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성

Search Result 35,091, Processing Time 0.064 seconds

Korean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Inquiry using VASI-E Questionnaire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이해 -VASI-E를 바탕으로-)

  • Yoo, Hye-jin;Park, Jisun;Lederman, Judith S.;Lederman, Norman G.;Bartels, Selina;Jimenez, Ju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1 no.2
    • /
    • pp.83-9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about scientific inquiry. Data were collected from 119 elementary students who are in the 4th grade using the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questionnaire for elementary students (VASI-E). We also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21 students from 119 students who responded to VASI-E.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as naive, mixed, or informed views on each aspect of scientific inquiry that VASI-E includes. We found that, first, 53.8% of students have mixed views, and 30.3% of students have informed views, and 16% of students have naive views on the knowledge 'investigation begin with a question'. Second, 54.6% of students have naive views, 37.8% of students have mixed views, and 7.6% of students have informed views on the knowledge 'scientists use many methods to answer their questions.' Third, 47.9% of students have informed views, 34.5% of students have naive views, and 17.6% of students have mixed views on 'procedures guided by question asked.' Fourth, 55.5% of students have mixed views, 42% of students have informed views, and only 2.5% of students have naive views on 'conclusions must be consistent with data and explanations come from data and prior knowledg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tific inquiry at elementary level in Korea were discussed.

Theoretical Review on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utonomous Inquiries for the Gifted in Science Education (과학영재 교육에서 자율탐구활동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 Lee, Hyonyong;Cho, Hyunju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2 no.2
    • /
    • pp.33-50
    • /
    • 200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 programs for those gifted students in science education. The authors suggest the importance of autonomous inquiries amongst various activities for those gifted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we identified the meaning of autonomous inquiry by comparison with the open inquiry and presented the importance of the autonomous inquiries with the aim of the gifted in science education. From this, w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program development to cultivate the gifted adolescents' independence, creativity, and autonomy beyond previous programs.

  • PDF

Effect of the Physical Science Activity based on the Constructivism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Scientific Attitudes and Cognitive Self-esteem (구성주의에 기초한 물리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및 인지적 자아에 미치는 효과)

  • Kim, Hi-Jung;Kim, Se-Ru;Youn, Soo-In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7 no.3
    • /
    • pp.165-187
    • /
    • 2011
  •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physical science activity based on the constructivism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cognitive self-esteem. The subjects consisted of 20 five-years-ol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nd 20 children of control group.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he physical science activity based on the constructivism for total six weeks. As a result of study, children who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result in the scientific process skill, scientific attitude, cognitive self-esteem.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indicate that we need to actively develop programs to increase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cognition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through teacher's education.

A Study on NTIS Services for Efficient National R&D Management (효율적 연구관리를 위한 NTIS 서비스 분석)

  • Choi, Heeseok;Jung, Ocknam;Han, Heejun;Kim, Yunjeong;Kim, Jaesoo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3.05a
    • /
    • pp.976-978
    • /
    • 2013
  • 최근 국가R&D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연구관리 강화를 위한 노력들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는 R&D 효율성 강화를 위한 국가R&D정보 지식 포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NTIS와 일본 문부과학성이 운영하는 부처공동연구개발관리시스템(e-Rad)을 연구관리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고, 특히 연구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관점에서의 연구관리 효율화를 위해 범부처적으로 공동활용이 가능한 서비스 요소들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NTIS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분석한다.

과학에세이-이젠 안전성 공학 도입할 때다

  • Kim, Jeong-Heum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8 s.315
    • /
    • pp.68-69
    • /
    • 1995
  • 붕괴위험이 깔린 아파트에서 사는 것은 미필적 고의에 의한 자살기도가 아닌가. 고층건물 비상계단, 자동차 스페어타이어, 기념사진 두번찍기, 정ㆍ부통령 한 비행기 안타기 등은 안전을 위한 중복성 공학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삼풍 참사를 보면서 안전의 중요성을 깨닫고 중복성 공학의 도입이 절실하다는 것을 느꼈다.

  • PDF

An Informetric Study on the Interdisciplinarity of Social Science (사회과학 분야의 학제성에 관한 계량정보학적 연구)

  • Min Ki-Eun;Chung Young-M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6.08a
    • /
    • pp.121-126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 자원을 통해 사회과학 분야의 학제성을 측정하고 그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세 가지 계량정보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세계적인 사회과학 정보 게이트웨이인 SOSIG의 Grapevine 자료를 통해 사회과학 내 학문분야 간 학제성을 측정하였고, 관련 학자들의 홈페이지 동시링크와 미국 상위 관련 학과 홈페이지의 동시링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business, education, philosophy 등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학제성이 나타났으나, 심리학 등 사회과학의 몇몇 분야의 학제성은 예상 외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학영재와 인문영재의 영재성 타당화 연구

  • 심재영;김언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05a
    • /
    • pp.91-108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암묵적 방법에 의해 도출된 영재성과 명시적 이론간에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둘째, 과학 분야와 인문 분야에는 어떤 영재성 요인들이 있는가\ulcorner 셋째, 분야별로 영재성의 요인구조 어떤 차이가 있는가\ulcorner 연구의 방법은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첫 단계는 과학자, 학부모, 교사, 대학생을 대상으로 암묵적 이론 접근으로 영재 의미를 구명하였다. 연구의 두 번째 단계는 자연계 영재 집단 469명, 인문계 영재집단 285명에 대하여, 암묵적 이론 접근에 의해 밝혀진 영재의 특징들은 과학영재와 인문영재를 구분하는 준거가 되는지의 여부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세 번째 단계는 검증된 자료를 가지고 인문계 영재 집단과 자연계 영재 집단 간의 영재성 요인 구조상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