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과 선택과목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7th Elective-Centered Curriculum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 Kook, Dong-Sik;Lee, Sang-Gi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8
    • /
    • pp.771-77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status of the 7th elective-centered curriculum and find problems in operating the system. 485 students in the tenth and eleventh grade were randomly selected as sub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the students, 29% of them selected their science subject without considering their future jobs, 48% did it without enough overview of the system, and 25% did without clearly understanding the details the choice centered curriculum. (2) Amo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65% of them showed positive responses concerning the needs of individual choice centered curriculum and 96% said it increased their participation in class. However, only 39% believed that operating this type of curriculum is realistically possible. (3) 89% of students selected their science subjects accordingly with the college preparatory courses and 14% selected based on their hopes. (4) The percentage of science subjects chosen are 40% for chemistry, 25% for biology, 22% for Physics, and 13% for earth science, but 74% of students wanted to change their choices. Thes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recognized the object of the 7th curriculum, but selected science subjects as a means of getting into college entrances, rather than carefully considering their future and aptitude.

Analysis of Science Items of the Japanese National Center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s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이과 문항 분석)

  • Kim, Hyun-Kyung;Kim, Dong-Young;Choi, Hyuk-Joon;Ku, Ja-Ok;Dong, Hyo-Kwan;Shin, Il-Yong;Lee, Yang-R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0 no.4
    • /
    • pp.452-471
    • /
    • 2010
  • As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has been implemented for 17 years since 1994,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difficult to make new items that haven't been previously used to measure students' thinking 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eep conducting research on making new test items that can measure students' scholastic ability reliably. For this reason, multiple choice items on the Japanese university entrance exam, which is a Japanese National Center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s (NCTUA) equivalent of CSAT, were analyzed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CSAT item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Japanese NCTUA administered in January 2009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its science test. We also analyzed the NCTUA items by the domains of contents and behaviors, and tried to predict item difficulty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applicant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Most NCTUA items measure understanding knowledge or low level thinking ability. Also the alloted time for each item is longer than CSAT. The number of test items, and the number of choice and alloted points for each item are diverse, unlike CSAT. The number of items using real-life materials are much more, but the items are not rigorous in sentence expression compared to CSAT. And the difference of difficulty level among science tests were larger with reference to CSAT. Also science score is required for most applicants regardless whether they are taking liberal arts or going onto the science track.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반응분석

  • 문경근;박일영;박수경;정권순;추봉욱;곽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5-166
    • /
    • 2003
  •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PDF

Factors Affecting Science Track Choi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한국 인문계 고교생들의 진로결정 요인)

  • Myeong, Jeon-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6 no.2
    • /
    • pp.63-72
    • /
    • 1986
  • 과학교육은 학생들이 장차 과학 기술분야의 직업을 추구하도록 하는 것을 그 중요한 결실의 하나로 잡고 있다. 현재 한국은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교육의 주요목표의 하나로 삼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보다 많은 영재를 과학 기술분야로 유치하려고 여러 가지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도 결국은 학생이 과학 기술분야로 모여들지 않으면 그 효과가 없게 된다. 그런 점에서 학생들이 어떤 이유로 과학 기술분야를 선택하는지 혹은 기피하는지 그 원인을 아는 것을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과학 및 기술분야의 직업을 갖게 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고교생의 문 이과반 선택에 있어 그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제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있다. 연구대상은 대구시내외 남 녀 고교 1학년생 109명(문과 56명, 이과 53명)이었으며 조사방법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는 학생들의 문 이과반 선택에는 장래직업, 대학전공, 적성, 학과목에 대한 능력, 흥미 선호도, 가족 및 주위의 권유 등이 주요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중 문과를 지원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자신의 적성 이과과목에 대한 능력부족 인식, 내신 및 학력고사에서의 성적취득용이성 등 주로 자신의 내적 동기와 관련된 요인들을 들고 있는데 비해, 이과를 지원한 학생들은 밝은 직업전망, 가족 및 주위의 권유 등 외적인 동기도 큰 작용을 하고 있음을 보여 대조를 이루고 있다. 또 문과를 지원한 학생은 이과가 공부하기가 어렵고 성적을 올리기도 힘들어 이과를 기피한 경향을 보이는데 반해 이과 지원자는 문과를 기피하여 이과로 왔다는 응답은 별로 없는 점이 대조를 보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가 던져주는 시사점과 과학교육의 개선책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면서 결론을 맺고 있다.

  • PDF

Research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Chemistry Concept and Analysis of Incorrect Responses: Focus on Middle School Curriculum (예비 과학교사의 화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 조사와 오답 반응 분석: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Lee, Hyun-Jeong;Choi, Won-Ho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5 no.6
    • /
    • pp.1030-1041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 about the chemistry concept of middle school curriculum using some items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analyzed the result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 The result was that there were som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select incorrect answer at all item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on'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needed to solve item.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at some items was low regardless of selection of chemistry as an elective subject at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e found some facts through the depth interviews to find the cause of the result. First, the misconception acquired in middle school days is tend not to change until college student. Second, the formation of misconception is affected by the study habit with which solve problem by simple calculation and memory without essential understanding. Third, the study habit with which solve problem by simple calculation and memory without essential understanding could not replace misconceptions acquired in middle school days with scientific concept regardless of selection of chemistry as an elective subject at CSAT.

Analy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of SW Universities (SW중심대학의 인공지능 교육과정 현황분석)

  • Woo, HoSung;Lee, HyunJeong;Kim, JaMee;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3 no.2
    • /
    • pp.13-20
    • /
    • 2020
  • The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is due to an increase in influence on companies, organizations, daily lives an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ey elements in the teaching subj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subjects of Korean universities based on the intelligent system area of Computer Science 2013 in term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are five out of nine universities that run the required courses. Based on the 12 detailed knowledge domains of intelligent systems, the compulsory subjects of universities are distributed in the field of basic search theory, basic knowledge expression and reasoning, and inference based on uncertainty. The elective courses of each university covered topics in five to eight areas of the total knowledge area of the intelligent system, with 69.9 percent of universities with the highest average ratio of areas involving the subject of teaching subjects and 46.3 percent of universities with the lowest.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fact that prior to enter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graduate school, we were able to grasp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at the undergraduate level.

국가적 수준의 치과의사 역량을 위한 치과마취과학의 교육역량과 치과의사국가고시 제고

  • Kim, Seung-Oh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
    • v.12 no.1
    • /
    • pp.1-9
    • /
    • 2012
  • 치과마취학의 교육목표는 치과치료 시 적절한 환자평가와 함께 동통 및 불안을 관리하기 위한 약품선택과 치과치료를 위한 흡입법과 정맥주사를 이용한 의식하진정법과 언제, 어떻게, 어디로 전신마취를 의뢰하는지를 알아야 할 사항과 특히 의학적 병력을 가진 환자와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소아 노인 장애인의 전반적 이해와 치료 전 전신적 환자평가를 할 수 있는 능력과 치과진료 중 일어날 수 있는 의료적 응급 상황과 치과응급상황을 식별하고 인공소생술을 포함한 치과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학적 응급상황들에 적절한 관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치의학교육의 최소한의 질 보장을 위한 국가적 수준의 치과의사 역량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치의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치과대학(원)의 변화를 자극하고, 치과의료와 의료인력의 질적 증진 및 치과의료행위의 최소수준을 보장하는데 있다. 하지만 현행 국가고시에 있어 치과마취과학은 구강외과 과목에 포함되어 위 기술한 치과마취과학의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국가수준의 치의학교육의 질에 대해 제고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변화와 개선에 적용하고 국시원의 새로운 과목의 도입과 실기시험을 통하여 치과마취과학의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University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Efficient Method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7th Curriculum Generation (대학수학교육의 현황과 7차교육과정세대의 효율적인 수학교육방안)

  • Kim, Kwang-Hwan;Kim, Byung-Hak;Kim, Kyung-Suk;Park, Eun-Ah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3 no.2
    • /
    • pp.255-277
    • /
    • 2009
  • Currently Science and technology are changing so fast these days, educating competent and creative person, majoring in natural sciences, including mathematic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But, in Korea, there are many problems in high school and university education program, so performance level in mathematics is decreasing and avoiding mathematics and natural sciences is increasing. Naturally the numbers of science oritented students in high school are decreasing and ability in mathematics, in particular calculus, is decreasing. Hence, the above situation leads to a reduction of scientific manpower. In this point of a view, we analyse the situation of the downturn of the ability of the science, especially calculus, among engineering majored freshmen. We also study many data reported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Korea and scholar societies. From this study we conclude that the essential rerasons for the above situations are curriculum and the system of the entrance examination of the university, and we give suggestions for solutions of such a situation.

  • PDF

The Needs of Housing Contents in Highschool Home Economics among Students (고등학생의 '가정과학' 주생활 단원 내용 요구도)

  • Kim, Lan;Cho, Jea-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0 no.3
    • /
    • pp.145-16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needs of housing contents in highschool Home Economics among students. The 105 housing contents and topics were chosen from the 3 textbooks and related references. The number of 516 questionnaire from 8 areas were used to analyze. Analyses indicated that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favor Home Economics subject and one out of five wanted to select it. Average needs of the housing contents was above middle(3.4) and these was a little difference among 3 middle units in housing. The most needed unit was housing design. There was a more wide difference in 19 small units than in middle ones, ranged $3.00\sim3.91$. Individual contents showed the most variousness in needs from 2.89 to 4.30 in the middle unit of housing and environments, 3.00 to 4.01 in housing design, and 2.68 to 3.91 in housing management. The needs of additional contents were about the same as those textbook contents and it indicated that new textbook needs to adopt the newly demanded housing contents. Some of individual, famil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udents needs. The higher positive attitude such as favor, interest, and selecting of the subject was related to the higher needs of housing contents. Residential areas and neighboring were also related to most of the needs of individual housing contents.

  • PDF

Design of Cyber World Tour System by VRML & XML (VRML과 XML을 이용한 가상 세계여행 시스템의 설계)

  • 이강현;오영갑;최성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280-284
    • /
    • 2000
  • 최근에 많이 소개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학습의 대부분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고 이미지를 삽입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방식은 인문, 사회분야의 과목에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화학, 물리 등의 자연과학 과목에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제는 통신의 발달로 인해 네트워크 사용이 생활화됨으로써 더 이상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이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나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같은 인터넷 브라우저상에서 3차원 오브젝트만을 보여주는 시기는 지났다. 가상 세계여행 시스템은 최근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인터넷과 인터넷 응용기술인 VRML, XML(extensible Makeup Language)을 이용하여 아직까지 사진이나 영상으로만 볼 수 있었던 세계의 도시, 건축물에 대한 정보를 3차원으로 구성된 세계여행을 통해 현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시스템의 특징은 세계의 대도시 및 유명 건축물을 VRML과 XML을 이용하여 가상으로 구성하고, 사용자는 프로그램 내에서 자신이 선택한 아바타를 조종하여 그 도시들을 여행함으로써 가상 공간 내에서 세계여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여행중인 다른 아바타와의 채팅이 가능하고 도우미 아바타에게 궁금한 점을 질문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