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불화 화합물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의 조리 식품 중 과불화화합물의 잔류 수준 (Levels of perfluorinated compounds in prepared foods in Korea)

  • 신재호;고영림;박나연;방선아;임초롱;김판기;김정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55-559
    • /
    • 2016
  • 국내에서 유통되는 조리식품 6종류, 151점의 시료를 수집하여 LC-MS/MS를 이용해 PFCs 잔류 수준을 측정하였다. 총 12종의 PFCs를 분석하였으며, PFBS를 제외한 PFCs의 회수율은 82.2-119.4%였으며, 정밀도는 2.2-28.9%였다. PFCs물질별로는 PFPeA (84.1%)와 PFOA (82.8%) 검출률이 높았고, PFOS의 검출률은 29.1%였으며, 대부분의 시료에서 PFOA가 PFOS보다 잔류 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시료의 총 PFCs의 평균 농도는 $1.68{\pm}1.79ng/g$이었으며, PFPeA와 PFOA의 비중이 높았다.

가평 현등사 수월관음도의 안료분석 및 보존방법 (Pigment Analysis and Conservation Method of Avalokitesvara in Potalaka of Hyeondeungsa, Gapyeong)

  • 서정호;차병갑;정희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3-229
    • /
    • 2011
  • 불화 문화재는 재료의 특성과 환경적 요인에 의한 색의 변화와 박락현상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안료 표면에 발생하는 미세한 균열과 탈색 현상의 시작은 곧바로 유물 전체의 안정성이 현저히 급감하는 것으로서, 각별한 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가평 현등사 수월관음도(경기도무형문화재 제198호)의 보존처리에 관한 것이며 유물 손상 부위를 보존처리하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배접과 색맞춤을 실시하고, 안료의 과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XRF, 영상 현미경, FT-IR(자외선 분광 분석법)를 통한 비파괴 분석을 실시하여 유물에 사용한 한지의 재질과 안료의 성분 및 그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등사 수월관음도의 한지에서는 우리나라 전통 한지와 일치하는 FT-IR 스펙트럼이 검출되었고, 백색 안료위에 엷은 층을 이루고 있는 흑색 안료는 XRF와 FT-IR로 확인되지 않는 먹이나 그을음 등의 탄소화합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백색 안료는 Pb와 탄산염을 포함하는 연백($PbCO_3{\cdot}Pb(OH)_2$)이며, 현미경 관찰을 통해 청색 안료의 결정 상태를 확인한 결과 크고 작은 입자 분포를 보였다. XRF 분석 값은 Cu와 Pb 모두 높게 검출된 것으로 보아 청색의 경우 석청과 연백이 혼합되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과불화화합물 구조적 속성에 따른 흡착 특성 연구 (Study on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Perfluorinated Compounds(PFCs) with Structural Properties)

  • 최효정;김덕현;윤종현;권종범;김문수;김현구;신선경;박선화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5호
    • /
    • pp.20-28
    • /
    • 2021
  • Perfluorinated compounds(PFCs), an emerging environmental pollutant, are environmentally persistent and bioaccumulative organic compounds that possess a toxic impact on human health and ecosystems. PFCs are distributed widely in environment media including groundwater, surface water, soil and sediment. PFCs in contaminated solid can potentially leach into groundwater. Therefore, understanding PFCs partitioning between the aqueous phase and solid phase is important for the determination of their fate and transport in the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sorption equilibrium batch and kinetic experiment of PFCs were carried out to estimated the sorption coefficient(Kd) and the fraction between aqueous-solid phase partition, respectively. Sorption branches of the PFDA(Perfluoro-n-decanoic acid), PFNA(Perfluoro-n-nonanoic acid), PFOA(Perfluoro-n-octanoic acid), PFOS(Perfluoro-1-octane sulfonic acid) and PFHxS(Perfluoro-1-hexane sulfonic acid) isotherms were nearly linear, and the estimated Kd was as follow: PFDA(1.50) > PFOS(1.49) > PFNA(0.81) > PFHxS(0.45) > PFOA(0.39). The sorption kinetics of PFDA, PFNA, PFOA, PFOS and PFHxS onto soil were described by a biexponential adsorption model, suggesting that a fast transport into the surface layer of soil, followed by two-step diffusion transport into the internal water and/or organic matter of soil. Shorter times(<20hr) were required to achieve equilibrium and fraction for adsorption on solid(F1, F2) increased with perfluorinated carbon chain length and sulfonate compounds in this study. Overall, our results suggested that not only the perfluorocarbon chain length, but also the terminal functional groups are important contributors to electrostatic and hydrophobic interactions between PFCs and soils, and organic matter in soils significantly affects adsorption maximum capacity than kinetic rate.

Daphnia magna를 이용한 과불화화합물의 독성평가 (Toxicity Evaluation of Perfluorinated Compounds Using Daphnia magna)

  • 김경태;조재구;윤준헌;이철우;최경희;김현미;류지성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2호
    • /
    • pp.153-159
    • /
    • 2010
  • Perfluorooctane sulfonic acid (PFOS) and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re the principal chemicals known as perfluoroalkyl acids (PFAs). Despite the widespread use of these compounds,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ir fate and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oxic effects of PFOS and PFOA on Daphnia magna. In the acute toxicity test, D. magna were exposed for 48 hours at concentrations of 0, 30, 45, 67.5, 101.25 and 151.88 mg/L PFOS, and 0, 100, 160, 225, 337.5 and 506.25 mg/L PFOA, respectively. In the case of chronic toxicity test, D. magna were exposed through water for 21 days at concentrations of 0, 0.375, 0.75, 1.5, 3 and 6 mg/L PFOS, and 0, 1.25, 2.5, 5, 10 and 20 mg/L PFOA, respectively. Acute toxicity was assessed on the basis of immobility, while chronic toxicity was assessed on the basis of fecundity. The acute toxicity test on PFOS and PFOA showed that the values of $EC_{50}$ were 50.90 mg/L and 253.47 mg/L, respectively. In the chronic test, fecundity was reduced significantly at 1.5 mg/L of PFOS and 10 mg/L of PFOA,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FOS is more toxic to zooplankton than PFOA, and both chemicals have some hazard demonstrates risk for acute or chronic toxicity to freshwater organism.

유수식 연속노출장비를 이용한 과불화화합물(PFOS, PFOA)이 송사리 (Oryzias latipes) 알의 초기발생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Toxicity of PFCs in Embryos of the Oryzias latipes Using Flow though Exposure System)

  • 조재구;김경태;류태권;박유리;윤준헌;이철우;김현미;최경희;정기은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2호
    • /
    • pp.145-151
    • /
    • 2010
  • Perfluorinated chemicals (PFCs) is a kind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and have the potential toxicity of which is causing great concern. In this study, we employed Oryzias latipes embryo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toxicity of perfluorooctane sulfonate (PFOS) and perfluorooctanoic acid (PFOA)s compound using flowthrow system for 14 day. O. latipes embryos were exposed to solvent control, 20, 40 and 80 mg/L of PFOS and 62.5, 130, 260 mg/L of PFOA respectively. After exposure, hatchability, mortality, total length and heart beats were examined. Hatching rates were reduced approximately 27% in the 80 mg/L PFOS-treated group and 17% in the 62.5, 130 mg/L PFOA-treated groups. Heart beats in the PFOS-treated groups were reduced at 7 day but, PFOA-treated groups were increased heart beats. 80 mg/L PFOS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growth (total length) level to 90% of control. But PFOA did not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In the 14 days $LC_{50}$ of PFOS and PFOA was 22.74 mg/L and 173 mg/L, respectively. The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the early stage of O. latipes might be a reliable model for the testing of developmental toxicity to perfluorinated chemicals.

서울시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한강 내 PFOA와 PFOS의 과불화화합물 모니터링 연구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PFOA and PFOS in the Effluent of Sewage Treatment Plants and in Han River)

  • 신미연;임종권;고영림;최경식;조경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4-342
    • /
    • 2009
  •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have a wide range of domestic and industrial applications, but they are persistent in the environment.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d perfluorooctanesulfonate (PFOS) are among the metabolites of PFCs and occur at high concentration in the environment. Korea is the largest importer of PFC compounds in the world, therefore, the accumulation of these compounds is possible.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PFOS and PFOA were determined in water samples taken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STPs) and the Han River in Seoul, Korea. After extraction with a HLB cartridge, PFCs in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HPLC with an ion trap mass spectrometry in electrospray negative mode. Limits of detection was between 1 and 1.6 ng/l.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PFOS and PFOA in effluent and influent of the four STPs in Seoul were 60~570 ng/l, and not detected (nd)~254 ng/l, respectively. The levels of PFOS and PFOA were higher in the effluents which passed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than in influent water samples which was against expectation. The concentration of PFOA and PFOS in the Han River was 60~570 ng/l and nd~254 ng/l, respectively. PFOA was detected in every sample, but PFOS was only detected in the downstreams of the Han Riv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comprehensive contamination of PFCs in the aquatic environment in Korea.

굴포천에 서식하는 어류체내 과불화화합물 농축특성 (Bioconcentration of Perfluorinated Compounds in Fish from Gulpo Stream)

  • 조천래;조재구;엄익춘;이병천;김수진;최경희;윤준헌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3호
    • /
    • pp.229-240
    • /
    • 2010
  • During the last decade,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have gained more attention due to their toxicity and global distribu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bioaccumulation of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in aquatic wildlife effected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The concentrations of 12 PFCs were determined in water, sediment and fish samples. PFOS were predominantly detected in both ambient environment and fish. In fish, the concentration of PFCs in blood was the highest (i.e., 112.47 ng/mL wet-wt. PFOS) in comparison to other tissues. However, PFOA and PFHpS were highly detected in gonad as 3.87 and 4.58 ng/g wet-wt., respectively. The bioconcentration factor (BCF) of PFCs was greatest in the blood > liver${\cong}$gonad > kidney > gill, and lowest in the muscle tissue. The BCFs of PFUnDA (39,000), PFDA (2,700) and PFOS (1,100) were rated as high values based on wet weight concentration. BCF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perfluoralkyl chain.

용수불능 재난상태에 따른 취수장 용수배분 시나리오 연구 (A study on the water distribution scenario for the water supply center according to the inability of water supply disaster)

  • 안승섭;임동희;이효진;박기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8-368
    • /
    • 2019
  • 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재난의 발생은 다양한 형태로 더욱 복잡하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들어 매년 발생하는 가뭄과 기후적 특성으로 인한 유량의 변동성으로 인해 수질오염이 심해지기를 반복하고 있다. 특히, 산업단지나 화재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수질오염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심한 경우 취수원의 취수중단과 같은 심각한 상황을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들어 심각한 가뭄과 폭염으로 인해 취수원의 수질이 악화되는 사고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과거 수질오염사고를 살펴보면 1991년에 낙동강에서 발생한 구미 두산전자의 페놀방류에 의한 사고로 18시간 동안 대구에 취수가 중단된 적이 있으며, 1994년 대구광역시 성서공단에서 배출된 유기용제에 의해 낙동강 수계 5개 정수장이 취수가 중단된 바도 있다. 또한 2008년 김천공단 (주)코오롱 유화에서 방류된 페놀에 의해 대구의 취수원 중 두류, 매곡취수장이 5시간동안 취수가 중단된바 있으며, 2009년 다이옥산 배출, 2015년 구미공단에서 불소, 암모니아성 질소, 1.4 다이옥산 배출사고, 2018년 과불화화합물에 낙동강 수질사고, 운문댐과 가창댐 유역의 가뭄으로 인한 취수정지 상태가 발생하는 등 대구광역시 시민들의 먹는 물에 대한 불안이 끊이지 않고 있다(Peacenews, 2018).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상수도시설이 재난상황 발생에 따라 취수가 중단되어 물을 생산하는 취수장이 불능상태가 되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각 정수장에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대응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대구시에서 운영하는 정수장은 총 5개이며, 전체 공급량의 60.5%를 낙동강을 수원으로 하는 매곡과 문산정수장에서 취수하고 있다. 가상의 재난상황 시나리오는 각각의 정수장이 재난발생에 따라 운영이 불가능한 경우인 Scenario 1(a)~(e)와 매곡과 문산정수장이 운영불가능한 경우인 Scenario 2를 가정하여 용수공급 대응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Scenario 1(a)~(e)에서는 매곡정수장이 운영이 불가능한 경우 대구광역시 전체의 용수공급 신뢰도 80.4%로 250 lpcd를 공급할 수 있으며, Scenario 2의 경우에는 낙동강 오염사고로 인해 매곡과 문산정수장이 운영이 불가능할 경우 60.4%의 신뢰도로 205 lpcd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수환경 유출 유해화학물질 추적을 위한 1차원 저장대모형 개발 (Development of 1D River Storage Model for Tracing of Hazardous Chemicals in the Water Environment)

  • 윤세훈;서일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89-89
    • /
    • 2019
  • 수환경으로 유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은 독성을 가지고 직접 유출되거나 다양한 매체와 반응하여 화재 및 폭발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실제로 낙동강 유역에서는 1991년 페놀 유출사고를 시작으로 2009년 구미공단 '1,4-다이옥산' 유출사고, 2014년 11월 경북 봉화군의 황산유출사고 등 크고 작은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작년 6월에는 대구와 부산의 수돗물에서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대규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신속한 오염물의 거동 예측이 가능한 추적모델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수환경으로 유출된 유해화학물질의 추적을 위한 1차원 저장대 모형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저장대 모형은 복잡한 하천 구조를 하천의 주 흐름이 존재하는 본류대와 하천 흐름이 정체되는 저장대, 그리고 하상구조로 단순화 하여 나타낸다. 본류대에서는 하천흐름에 의한 이송 및 횡방향 유속차로 발생하는 전단류에 의한 확산이 일어나며, 저장대와의 물질교환으로 발생하는 저장효과와, 하상구조와의 흡착 및 탈착, 그리고 생물화학적 반응 및 휘발이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본류대와 저장대간의 질량교환은 난류유속변동과 농도차에 의해서만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오염물질의 이송과 분산과정을 해석한다. 저장대에서는 이송 및 전단류에 의한 확산은 일어나지 않으며, 본류대와의 물질교환으로 발생하는 저장효과와 하상구조로의 흡착, 그리고 생물화학적 반응 및 휘발이 발생한다고 가정하며, 하상구조에서는 본류대 및 저장대와의 흡착 및 탈착만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저장대 모형의 해석을 위해서는 리치(Reach) 별로 본류대 분산계수($K_F$), 본류대 면적($A_F$), 저장대 면적($A_S$), 그리고 저장대 교환계수(${\alpha}$)의 네 가지 저장대 매개변수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저장대 모형은 흡탈착, 생물화학적 반응 및 휘발 과정을 모두 고려하여 유해화학물질의 확산 거동을 모의한다. 최적의 리치길이, 흡탈착, 반응 및 휘발 계수를 산정하여 모형의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오염물의 거동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Levels of Perfluorinated Compounds in Liquid Milk Products in Korea

  • Park, Na-youn;Kho, Younglim;Kim, Junghoa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0-315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유통되는 액상 유제품에 함유된 17종의 과불화화합물 (PFCs) 함량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수행되었다. 샘플을 액체-액체 추출을 통해 추출하고 LC-MS/MS로 정량 분석하였다. 시중에 유통중인 98개의 액상 유제품 샘플에서 PFCs의 모니터링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PFTeDA를 제외한 16종의 PFCs가 검출되었다. 총 PFCs의 함량은 0.9037 ng/mL로 액상 우유에서 가장 높았으며, PFPeA, PFDS, PFHxA도 액상우유에서 0.1 ng/mL 이상의 농도 수준을 보였다. 미국과 이탈리아에서 수행한 연구와 비교했을 때 PFOA와 PFOS의 잔류 패턴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도 수준은 0.1 ng/mL 미만이었다. 액상 유제품은 다양한 가공단계(살균, 혼합, 지방제거 등)를 거쳐 총 PFCs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여 지며, 특히 짧은 탄소 사슬을 가진 PFCs가 크게 감소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식품 안전에서 원료의 PFOS와 PFOA의 잔류정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