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시적 소비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7초

남녀 중학생의 과시소비경향에 관한 연구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이은정;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67-17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남녀 중학생의 과시소비성향 수준을 알아보고 과시소비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검증하여 청소년의 소비생활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건전한 청소년 소비문화의 형성을 위한 청소년 소비자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 5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중학생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과시소비성향의 하위영역인 지위인식적 과시소비성향, 브랜드지향적 과시소비성향, 수입품지향적 과시소비성향도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나 유행지향적 과시소비성향은 약간 높았다. 둘째,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의 과시소비성향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또래집단과 대중스타, 자아존중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소비자는 또래집단과 대중스타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높았다.

  • PDF

자의식과 물질주의가 미국 여대생의 충동구매와 과시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nd Materialism on Compulsive Buying and Conspicuous Consumption of American Female College Students)

  • 박민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05-71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여대생의 자의식, 물질주의성향, 충동구매와 과시적 소비성향간의 관계에 관하여 조사하는데 있다. 상징적 자기완성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가설을 설계하였으며, 설문지 조사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편의표본추출법을 적용하여 미국 중서부지역의 한 대학교의 여대생 31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96명의 응답을 연구결과분석에 이용하였다. Stepwise 회귀분석을 통한 분석 결과 공적 자의식은 물질주의성향과 충동구매성향 및 과시소비성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적 자의식은 과시소비성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순회귀분석을 통한 분석 결과 물질주의성향과 충동구매성향 및 과시적 소비 성향 간에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의식, 물질주의성향, 충동구매와 과시소비 성향간의 관계 메커니즘을 증명해 보임으로써, 사회 심리학적 소비자 행동연구에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미국 여대생을 표적 시장으로 하는 기업이 표적소비자의 소비행동과 심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스타그램과 현실공간에서의 과시소비행동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onspicuous consumption behavior upon instagram and real life)

  • 이수진;김난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205-220
    • /
    • 2020
  • 본 연구는 오랜기간 동안 연구돼 온 현실공간에서의 과시소비행동과 이미지 및 영상 기반의 SNS인 인스타그램에서의 과시소비행동 간에 차이를 비교하여, 변화된 과시소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인스타그램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만 20세~59세의 2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술통계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스타그램에서의 과시소비행동과 현실공간에서의 과시소비행동의 소비품목, 지출액 그리고 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에는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시소비행동 이후, 인스타그램에서든 현실공간에서든 소비자들은 긍정적 감정이 소비자행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현실공간에 국한되어 있던 과시소비행동을 인스타그램이라는 새로운 환경적 요소를 반영하여 그 변화를 탐구한 점과 과시소비행동이 소비자 감정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과시소비행동의 연구범위를 확대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성향과 인상관리 수준에 따른 쾌락재와 실용재의 선택: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opensity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mpression management on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Focusing on Kakao Talk mobile gift-giving)

  • 김하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117-125
    • /
    • 2022
  • 본 연구는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성향과 인상관리 수준이 모바일 선물하기에서 쾌락재와 실용재 간의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써 모바일 메신저 선물하기에서 제품 마케팅에 대한 전략적 제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3.0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인상관리 수준에 관계없이 모바일 선물에서 실용재보다 쾌락재를 더 많이 선택하였다. 한편 과시적 소비를 하지 않는 사람들은 인상관리 수준이 낮을 때에는 모바일 선물에서 쾌락재보다 실용재를 더 선택한 반면 인상관리 수준이 높을 때에는 실용재와 쾌락재 간 선택에 차이가 없었다. 모바일 선물 제품, 특히 쾌락재 마케팅에서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성향과 인상관리를 고려한 전략을 이용하는 것은 도움이 될 것이다. 광고는 소비자의 인정 욕구나 과시 욕구를 이용하여 소구할 수 있다. 나아가, 연령대를 확장하고 선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추후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고객의 과시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The Impact of Factors on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 변현수
    • 서비스연구
    • /
    • 제6권2호
    • /
    • pp.201-2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객이 인지하는 제품 및 서비스의 고급스러움이 고객의 과시소비 성향과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고객은 보다 고급화된 가치, 이른바 럭셔리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럭셔리 가치를 크게 재무적, 기능적, 사회적, 개인적 가치로 구분하고 럭셔리 가치가 고객의 과시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필요한 통계처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럭셔리 가치 요인인 재무적, 기능적, 사회적, 개인적 가치가 고객의 과시소비 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의 과시소비 성향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적 가치의 경우 다른 가치에 비해 보다 많이 과시소비 성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고객은 자신이 필요한 경우 과시소비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타인의 과시소비가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권력거리신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Perceived Conspicuous Consumption and Brand Evaluation: Mediation Effect of Power Distance Belief)

  • 엄금철;김영길;김수욱
    • 서비스연구
    • /
    • 제7권4호
    • /
    • pp.1-14
    • /
    • 2017
  • 과시소비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소비자가 지각한 타인의 과시소비의 부정적인 감정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과시 소비가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개의 실험을 통하여, 지각한 과시 소비는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타인의 과시 소비는 임시적으로 소비자의 권력거리신념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은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브랜드평가에 영향을 미친다. 즉 소비자의 권력거리신념은 타인의 과시소비와 브랜드평가의 관계를 매개한다. 개인 수준의 집단 규범은 타인의 과시 소비와 브랜드 평가에 대한 조절효과를 밝히지 못했지만, 국가차원의 집단규범은 타인의 과시소비와 브랜드평가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주거용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에 관한 연구: 과시소비성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Veblen Effect according to Residence Estate: Focused on Conspicuous Consumption)

  • 장서윤;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107-119
    • /
    • 2015
  • 최근 부유층 주거지에 특정 목적에 의한 중 저소득층이 진입, 준거집단에 합류하며 과시효과를 누리고 싶어 한다. 이 현상으로 주거용부동산에 대해 유한계급층이 아닌 일반 소비자들의 과시효과에 대한 욕구를 유추할 수 있다. 과시소비를 함으로써 고가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준거집단에 속한다는 우월함과 고가를 지불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부를 전시하는 효과를 얻는다고 볼 때 자신의 사회경제적 능력을 보이기 위한 과시적 소비성향은 주거용부동산에도 영향을 미치리라고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심리적 특성, 주거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베블런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PLS 경로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차가거주자가 자가거주자에 비해 과시소비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면민감성은 자아존중감과 주거유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과시소비성향으로 이어진다. 또한 거주면적이 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