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립

Search Result 91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maging Findings of Axillary Granular Cell Tumor in a Patient with Breast Cancer History: A Case Report (유방암 과거력을 가진 환자에서 액와부 과립세포종의 영상 소견: 증례 보고)

  • Jeongeum Oh;Ji Yeon Park;Mee 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4 no.5
    • /
    • pp.1176-1180
    • /
    • 2023
  • Granular cell tumors (GCTs) are rare soft tissue tumor, originating from neural or perineural cells. We present a case of axillary GCT in a 69-year-old woman with breast cancer history and discuss the various radiologic findings. US revealed a circumscribed oval heterogeneous iso- and hyperechoic mass in the left axilla. Chest CT showed a well-defined, oval, and mildly enhancing mass in the left axilla on the lateral aspect of the pectoralis muscle. A final diagnosis of GCT was made through US-guided core needle biopsy. Follow-up U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axillary GCT. Familiarity with GCT may facilitate early diagnosis and subsequent management.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Korean Fagaceae by the Pollen (화분(花粉)에 의한 한국산(韓國產) 참나무과(科) 계통분류(系統分類))

  • Park, Seung 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0 no.2
    • /
    • pp.151-161
    • /
    • 1991
  • I tried to specify the taxa of Fagaceae in Korea by the character of their pollen grains. The light microscope(LM) and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were used to examine the pollen grains of 19 taxa, 5 genera.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 pollen of Fagaceae in Korea could be grouped into four types and 4 subtypes. 1) Fagus type 2) Castanea type 3) Lithocarpus, Castanopsis type 4) Quercus type (1) Cyclobalanopsis subtype (2) Prinus subtype (3) Dentatae subtype (4) Cerris subtype. 2. The morphology of the granula on the pollen of Quercus was closely related to the differantiation of the shape of the cup scales. 1) The uniformity of branching granula on the pollen grain surface corresponds to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concentric arrangement of cup scales. 2)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pollen grain surface intermingled with large or small granula, simple-granula and tuber granula which have small points of circular prominence, corresponded to those of short cup scales. 3)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polllen grain surface intermingled with large or small granula, simple-granula and tuber granula with an apex of amoeba type corresponded to those of Q. dentata Thunb, with thin, fine and long cup scales. 4)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pollen grain surface intermingled with large of small granula of with only simple-granula, corresponded to those of Q. acutissima carr. with thick, fine and long cup scales. 3.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coding the sculpture pattern of the pollen grain surface,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urface perforate, the grain size and granula type were coincident with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of plants and showed an intimated relationship even under th level of species.

  • PDF

Cytochemical and Immunocytological Study on the Cellulase Activity in the stomach of the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 위에서의 Cellulase 활성에 대한 세포화학적 및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 정계헌;이용석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3 no.2
    • /
    • pp.161-173
    • /
    • 1997
  • 동양달팽이의 위 상피에서 섬유소 분해효소의 분비여부를 화확인하기 위해 세포화학적 방법과 immunogold labeoling mithod를 수행되었다. Nesiohelix samarangae의 위에선 3가지 종류의 원주상피가 관찰되었다. 이 중 TYpe1세포는 microvilli가 발달하고 매우 많은 분비과립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Type2세포는 위로 치우친 핵과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에 rER이 매우 발달해 있었다. Type3 세포는 섬모와 미세융모를 함께 가지고 있는 세포로서 분비과립을 약간 함유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위 상피에서의 cellulase의 활성을 시험해본 결과 상피세포들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Type 1세포들과 Type3 세포들의 분비과립들의 주변에서 cellulase활성이 높았고, immunogold staining결과는 황금입자가 위 상피의 분비과립 주위의 세포질과 rER의 막과 주변세포질, 그리고 상피세포들의 상단부 세포질 등에서 표지되었다. 이상의 모든 실험 결과는 동양달팽이의 위 상피세포에서 cellulase가 분비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

Ultrastructure of the neuromuscular Junction in the Mantle Edge of the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 외투막내 신경근연접의 미세구조)

  • 장남섭;한종민;황선종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4 no.2
    • /
    • pp.75-83
    • /
    • 1998
  • 아프리키 왕달팽이(Achatina fulica) 외투막(mantle edge) 내 근육 속의 신경근연접에 관한 미세구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신경근연접종말의 형태는 방추형이거나 불규칙형이었으며, 연접막과 근형질막상이 연접간극(synaptic cleft)의 넓이는 30mm 정도로 나타났다. 연접강속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직경 100mm)과 중등도는 과립(직경 70mm)그리고 전자밀도가 낮은 소포(직경70mm)등 3종류가 관찰되었으며, 연접종말의 외측에는 0.2 - 0.4$\mu\textrm{m}$ 정도크기의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들이 존재하였다. 전자밀도가 중등도인 둥근 과립 중 일부는 연접막 밖으로 배출(exocytosis) 되었으며, 근형질막과 연접막이 합체되는 현상도 관찰되었다. 근형질(sarcoplasm)내에서 수축성단백질인 액틴과 미오신섬유의 배열은 불규칙하였으며, 세포질성 치밀체(cytoplasmic dense body)도 관찰되었다.

  • PDF

Localization and Activity of Acid p%osphatase of Porcine Ovarian Follicles (돼지 난포내 Acid Phosphatase의 활성부위와 활성도)

  • 김종흡;이창주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2
    • /
    • pp.136-143
    • /
    • 1992
  • 돼지 난포의 폐쇄기 작을 규명하고 폐쇄난포의 판정기준을 보완, 확립하기 위하여 난포의 크기 및 상태 그리고 난소주기에 따라 Acid phosphatase(Acpase)의 활성부위와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Acpase의 활성부위는 과립세포와 난포막내층이었고, 반응정도는 난포 :극 대난포와 중난포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폐쇄군에서 강한 반응을 보였다. 황체기난포의 과립세포에서는 중난포와 소난포 모두 반응이 미약하였고, 난포막층에서는 정상군과 폐쇄군 모두 강하게 나타났다. Acpase의 활성도는 난포기 난포의 과립세포에서 난포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난포막층의 활성도는 감소하였으며 , 폐쇄군이 높은 활성도를 보f:다. 황체기의 경우 반포기와는 달리 과립세포와 난포막층에서 난포가 커짐에 따라 활성도는 감소하였으나 폐쇄군은 역시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쇄난포의 Acpase의 활성부위와 활성도는 정상난포에 비하여 뚜렷하고 강하여서 이 방법은 폐쇄의 판정기준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난소주기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낸 것은 폐쇄기 작이 서로 다름을 시사하였다.

  • PDF

자원식물을 이용한 아토피 치료제 개발

  • Jeong, Yong-Jun;Park, Jong-Pil;Gang, Se-Ch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22-22
    • /
    • 2010
  • 식생활의 변화, 공해 등의 환경변화 등으로 인하여 아토피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소에서는 자원식물로부터 아토피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면역세포의 탈과립화억제를 통하여 수종의 식물 자원을 탐색한 바 있다. 애기땅빈대, 여뀌, 고들빼기 등으로부터 유효성분 분리하여 산업화 단계에 있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약자원인 지모로부터 분리된 성분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지모는 현재 수많은 보고를 통하여 항암성분, 여성호르몬조절성분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nyasol을 비롯하여 4개의 유도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성분에 대한 면역세포 탈과립화억제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MeOH추출물에서 systemic 및 passive anaphylaxis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들 성분에 대한 유도체 합성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면역세포 탈과립화 억제를 통한 항아토피 및 항알러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들의 성분과 합성 유도체들은 항아토피에 활용될 수 있으며, 지모추출물자체로도 화장품, 식품, 의약품에 적용이 가능할 정도로 우수한 효능이 확인되었으며, 앞으로 이들 유도체에 대한 의약품 개발연구가 기대된다.

  • PDF

Studies on the Nodule Formation Factor and Mechanism of the Hemocyte in Lucilia illustris (연두금파리(Lucilia illustris) 혈구에 대한 결절형성인자와 결절형성과정)

  • 정민원;김지현김우갑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1
    • /
    • pp.1-9
    • /
    • 1995
  • 연두·금파리에서 혈구 세포가 면역반응의 일환으로 일으키는 결절형성(nodule formation) 현상을 형태학적으로 관찰하고자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연두금파리 종령 유충 체내에 정상 효모, 고정된 대모, 세포액이 제거된 원형질체의 효모를 각각 주입하여 면역반응 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먼저 정상 효모를 주입하였을 경우, 효모와 접촉한 헐구의 과립방출과 곧 이은 혈구의 파괴 그리고 효모 주위에 혈림프와 함께 점액성응혈(clot)의 형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점액성 응혈에는 여러 유형의 파괴된 혈구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같은 면역반응에는 체내 혈구 중 과립혈구(granulocyte)가 가장 활발히 반응였고 응혈의 대부분을 형성하였다. 결절의 중심부인 응혈은 대모와 파괴되지 않은 혈구 대 파괴된 혈구 그리고 방출된 과립들로 차 있었고, 효모 주입 3시간 까지는 이같은 응혈은 계속 확대되었다. 그러나 10시간 이후에는 응혈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때 체강내에서 효모가 관찰되곤 하였다. 고정된 효모를 주입하였을 경우에는 혈구파괴나 과립방출 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고정된 효모에 대한 혈구의 식 세포작용만이 관찰되었다. 이 식세포작용은 주입후 10시간 까지 계속되었다. 원형질 체의 효모를 주입하였을 경우에는 혈구에의한 면역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 PDF

Granular Cell Tumor Originating from the Pectoral Muscle: A Rare Extramammary Finding on Mammography (대흉근에서 발생한 과립 세포 종양: 유방촬영술에서 보이는 드문 유방외 병변)

  • Hyeongyu Yoo;Sung Eun Song;Jeong Hyeon Lee;Kyu Ran C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3 no.5
    • /
    • pp.1195-1200
    • /
    • 2022
  • A granular cell tumor (GCT) is a rare soft tissue tumor that usually arises from the striated muscle of the tongue. Few literatures have reported pectoral muscle involvement of the GCT. Herein, we report a rare case of a GCT originating from the pectoral muscle below the breast with multimodal imaging appea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