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사유림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대구지역 공.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Forested Wetland at Public and Private Forests in Daegu City)

  • 정혜란;김현지;최경;박광우;강동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69-84
    • /
    • 2012
  • 본 연구는 대구지역 공 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존가치가 있는 산림습원의 발굴 및 보전, 향후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FGIS를 이용하여 예상 지점을 도출하고, 산림습원의 보호를 위한 완충구역을 설정하였다. 산림습원으로 판별된 11개 지점을 층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63과 131속 148종 2아종 14변종 5품종으로 총 169분류군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산림습원의 종다양도는 관목층에서 1.5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균재도는 관목층에서 0.913로 가장 균일한 상태를 나타냈으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모두 0.3이하로 나타나 한 종이 우점하지 않고 층위별로 다수의 종이 공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완충구역은 습지의 종류, 지형 등을 고려하여 핵심지역 경계부로부터 20~50m로 설정하였다.

벌채업 관련자의 의식 조사를 통한 현행 벌채제도의 개선 (Improvement of a Tree Cutting Permit System with Respect to Timber Logger's Consciousness)

  • 박경석;이성연;최인화;김현식;안영상;안기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710-721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벌채제도에 대한 벌채관련자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바람직한 벌채제도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국유림 벌채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5개 지방산림청과 27개 국유림관리소의 담당자와 팀장 64명, 공 사유림 벌채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161개 지방자치단체의 담당자와 팀장 322명, 조사대상 지자체에서 벌채사업을 가장 많이 실행하고 있는 대표 벌채업자 308명에 대해 현행 벌채제도 실태와 개선사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행 국, 공 사유림에 상이하게 적용하고 있는 기준벌기령은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5점 척도에서 3.73점을 나타났으나 그룹 간 유의한 차는 보이지 않았다. 친환경 벌채제도에 대해서는 국유림 벌채업무 담당자 그룹의 95.1%가 개선 필요성을 강하게 제시하였는데, 현재 적용되고 있는 불량 활엽수 및 수종갱신지역에서의 친환경벌채 적용은 제외하여야 한다(4.14), 현지 임상 및 입지여건(경사, 토양 등)을 고려한 친환경벌채 기술이 필요하다(3.87)라고 현장에서의 기준 적용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에 높은 인식정도를 나타냈다. 또한, 2009년 벌채업자의 원목취급 실적이 국내재 총 공급실적(3,176천$m^3$)의 10.6%, 원목 총 판매실적에서 50.1%를 차지하였듯이 국내 목재공급에 대한 역할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조사 대상자 중 72%가 벌채업자의 올바른 벌채사업을 유도하기 위해 벌채업자 등록제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특히 시장, 군수에게 벌채업에 대한 사업자 등록을 필하고 신고한 자만이 벌채사업을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에 4.11점으로 높은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는 벌채관계자의 의식조사를 통해 현장 상황을 감안한 친환경벌채 기준의 개정을 제시한 점과 목재벌채업자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책임 있는 벌채활동을 할 수 있도록 벌채업자 등록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민유림영림단(民有林營林團)을 중심(中心)으로 한 임업노동력(林業勞動力) 소요(所要)·공급분석(供給分析) (Analysis of Labor Need and Supply in Forestry in Korea)

  • 김병구;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270-278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 나라 사유림(私有林) 중(中) 시업지(施業地) 3,503천ha를 법정림(法正林) 상태로 유도하기 위해 각종(各種) 산림사업(山林事業)에 필요(必要)한 임업노동력(林業勞動力)의 소요량(所要量)과 공급량(供給量)을 예측(豫測)하기 위하여 수행(遂行)되었다. 소요량(所要量)은 영급별(齡級別)로 구분(區分)된 시업면적(施業面積)을 기준(基準)으로 산림청의 산림시책상(山林施策上) 공정(工程)을 적용(適用)하여 파악하였으며 공급량(供給量)은 농산촌지역(農山村地城)으로 분류(分類)된 8개(個) 지역(地城)의 주민(住民)을 대상(對象)으로 제시된 임금 수준에서의 참여 여부를 설문조사하여 추정(推定)하였다. 그 결과(結果) 임업노동력(林業勞動力)의 소요량(所要量)은 연간 작업일수(作業日數) 200일(日)을 기준(基準)으로 할 때 39,190명이었으며, 공급(供給)은 실질임금상승률을 0%, 3%, 5%, 7%의 4가지로 구분(區分)하여 추정한 결과 0%에서는 인구감소율에 따라 공급인원이 갈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3%에서는 2005년 이내에는 소요량을 충족하기가 어려우며, 5%에서는 2003년과 2004년 사이에, 7%에서는 2001년과 2002년 사이에 각각 소요량을 충족시킬 것으로 예측(豫測)되었다.

  • PDF

지역산림계획을 위한 주요 수종의 지역별 특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gional Specialization of Major Species for Regional Forest Plans)

  • 박주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3호
    • /
    • pp.330-339
    • /
    • 2017
  • 우리나라는 공 사유림에 대해서 광역시 도가 지역산림계획을 수립하여 산림을 경영하도록 하고 있으며 지역산림 계획은 국가 단위의 산림기본계획과 임분 단위로 수립되는 산림경영계획을 연결하는 고리로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지역산림계획을 보다 효율적으로 작성하는데 필요한 지역단위 산림자원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광역시 도 단위로 어느 수종이 집중되어 있는지 제시하여 지역산림계획의 효율적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집중도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특화계수와 상대집중계수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면적과 재적 자료를 통하여 각각 산정하였다. 그 결과 각 시 도별로 집중되어져 있는 임업통계연보에서 제시된 주요 수종들을 순위 별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지역산림계획 수립 시 해당 지역에 집중된 수종을 고려하여 목표수종 혹은 경영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면적과 재적 기준의 결과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차후 지역의 수종별 생산성 요소도 반영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