국의 초등과학 교과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Analysis of Science Writing Tasks in Korean and American Science Textbooks)

  • 구슬기;박일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4호
    • /
    • pp.463-480
    • /
    • 2012
  •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scientific writing tasks in Korean and American science textbook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ypes of posing the writing task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hildren's scientific cogni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writing ones of each chapter and thus to propose an effective way of presenting scientific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Korean 'Science' and 'Experiment Observation Workbook'and Macmillan Mcgraw-Hill(MMH) Science for fourth graders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textbooks contain more science writing tasks per pages, and less per chapters than MMH one. Both text books provide balanced amount of science writing tasks, yet MMH especially does systematic exercises for each chapter. Seco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extbooks' scientific writing shows that both textbooks contain a significant amount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ory" writing, which reflects that the purpose of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is leaning towards acquiring and verifying scientific concepts. In American textbooks, however, writings utilizing extensive cognition process and materials are also present. It is necessary for textbooks to present diverse and expressive writing assignments including personal opinions.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science writing tasks. Science writing tasks in Korean textbooks are present independently with lesson objectives of the chapters and practices, while those in MMH are systematically develop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textbooks' way of presenting writing task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By organizing the writing materials and thus developing diverse materials, and by implementing extensive cognitive process in the writing activities, textbooks will be able to contribute in attracting the students' interests and in improving their scientific knowledge.

창의적 글쓰기 발상 시 전문 영역의 지식이 좌측 측두엽의 EEG 알파파 억제에 미치는 영향 (Expertise-Related EEG Alpha Deactivation of the Left Temporal Lobe during Creative Writing Improvisation)

  • 김순화;송기상
    • 인지과학
    • /
    • 제21권3호
    • /
    • pp.409-427
    • /
    • 2010
  • 창의성과 지식의 관계를 설명하는 심리학적인 연구는 크게 긴장적 관점과 토대적 관점의 두 관점이 적용되어 오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창의적 수행 결과를 토대로 한 창의적 산물 중심의 연구로서 창의적 사고 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데에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 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뇌과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지식과 창의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10명의 컴퓨터 전문가를 선정하여 언어적 창의성 과제인 소설쓰기 과제를 제시 한 후 전문 영역과 비전문 영역의 창의적 사고 과정 시 뇌파(EEG) 알파파의 과제 관련 파워값(Task Related Power, TRP)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기준 상태로 눈 감고 안정 상태, 일반적 사고 과정, 전문 분야의 창의적 사고 과정, 비전문 분야의 창의적 사고 과정 시의 EEG를 측정한 후 각각 비교 분석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전문 영역의 창의적 사고 과정 시 알파파의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이 주로 측두엽에서 나타났고, 특히 좌측 측두엽에서 뚜렷하게 관찰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지식이 창의적 사고를 방해할 수 있다는 긴장적 관점을 지지하는 것으로 창의적 사고 과정에 관한 연구를 뇌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노년층의 글쓰기 특성 -이야기문법과 구문구조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Writing in Normal Aging: Story Grammar and Syntactic Structure)

  • 김현아;원새롬;이보은;윤지혜
    • 재활복지
    • /
    • 제21권1호
    • /
    • pp.193-212
    • /
    • 2017
  • 노년층은 이야기를 산출하면서 주제로부터 벗어나는 이야기를 하거나 문장구조를 단순화하기도 하며 문법 형태소의 오류를 보일 수 있다. 이야기를 말하는 능력과 글로 쓰는 능력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글을 쓰는 능력은 복잡한 인지과정을 필요로 하므로 노화에 더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상 노년층 32명과 청년층 32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쓰기 능력을 살펴보았다. 과제는 전래동화('흥부놀부')에 대한 그림들을 보고 자유롭게 이야기를 구성하여 써보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 시에는 이야기 구성적 측면과 이야기 구문구조적 측면으로 나누어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하여 이야기 구성적으로는 이야기문법과 완전한 에피소드의 수가 유의하게 적었으며 주제에서 벗어난 문장을 더 많이 산출하였다. 구문구조적으로는 복문의 사용빈도는 청년층과 차이가 없었으나 관형절과 부사절 내포문의 사용이 저하되고 부적절한 결속표지를 많이 산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층이 이야기 글쓰기를 할 때 주제의 유지가 저하되고 수식적으로 꾸며주는 표현의 사용이 부족하게 되면서 전체적인 글의 응집성이 저하되지만 쓰기 활동의 시각적 피드백에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므로 긴 복문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