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업매체 적합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3초

SNS의 주관적 규범과 과업매체적합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컨설팅활용을 매개효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ubjective Norm and Task Media Fit of utilizing of Use intention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nsulting Application)

  • 조영준;이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147-15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SNS의 컨설팅 활용과 주관적 규범, 과업매체 적합 요인들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특히 주관적 규범과 과업매체 적합 각 차원들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컨설팅 활용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실증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SNS의 주관적 규범, 과업매체 적합과 컨설팅 활용이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컨설팅 활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주관적 규범과 과업매체 적합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인이나 기업들의 SNS의 컨설팅 활용이 주관적 규범과 과업매체 적합에 영향을 미침을 인지하여 SNS를 통해 업무적으로 도움이 되는 대응전략 시사점을 제공한다.

과업수행을 위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활용에 대한 연구: 과업-매체적합성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Use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for Tasks :Focus on the Task-Media Fit)

  • 박경자;박승준;장희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577-586
    • /
    • 2014
  • SNS가 사회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기업들도 SNS의 신속성, 공유성, 상호작용성 등에 관심을 갖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도 SNS의 업무적 활용에 초점을 두고 과업 지원도구인 SNS와 과업과의 적합성, 사용자특성 그리고 성과와의 관계를 실증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과업-기술적합모형을 토대로 사회적 요소, 정보기술로서 SNS의 특성 그리고 사용자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과업-매체 적합성에 직무특성, 가상능숙도, 매체특성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를 가지며, SNS이용에는 가상능숙도와 SNS 특성 변수가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또한 과업-매체 적합성은 SNS이용과 업무성과에, SNS이용은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SNS의 전략적 활용은 업무성과 향상에 도움이 되며, SNS활용 전략 수립시에 개인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고객센터의 과업-매체적합과 사용자 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ask-Media Fit and User Satisfaction on the Customer Contact Center)

  • 유일;김재전;신선진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5권4호
    • /
    • pp.61-87
    • /
    • 2005
  • This paper has two primary objectives: (1) to propose a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 that incorporates valuable insights from two complementary streams of research, and (2) to empirically test the model that explain the task-media fit and satisfaction of customer contact center users. The comprehensive model was tested using LISREL analysis on the sample of 232 users who have experience with the customer contact center. The model was supported in customer contact center context, accounting for 29% of the variance in the task-media fit, 53% of the variance in the perceived ease of use, 61% of the variance i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52% of the variance in the user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ask-media fit,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fluencing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customer contact center. In addition, task analyzability, media richness, media interactivity,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influence the task-media fit. The paper concludes with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