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배란처치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과배란 처치시 우세난포 조절에 의한 한우 수정란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II. 과배란 처치 시기에 따른 난소반응 (Superovulation response after follicular wave synchronization with follicular aspiration by ultrasonography in HanWoo II. Ovarian response following superovulation treatment at different day of estrus)

  • 이동원;이병천;황우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69-775
    • /
    • 2000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ovarian response following superovulation treatment at different day of diestrus. The criterion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ominant follicle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examination. Dominant follicle was puntured 48 hrs before the oneset of superovulation treatment by ultrasonography guided aspiration needle. Superovulation was induced by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FSH twice a day for 4 day in a decreasing regi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presence of dominont follicle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diameter of corpus luteum in HanWoo. Number of corpus luteum of donor after superovulation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FSH administration at day 9, 11 and day 13 of estrus($14.5{\pm}4.5$, $15.5{\pm}5.6$ and $11.0{\pm}5.5$, respectively). But, the diameter of CL was significantly correlate(R2 = 0.757) with progesterone levels on day of superovulatory induction. After 7 days of artificial insemination, the embryos at 7 days were collected by uterine flushing after dominant follicle aspiration and superovulation treatment, and evaluated their quality by morphological criteria. Fifty five embryos with excellent, good and fair grade were transferred into 24 recipient cows. Seventeen offsprings, 1 of triplet, 4 of twins and 6 of singlet, were yield from 10 recipient cow.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1) dominant follicle can be determined by ultrasonography with rectal palpation by morphological evaluations, 2) superovulation response after follicular aspiration was not differ at day 9, 11 and 13 of estrus, 3) dominant follicle did not affect to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diameter of CL, and 4) diameter of CL was significantly correlate to the level of progesterone concentrations in HanWoo.

  • PDF

PMSG로 전처치한 미성숙 래트의 초기 및 후기 난포기에 있어서 GnRH Agonist가 난소 기능에 미치는 상이 효과 (Differential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GnRH) Agonist on Ovarian Function in Early and Late Follicular Phase of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 (PMS G) -Pretreated Immature Rats)

  • 윤상근;유욱준;윤영원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1-27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GnRH가 과배란 처치된 래트의 초기 난포기와 후기 난포기에서 난소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30IU PMSG와 10IU hCG로 전처치된 미성숙 래트에 있어서 배란반응, 배란 난자의 형태학적 이상 유무 및 핵 성숙도, 난소 중량, 난소의 조직학적인 변화 및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 (17$\beta$-estradiol, progesterone 및 testosterone) 농도에 대하여 GnRH agonist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GnRH agonist는 PMSG 전처치 후 초기 난포기 (PMSG 투여 후 6시간부터) 또는 후기 난포기(PMSG 투여 후 54시간부터)에 4시간 동안 20분 간격으로 경정맥 카테타를 통해 혈관내로 투여하였다. 각 실험동물은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PMSG 투여 후 54시간, 72시간에 혈액을 채취하고 72시간에 희생시켰다. PMSG로 전처치한 미성숙 래트의 초기 난포기에 GnRH agonist의 투여는 GnRH agonist를 투여하지 않은 군(대조군)에 비해 과배란 억제, 형태학적 비정상 배란난자의 증가, 난소 중량의 감소, 난포폐쇄의 증가 및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 감소가 보였다. 한편 후기 난포기에 GnRH agonist의 투여는 대조군에서의 반응과 전반적으로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 PMSG 및 hCG 처치로 과배란된 래트의 초기 난포기에 GnRH agonist의 투여는 난소기능을 전반적으로 억제하지만, 후기 난포기에 GnRH agonist의 투여는 난소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흑염소의 체내수정란 생산에 관한 연구

  • 최창용;조숙현;한만희;권응기;최성복;최연호;최순호;손동수;최상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86-86
    • /
    • 2002
  • 면양과 염소가 최근 수십년동안 세계여러 나라에서 번식생리의 연구를 위한 모델로 사용되어 왔는데, 체내수정란의 생산에 관한 영역도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되어왔다. 수정란생산을 위한 발정동기화방법, 과배란처리 및 수정란회수방법 기술은 현재 상당히 많은 기술진척이 이루어진 상태이나, 우리나라 고유의 재래유전자원인 흑염소에는 이를 위한 기술이 미진한 실정이므로 본 실험에서는 흑염소의 체내수정란생산기술을 확립하여 재래가축 유전자원보존을 위한 기초기술을 마련하고자 한다. 축산기술연구소 남원지소에서 사육하고 있는 체중 20kg 이상의 건강한 흑염소를 이용하여 발정동기화를 위해 controlled intravaginal drug release(CIDR)를 질내에 14일 동안 삽입하고, 과배란처리는 FSH를 CIDR 삽입 12, 13, 14일째에 12시간 간격으로 점감법으로 총20mg을 투여하였으며, PGF$_2$a를 13일째 FSH와 함께 투여하였다. CIDR는 14일째의 아침에 제거하였다. 수컷과의 교미는 CIDR제거 24시간후에 GnRH를 투여와 동시에 실시하였으며, 채란은 교미후 3일째에 외과적인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CIDR처리경과에 따른 progesterone농도는 CIDR 주입시 바로 수치가 상승하여 제거전까지 6~12ng/m1의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제거즉시 2ng/ml 이하로 떨어졌다. 채란시 평균 배란점은 16.5개, 미배란난포 9.8개였으며, 회수수정란은 6.0개를 나타내어 채란율은 36.4%를 나타내었다. 회수된 수정란의 발달단계는 4-cell 78.9%, 2-cell 5.3%, fragmentation 15.8%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체내수정란생산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이후 수정란의 동결 및 수정란이식기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우리나라의 재래가축인 흑염소의 유전자원 장기보존과 생산성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배양액에 30 embryos/50ul 소적으로하여 38.8$^{\circ}C$, 5% $CO_2$의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각각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SAS/STAT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외수정 12시간 후에 난자 급속 염색법으로 염색을 실시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핵성숙률(76.4~95.2%), 정자침투율(51.1~66.9%), 웅성전핵형성률(95.2~100%), 다정자침입률(18.2~25.6%) 및 평균침입정자수(1.2~l.4개)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체외배양 48시간 난할률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별 차이(53.9~67.9%)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배양 7일째 배반포형성률은 각각 14.5, 25.4, 17.3 및 12.4%로서 25uM의 $\beta$-ME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은 배발달률을 나타내었고,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돼지 난포란을 성숙배양할 때, 25uM $\beta$-ME를 첨가배양하는 것이 양질의 돼지체외수정란을 생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조사되었다.다.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origin

  • PDF

한국 재래산양의 과배란 처치 방법 개선 (Development of Superovulation Method in Korean Native Goats)

  • C. Y. Choi;D. S. Son;Y. K. Kim;M. H. Han;U. G. Kweon;S. H. Choi;Y. H. Choy;S. B. Choi;Y. M. Cho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1-66
    • /
    • 2004
  • 한국 재래산양 체내수정란 생산에 대한 발정동기화 및 과배란 유도방법과 회수된 수정란의 동결 융해 후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발정동기화를 위해 CIDR+FSH 및 CIDR+PMSG의 방법을 이용한 결과, 배란점 및 회수된 수정란의 수는 CIDR+FSH 처리구에서 16.3개 및 9.4개, CIDR+PMSG 처리구에서 16.4개 및 8.7개를 나타내어 두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회수된 수정란을 형태학적으로 평가한 결과 CIDR+FSH 처리구에서 Gade A, B, C 및 D는 75.8%, 15.2%, 4.5% 및 4.5%를 나타낸 반면 CIDR+PMSG 처리구에서는 52.5%, 16.4%, 16.4% 및 14.8%였으며, 이식 가능한 수정란 (Grade A, B) 수는 CIDR+FSH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회수된 수정란의 완만 동결 융해 후 생존성은 CIDR+FSH 처리구에서 73.3%, CIDR+PMSG 처리구에서 63.3%이었으며, 두 군간의 유의적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결과는 한국 재래산양 체내수정란의 생산과 회수된 수정란의 보존을 위해서 CIDR+FSH로 발정동기화 시키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반복적인 과배란 처치 경험이 있는 한국흑염소에서 난포 자극 및 복강경을 이용한 난포란 채취(LOPU) (Follicular Stimulation and Laparoscopic Ovum Pick-up (LOPU) in Repeatedly Superovulated Korean Black Goats)

  • 이용범;이두수;조상철;신상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5-41
    • /
    • 2014
  • Laparoscopic ovum pick-up (LOPU) is a convenient method for collecting oocytes in small ruminants. LOPU has the advantage of being a less invasive means of oocyte collection, thereby allowing for a repeated usage of the oocyte donor animals. A total of 25 Korean black goats were used in the winter season (December to February) and LOPU was applied to the goats which had been treated for superovulation more than two times during the last twelve months. Estrus was synchronized with an intravaginal insert containing 0.3 g progesterone for 10 to 12 days. Ovaries were hyperstimulated with eCG 1,000 IU oneshot, FSH with eCG (50 mg / 1,000 IU; 70 mg / 500 IU; 70 mg / 1,000 IU) oneshot or FSH multiple-shot with eCG oneshot ($20mg{\times}6/300IU$) given intramuscularly 72 h prior to LOPU. For these groups, the number of follicles (mean ${\pm}$ SEM) observed which developed to larger than 2 mm in diameter were $1.6{\pm}2.5$, $4.3{\pm}3.1$, $5.5{\pm}4.2$, $6.6{\pm}2.1$ and $8.8{\pm}7.8$, respectively. Oocytes were aspirated by using OPU needles and a vacuum pump. The overall oocyte retrieval rates were 41.4%. Oocytes were matured in TCM-199 supplemented with 10% (w/v) bovine serum albumin + $10{\mu}g/ml$ FSH + $1{\mu}g/ml$ $17{\beta}$-estradiol for 27 h at $39^{\circ}C$ in 5% $CO_2$ in air. Oocytes were parthenogenetically activated by ionomycin combined with 6-diethylaminopurine (6-DMAP). Total oocyte maturation and cleavage rate were 67.3% and 78.8%, respectively. In summary, LOPU is a useful oocyte collection method in Korean black goats that can provide immature oocytes for transgenesis or nuclear transfer.

돼지에서 PMSG와 $\textrm{PG600}^{\textregistered}$의 과배란 처치 효과 (Superovulation Treatment with PMSG and $\textrm{PG600}^{\textregistered}$ in Prepubertal Gilts)

  • 김대영;현상환;이갑상;김혜수;염수청;한병우;이강남;이은송;이병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5-302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fferent superovulation treatments using PMSG or PG600$^{ }$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time of oocyte recovery after hCG administration. A total of 90 prepubertal Yorkshire x Landrace gilts crossed with Duroc, 6~7 months old and 100~120 kg of body weight, were used. PMSG (1,500 IU/head) or 5~7.5 ml of PG600$^{ }$(400 IU of PMSG and 200 IU of hCG) were administrated subcutaneously, and then 1,000 IU of hCG were administered intramuscularly at 72 hours after PMSG or PG600$^{ }$ injection. At carious time of 44, 46, 48 and 50 hours after hCG injection, superovulated gilts were slaughtered in a local abattoir. Ovaries together with oviducts were excised from the body immediately after slaughtered and transported to laboratory in 39$^{\circ}C$ saline. Ovaries were examined fur the number of corpus hemorrhagicum and unovulated follicles present in the surface of ovary. The unovulated follicles were categorized into small (1~3 mm in diameter) and large (4~8 mm) groups according to their diameter. Oocytes were recovered by flushing both oviducts with micropipette tip (1~100 $\mu$l) attached to a 10-ml disposable syringe. The number of CH on ovary and recovered oocytes at 46, 48 and 50 hr after hCG injection in PG600$^{ }$ 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 Group of phCG 50 hr among PMSG treated groups had a greater number of CH and recovered oocytes(P<0.05). The number of CH on ovary and recovered oocytes at 50 hr after hCG injection in 1$\frac{1}{2}$ vial(7.5 ml) of PG600$^{ }$ treated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1 vial(5 ml) of PG600$^{ }$ treated group(P<0.05). In conclusions, considering a number of corpus hemorrhagicum and recovered oocytes after superovulation in gilts, effective time of oocyte recovery by treatment with PMSG and hCG was post-hCG 50 hr and with PG600$^{ }$ plus hCG was post-hCG 46, 48 and 50 hr. Also, admini-stration of 1$\frac{1}{2}$ vial(7.5 ml) of PG600$^{ }$ treated group had a great number of CH and recovered oocytes.covered oocytes.

  • PDF

뇌하수체 이식이 과배란 및 초기태아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erovulation and Early Embryonic Development by Pituitary Transplants)

  • 양만표;김영훈;양일석;권종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9-47
    • /
    • 1986
  • 본 연구는 한개의 뇌하수체를 이식시켜 과배란된 미성숙 흰쥐에서 초기태아 발육과 착상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0일령 숫컷 흰쥐에서 뇌하수체를 제거하기 15일 전에 정소를 제거시켰으며 정소가 제거된 쥐에서 얻은 한개의 뇌하수체를 실험 시작일(임신 3일전 : D-2) 오전 7시에서 10시 사이에 28일령의 암컷 흰쥐의 우측 신장 피막 아래 이식시켰다. 대조군은 같은 날 오전 10시에 4 IU PMSG를 투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쥐들은 난소 및 자궁 무게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임신 3일전, 2일전, 1일전, 임신 1일, 2일, 3일 및 5일에 희생시켰다. 또 다른 쥐들은 난 회수 및 난소를 관찰하기 위하여 임신 1일, 2일, 3일 및 5일에 희생시켰으며 임신 8일에는 착상 상태를 조사하였다. 임신 1일에는 질도말법에 의해 발정주기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하수체를 이식시키거나 4 IU PMSG를 투여함으로써 발정 동기화를 이룰 수 있었다. 뇌하수체를 이식시킨 쥐와 대조군에서 임신 1일 전인 발정전기에 있는 흰쥐는 각각 64.7%, 71.3%이었다. 2. 뇌하수체 이식군 및 대조군의 교배율은 각각 75.0% 및 80.2%였으며 첫 배란은 각 처치후 3일 이내에 일어났다. 3. 과배란된 흰쥐에서 임신 1일에 황체화된 난포와 임신 황체수는 평균 $46.1{\pm}2.9$개였으며 임신 2일부터 그 수는 임신 1일 보다 많았다. 4. 과배란된 흰쥐에서 회수된 난의 수는 임신 1일과 2일에 각각 평균 $46.1{\pm}2.9$$49.8{\pm}4.2$개였으며 대조군은 $8.6{\pm}0.3$$8.9{\pm}0.4$개로 나타났다(p<0.001). 5. 임신 3일부터 과배란된 흰쥐에서 난의 회수율은 임신 2일과 비교할 때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p<0.001) 난의 발육은 지연되거나 퇴행되었다. 난 발육단계의 분포는 임신 3일과 5일에 특히 변이가 많았다. 6. 과배란된 흰쥐에서 임신 8일에 착상 부위수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며(p<0.001), 18마리의 과배란된 흰쥐 중 특히 10마리에서는 $28.1{\pm}0.7$개의 착상부위가 확인되었다. 7. 과배란된 흰쥐의 난소 무게는 임신 1일전부터 임신 3일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이 기간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백서 난소에서 성선자극호르몬에 의한 RGS-2의 발현 조절 (Gonadotropin Regulation of Regulator of G Protein Signaling 2 (RGS-2) Expression in the Rat Ovary)

  • 이여일;이은숙;김선애;김미영;조문경;전상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2호
    • /
    • pp.111-118
    • /
    • 2008
  • 연구방법: 미성숙 백서 난소의 과배란 유도를 위해 PMSG를 주사하고, 배란을 위해서 hCG를 주입하였다. RGS-2의 유전자 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는 Northern blot 분석과 in situ hybridizat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미성숙 백서에 성선자극호르몬인 PMSG를 복강내 주사했을 때 RGS-2 mRNA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Northern blot analysis로 확인할 수 있었으나, hCG를 주입했을 때는 1시간에서 3시간 내에 발현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In situ hybridization으로 살펴본 RGS-2 mRNA의 발현세포는 난포의 크기에 관계없이 난자였으나, hCG로 처리한 후에는 배란 전 난포와 성장중인 난포의 과립막 세포이었다. 그러나, RGS-2 단백의 발현은 hCG 처치와 관계없이 난포막 세포이었다. 상기 생체 실험과 마찬가지로 시험관에서도 배란 전 난포의 과립막 세포에 대한 LH 처리는 RGS-2 유전자 발현을 1시간 내에 촉진하였다. 또한,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2 길항제도 이러한 LH의 촉진작용을 증진시켰다. 결 론: 본 연구로 배란 전 과립막 세포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인 LH/hCG와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에 의해 RGS-2의 발현이 증진되는 양상으로 보아 RGS-2가 배란과정 동안에 Gq protein 신호전달을 조절할 것으로 추정된다.

과배란 처치시 우세난포 조절에 의한 한우 수정란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I. 우세난포 처리에 따른 난소반응 (Superovulation Response after Follicular Wave Synchronization with Follicular Aspiration by Ultrasonography in HanWoo I. Effect of Follicular Aspiration on Ovarian Response Following Superovulation)

  • 이병천;이동원;신수정;박종임;황우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3-210
    • /
    • 1999
  • In this stuyd, the effect of the dominant follicle aspiration for the superovulatory response in HanWoo was investigated. The criterion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ominant follicle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examination. The dominant follicle was aspirated 48hr before the onset of superovulation treatment by 6.5MHz convex probe connected with a carrier and superovulation induced by FSH (Super-Ov Tyrer, Texas, U.S.A) adminstered twic a day s.c. over 4 day in a decreasing regimen. From 13 HanWoo scanned daily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growth of the dominant follicle, its an average diameter of 15.4mm was measured and an average diameter of corpora lutea was 18.7mm on day of follicular aspiration. In the experiment, a follicular remove by ultrasound-guided aspiration, the ovarian response was significantly enhanced when animals were superovulated in the aspiation of a dominant follicle compare with animals superovulated non-aspiration of a dominat follicle. In the aspiration of a dominant follicle donors yieleded more corpora lutea(14.4$\pm$4.7 vs 8.6$\pm$3.4) and transferable embryos(8.9$\pm$4.2 vs 5.4$\pm$2.7) than control. In cows in which the dominant follicle had been aspirated under sonographical control 2 days before superovuation, the number of corpus lutea and transferable embryo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compared with animals superovulated in the presence of a dominant follicle (14.4$\pm$4.7 vs 6.9$\pm$2.7, ; 8.9$\pm$4.2 vs 3.3$\pm$1.6). After 7 days of artificial insemination, the embryos at 7 days were cllected by uterine flushing after dominant follicle insemination, the embryos at 7 days were collected by uterine flushing after dominant follicle aspiration and superovulation treatment, and evaluated their quality by morphological criteria. Sixteen embryos with excellent and good grade were transferred into 8 recipient cows. Six pregnancies were identified at 60 and 120 days of gestation by rectal palpation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1)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ominant follicle signficicnatly affects superovulatory responses, and 2) ultrasound-guided follicular aspiration of the dominant follicle and superovuation treatment provides an accurate and procedure to increase ovarian responses in HanWo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