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 for scientific inquiry study by investigating level of understanding and actual state regard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tific inquiry. The survey was conducted toward 4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ork at the D city by using questionnaire of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Actual state of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was investigated by categorized the responses to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eight aspects of scientific inquiry in three levels (informed, mixed, naive) based on analysis criteria. And analyze whether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affect to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aspect of scientific inqui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wo aspects among the eights aspects of scientific inquiry; 'Inquiry procedures are guided by the question asked' and 'Research conclusions must be consistent with the data collected' were appeared to have high rates of informed level of understanding. In the remaining six perspectives, mo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naive and mixed level of understanding, so informed level of understanding took a relatively low proportion. It implie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each inquiry in the field have limit to understand about scientific inquir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xperiences that have taught students and science related training courses that open sofar have a little influence to increase comprehension about scientific inquir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inforce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inquiry and to formulate different form of plan unlike existing way of teaching for teaching scientific inqui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nth grad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NOSI). A total of 100 public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 questionnaire of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was used to assess their understanding of the NOSI,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when necessary, semi-structured interviews. By employ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o analyze their responses, five students were consistently categorized as the group with informed views regarding all the eight aspects of the NOSI. The rest of the students showed different levels of understanding regarding each aspect. A large portion of the students represented a group with mixed views about four aspects and informed views about three aspects, whereas naive views about one aspect prevailed among them.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students comparatively lacked understanding of the aspect related to the scientists' process of constructing explanations and formulating theories.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results and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and presents implications for the overall enhancement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OSI. Finally, it encourages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makes suggestions to promote further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42
no.4
/
pp.449-475
/
20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science content and science education from the 'essential-holistic' perspective, in particular, among the core disciplines constituting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this study, we first, analyzed the definition of the 'essential-holistic' perspectiv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ractices in-depth, and then, from the 'essential-holistic' perspective, conducted an inquiry into the essence of science content and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essential-holistic' perspective, science content is a study that explores the science practices and systematizes the results of that inquiry. Major activities of science content include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science for teachers' and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science curriculum (textbook). Second, scie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essential-holistic' perspective is a study about in-depth exploration of essential problems in science education phenomena rooted in the science practices and the practice of good teaching. More specifically, science education is a field that carries out work related to inviting, participating, and guiding students to grow into science practices (i.e. initiating into practices). The main activities of science education related to this include activities ranging from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curriculum (textbook) to teaching and evaluation (recording). In this study, we discussed important task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to analyze the factors that enhance their learning achievement in a fieldtrip environment. For this academic goal, we analyzed a pattern of fieldtrip-related perception and attitudes of 19 science-talen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07 KESO winter school. As for the perception type,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science-talented students understood a fieldtrip as an experimental inquiry from an inquiry perspective, and that their understanding about a fieldtrip was based on anthropocentrism, positivism and instrumentalism from a science philosophy perspective. Regarding theattitudes type,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purpose of the winter school was mainly to learn knowledge in earth science,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tendency for the participating students to become a future scientist more eagerly than their parents expected. Students' fieldtrip-related academic self-concept was mostly positive while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is study reflects the regional context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embodied in US-North Korean nuclear tension. The researcher uses the methodological inquiry of practical theology to analyze the political affairs and intertwine with religious education. The ecology of religious education to dismantle the threat of ethnic and racial discrimination such as white supremacy supports a shared pedagogy 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s in the narrative of Jesus to challenge all forms of oppression as the democratic presence of Go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40
no.2
/
pp.141-150
/
20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skill-based approach to scientific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science practices that are emphasized in recent science education reform movement. An extensiv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detailed themes of the study. In the skill-based approach of which Science-A Process Approach (SAPA) is a representative example, science process skills were presented as hierarchical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they were believed to be transferable or generalizable, and science learning through discovery was stressed. These points of view are, however, contradicted with those of the modern philosophy of science which suggests the theory-laden nature of using the skills. The skill-based view has also been criticized by the fact that the use of inquiry skills is content-specific or context-dependent and that science theories or principles cannot be discovered by induction. In contrast, the recent view understands science practices holistically, emphasizes the diverse ways of doing the practices which vary with different contents or contexts, and considers student ideas importantly in the science classro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science curriculum by providing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consistent view on scientific inquiry.
본 연구는 첫째로는 수학교육에서 패턴이 강조되는 이론적 근거를 찾고자 역사적 맥락에서 수학의 성격변화를 탐색하였다. 수학의 성격 변화를 통하여 수학은 수의 탐구, 기하의 탐구, 운동ㆍ변화ㆍ공간의 탐구, 수학 연구의 도구에 대한 탐구로 그 영역을 점차 확대하여 왔으며, '수학은 패턴의 과학이다'라는 정의는 수학이 폭넓어짐에 따라 수학이 무엇인가에 대한 수학의 본성에 접근하는 논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은 수학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고, 특히 수학교실의 변화에 따른 패턴의 강조를 살펴보았다. 둘째로는 수학적 패턴을 밝힘과 동시에 수학 교육에서 수학적 패턴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자 수학적 패턴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패턴의 속성에 따른 유형화와 패턴의 생성 방식에 따른 유형화를 통하여 수학적 패턴의 유형을 마련하였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다루어지는 패턴은 어떠한 것인가를 현행 4학년 수학교과서 및 익힘책에 제한하여 유형화한 틀로서 조사 분석하였다. 셋째로는 수학적 패턴에 관한 지도 방안의 모색으로서, 지도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수학적 패턴에 관한 교수 전략을 마련하였다. 교수전략은 크게 패턴에서의 규칙 찾기, 패턴을 변형ㆍ확장하기, 자신의 새로운 패턴 만들기, 패턴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기로 나누고, 각각에 3-4개의 세부 전략과 세부 전략에 따른 예를 제시하였다.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40
no.1
/
pp.29-40
/
20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 high school science teacher (Teacher E) shifted her understanding and facilitation of scientific modeling through participation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 for over a year. Based on socially situated theory of learning, I focused on examining Teacher E's frames about scientific modeling from her social interactions. Teacher E participated in her school-based PLC over a year and collaborated with other science teachers, coaches, and researchers to improve science instruction. I qualitatively explored her participation in 6 full-day professional learning opportunities-studios-where the PLC members collectively planned, implemented, and debriefed modeling-based lessons. Especially, I focused on two Studios (Studio 2, 6) where Teacher E became the host teacher and implemented the lessons. I also examined her classroom teaching in those Studios. To understand how the PLC inquiry affected the shifts observed in Teacher 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I explored how the inquiry evolved over the 6 Studios. Findings suggest that in Studio 2, Teacher E viewed students' role in scientific modeling as to fill out the worksheet with "correct" answers. Meanwhile, in Studio 6, she focused on helping students collaborate to construct explanatory models of phenomena using evidence. The PLC inquiry, focused on supporting students' construction of evidence-based explanations and collaboration in scientific modeling, seemed to promote the shifts observed in Teacher E's understanding and facilitation of scientific modeling. These findings can inform educational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ho aim to promot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to support students' epistemic practi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35
no.4
/
pp.573-584
/
2015
Inquiry has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in science education as a crucial element for learning. Although many researchers came to agree on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inquiry, authentic inquiry activities are hard to be actualized in an educational contex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ritically examine what teachers have difficulty in teaching inquiry. In this article, we looked into inquiry-based science activities in a small group setting wher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aced dilemmas between cognition and practice of inquiry.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eight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The participants attended a weekly science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low SES as teaching assistants and mentors, and took full care of his/her mentees during open-inquiry activities. The results were drawn by analyzing participants' personal and group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self-reports, and others. The pre-service teachers viewed the knowledge and procedure of science as an essential factor in inquiry activities along with student's spontaneous attitude. However,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inquiry, they faced several dilemmas between ideal cognition and real activities. The aspects of dilemmas could be summarized in three pairs of opposing concepts: 'diverging inquiry or converging science', 'interest-centered inquiry or learning-centered inquiry', and 'student as the subject or student with the insufficient expertise.' We discussed ways of resolving dilemmas and alternative perspectives on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41
no.2
/
pp.93-102
/
2021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inquiry problems set by high school students who observed an 'unexpected phenomenon' and identified the effects of providing scientific information on setting inquiry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6 eleventh grade students in Seoul that were randomly assigned to group A (N=66) and group B (N=60). In the study, watching a video of about 45 seconds of the unexpected phenomenon repeatedly for 20 minutes, all the students freely wrote inquiry problems that they wanted to carry out in their handouts. At this time, it is characterized that only the handout of group B additionally included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unexpected phenomenon.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regardless of group, set more 'curiosity-oriented inquiry problems (i.e., focusing on inquiries they want to do rather than revealing what might be the cause of the phenomenon)' rather than going into a 'cause-oriented inquiry problem solving (i.e., revealing the cause of the phenomenon).' Among the curiosity-oriented inquiry problems, most of them were 'new-result inquiry problems (i.e., investigating what new results will occur by simply manipulating experimental situations).'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who were provided with the scientific information tended to set significantly more inquiry problems using the provided information than those who were not (χ2(1)=8.996, p<.01), nevertheless the students with the scientific information did not set significantly more cause-oriented inquiry problems (χ2(1)=1.376, p>.05). The findings have been discussed from the four perspectives (i.e., lack of provided information, lack of opportunities to internalize the provided information, personal curiosity-seeking, and intuitive thinking), and implications for inquiry problem setting were suggested.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