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황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6초

공황장애 환자에서 $^{99m}Tc-ECD$ 뇌관류 SPECT를 이용한 인지행동치료 효과 평가 (Evaluation of Therapeutic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using Serial $^{99m}Tc-ECD$ Brain Perfusion)

  • 김정희;송호천;양종철;이병일;허영준;범희승;박태진;민정준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6호
    • /
    • pp.302-308
    • /
    • 2006
  • 목적: 공황장애에 대한 다양한 신경해부학적 모델들이 제안되었으나, 인지행동치료와 관련된 뇌 신경학적 기전에 대한 해석은 불명확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 환자에서 CBT 전과 후에 뇌관류 변화를 평가하고 이에 따른 신경해부학적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DSM-IV 기준으로 진단된 공황장애 환자 7명(남자 5명, 여자 2명, 평균연령 $45{\pm}11.0$세)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인지행동치료를 했으며, 건강한 정상인 12명(남자6명, 여자 6명, 평균연령 $42{\pm}9.5$세)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 인지행동치료 전과후에 $^{99m}Tc-ECD$ 뇌관류 SPECT, PDSS-SR과 ACQ점수를 각각 평가하였다. 인지행동치료 도중에는 약물치료를 실시하지 않았다. 모든 영상은 공간적으로 평준화와 편평화를 하여 SPM2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공황장애 환자에서 인지행동치료 후 자각적인 증상들이 개선되고, 인지행동 평가 척도와 인지적 불안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5). CBT치료 전에 띠이랑, 시상, 중간뇌와 전두엽과 측두엽에서 뇌관류가 증가하고, 우측 아래 전두엽에서 뇌관류가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8주간의 CBT후 임상 소견의 호전과 함께 좌반구의 해마이랑, 우반구의 띠이랑와 도, 그리고 좌우 전두엽과 측두엽에서 뇌관류가 감소를 하였고 후두엽, 두정엽과 전두엽 일부에서 뇌관류가 증가한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공황장애 환자에서 약물치료 없이 인지행동치료만으로도 그 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고, 이는 공포와 관련된 뇌영역에서 뇌활성도의 완화 및 안정화로 인해 치료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공황장애 환자의 다면적 인성검사 (MMPI) 특성이 인지행동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MPI Characteristics on the Outcome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 최영희;이정흠
    • 정신신체의학
    • /
    • 제6권2호
    • /
    • pp.147-15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 환자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면적 인성검사를 사용하여 환자의 특성을 측정하고 이들 환자 특성 중 어떤 변인이 치료결과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았다. 31명의 공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11주의 공황장애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치료전에 다면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치료 전 후에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의 상태 불안 질문지(STAI-State), Agoraphobic Cognition Questionniaire(ACQ), Body Sensation Questionnaire(BSQ)의 질문지와 환자의 자기보고 등 5가지를 실시하여 치료 성과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최종상태 기능 (End-State Functioning) 에 따라 치료 결과가 좋은 집단(상위 최종상태 집단)과 치료 결과가 나쁜 집단(하위 최종상태 집단)을 구분하여 두 집단의 특성용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다면적 인성검사의 건강염려증 척도(Hs), 우울증 척도(D), 히스테리 척도(Hy), 강박증 척도(Pt), 정신분열증 척도(Sc), 그리고 타당도 척도인 F 척도에서 하위 최종상태 집단이 상위 최종상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는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변인이라고 하기보다는 단순히 환자가 가진 증상의 심한 정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2) 치료 전에 실시한 다섯 가지 평가 지표에서 기본적으로 하위 최종상태 집단이 상위 최종상태 집단보다 증상의 정도가 심했지만, 두 집단 모두 치료를 통하여 비슷한 수준의 치료적 변화를 보인 결과는 1)의 해석을 지지해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다면적 인성검사는 인지행동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특성을 파악하는데는 효과적이지 못한 방법으로 생각되며,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직접적으로 성격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환자 변인을 찾아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공황장애 집단인지행동치료의 12개월 추적 연구 (12 Months Follow-Up Study of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 최영희;박기환;우영재;윤혜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2호
    • /
    • pp.205-213
    • /
    • 2003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집단인지행동치료의 장기적 치료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으며, 12개월 추적 연구에서 환자들의 상위 최종상태기능을 예측해 볼 수 있는 치료적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공황장애로 진단받고 집단인지행동치료를 받은 32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12개월 추적 연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된 환자들은 236명이었다. 12개월 추적 연구에서 환자들의 최종상태기능을 확인하였으며, 상위 최종상태기능 집단(HES)과 하위 최종상태기능 집단(LES)을 판별해주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치료 전의 임상적 변인을 대상으로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집단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한 후, 12개월 추적 연구 시 75%의 환자들이 상위 최종상태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월 추적 연구 시 상위 최종상태기능 집단과 하위 최종상태기능 집단을 판별해 주는 변수로 치료 전에 실시한 BDI(Beck Depression Inventory)와 BSQ(Body Sensation Questionnaire)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확 판별율은 69.2%였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공황장애의 집단인지행동치료 이후에 12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치료적 효과가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치료 전, 후 변인을 대상으로 판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감이 적고 신체적 증상을 덜 예민하게 경험하는 사람들일수록 인지행동치료의 효과가 장기적으로 잘 유지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한국형 공황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8 : 공황장애의 진단, 치료 반응과 관해의 평가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Panic Disorder 2008 : Diagnosis, Treatment Response and Remission of Panic Disorder in Korea)

  • 김민숙;유범희;김찬형;윤세창;이상혁;서호석;양종철;한국형 공황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8 연구그룹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4
    • /
    • 2008
  • Objective : This article is a part of the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Panic Disorder, which aims to build consensus regarding the diagnosis, treatment response and achievement of clinical remission for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in Korea. Methods :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article had parts : 1) diagnosis, 2) treatment response, and 3) remission for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each of 54 Korean psychiatrists who had much experience in treating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e classified the experts' opinions into 3 categories (first-line, second-line, and third-line) using the ${\chi}^2$-test. Results : Five factors were considered in this research : panic attack, anticipatory anxiety, phobic avoidance, severity of illness, and psychosocial disability. Most reviewers agreed that the presence of a panic attack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diagnosis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Phobic avoidance was included in the first-line category, whereas the severity of illness and psychosocial disability were included in the second-line category. Most reviewers also agreed that the presence of a panic attack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appropriate treatment response, and it was included in the first-line category along with several other items. To determine remission status, the patients' scores on tests pertaining to the severity of panic attack, anticipatory anxiety, phobic avoidance, severity of illness and psychosocial disability should be less than 3.0-3.3 on a 9-point Likert scale. Conclusion : We suggest useful information for making a diagnosisof panic disorde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treatment response and identifying remission in panic disorder pati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a nationwide survey of experts in Korea.

  • PDF

공황장애의 임상적 특성과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농도와의 관계 (Associations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lasma BDNF Levels of Panic Disorder)

  • 황인호;박종일;양종철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9-135
    • /
    • 2015
  • Objective :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is implicated in the pathophysiology of several neuropsychiatric disorder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BDNF of panic disord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lasma BDNF level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nd evaluated whether there are associations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nic disorder and plasma BDNF levels. Methods : We included 110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nd 110 health controls in the current study. Plasma BDNF levels were measured by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Plasma BDNF level differenc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uration of illness, recent stressful life event, agoraphobia, and insomnia. Results : The mean plasma BDNF levels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ere significantly lower, a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s (192.50 pg/mL vs. 693.75 pg/mL, t=8.838, p<0.001). The mean plasma BDNF levels of patients who had recent stressful life ev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as compared with those who did not ($269.79{\pm}358.96pg/mL$ vs. $136.94{\pm}187.06pg/mL$, t=-2.525, p=0.013).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DNF plays a potential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panic disorder.

한국인 공황장애 환자에서 단기간 약물치료 후 관해 예측인자 연구 (Factors to Predict a Remission after Short-Term Pharmacotherapy in Korean Panic Disorder Patients)

  • 심현보;강은호;유범희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0-115
    • /
    • 2007
  • Objective : The authors examined the treatment response and remission rate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fter short-term pharmacotherapy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can be used to predict remission in Korea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Methods : Sixty-one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ere recruited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e psychological symptoms of the patients were measured using the HAMA, HAMD, STAIS, STAIT, ASI and API at baseline and after 3 months of pharmacotherapy. Results :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all psychological measures after 3 months of pharmacotherapy with paroxetine. The remission rate was 44.3%, and the response rate was 54.1%. The remitt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HAMD, HAMA, STAIS, STAIT, and ASI scores than the non-remitters.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baseline HAMA, HAMD, and ASI scores could be used to predict the remission rate after controlling for age, sex and agoraphobia. Conclusion : Compared with previous reports, our study showed a similar remission rate in Korea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Lower baseline levels of anxiety, depression, and anxiety sensitivity were found to be predictors of treatment remission in panic disorder.

  • PDF

공황장애 환자에서 범불안장애 공존 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징 비교 (A Comparison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nic Disorder with and without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오종수;정슬아;최태규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16
    • /
    • 2017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between panic-disorder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D+GAD) and without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D-GAD). Methods : We examined data from 218 patients diagnosed with PD+GAD (150 patients) and PD-GAD (68patients). The following instruments were applied: Stress coping strategies,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 (BAI), 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 Anxiety Sensitivity Index-Revised (ASI-R), Albany Panic and Phobia Questionnaire (APPQ), NEO-neuroticism(NEO-N), Short Form health survey-36 (SF-36). Results : Compared to the PD-GAD group, the PD+GAD group had higher scores in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clinical severity, such as BDI, BAI, PDSS, ASI, APPQ, and neuroticism. The PD+ GAD group showed lower scores in most scales in SF-36 status than PD-GAD group.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PD+GAD patients are different from PD-GAD patients in coping strategies, clinical severity and quality of life. It emphasizes the need of personalized therapy in clinical approach among patients with PD+GAD.

공황장애의 암묵 및 외현기억 편향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Bias in Panic Disorder)

  • 정나영;채정호;이경욱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8
    • /
    • 2012
  • Patients with panic disoder (PD) show recollection of their first panic attack, which resembles a trauma that is perceived as an unexpected frightening and subjectively life-threatening event. Information-processing models suggest that anxiety disorders may be characterized by a memory bias for threat-related information. This paper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investigated the implicit and/or explicit biase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mong the 17 studies, which addressed the explicit memory bias in PD patients, 11 (64.7%) were found to be explicit memory bias in PD patients. In regards to the implicit memory bias, 4 out of 9 studies (44.4%) were found to support the memory bias. The result shows that evidence of explicit memory bias in PD patients was supported by a number of previous researches. However, evidence of implicit memory bias seems less robust, thus, needs further research for replication. Also, development of new paradigms and applications of various methods will be needed in further researches on memory bias in PD patients.

한국 다문화 사회의 도덕적 공황 상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Moral Panics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 송선영
    • 윤리연구
    • /
    • 제77호
    • /
    • pp.73-112
    • /
    • 201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 다문화 사회의 특성과 문제점을 도덕적 공황 상태의 측면에서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다문화주의 연구의 경향에서 문화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다문화주의 연구에서 문화 개념들을 수준별로 적용한다. 그리고 한국 다문화 사회가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 즉 소수자(집단)-외국인에 대한 다수자(집단)-한국인의 국적별, 인종별 편견과 계층화의 상태를 도덕·윤리학의 영역에서 모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다문화주의 연구에서 주목하는 문화 개념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문화를 의미의 패턴으로 간주한다. 둘째, 문화를 완전성에 관한 연구로 바라 본다. 전자는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 유리하고, 후자는 도덕성을 토대로 하는 정체성 확립에 관심을 기울인다. 한편, 다문화주의 연구에서 주요 쟁점들 또한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체성과 다양성의 논의이다. 20세기초반까지 국민국가는 정체성을 강조했지만, 오늘날에는 다양성의 주제들이 부각되고 있다. 둘째, 소수 개인(집단)의 권리와 보편적 가치에 대한 논의이다. 이는 개인의 자유에 대한 강제를 반박하는 자유주의와 공동의 선을 추구하는 공동체주의 간의 간격에서 진행하고 있다. 다문화주의 연구에서 문화 개념은 지향별, 수준별로 확대 적용되어야 한다. 한개인이 정체성을 확인하는 내적 지향의 문화 관념은 매우 강하고,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해석의 외적 지향 관념은 다소 약하다. 이를 집단 차원에서 상호보완해서 연결된다면, 시민성과 자율성을 내적 지향에서 확인할 수 있고, 정의와 평등에 대한 의미 파악과 적용은 각 집단의 외적 지향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럴 경우에만 다문화가 공존할 수 있는 사회가 바람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적용하려면, 관주도형의 집행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각 개인별, 집단별 특성을 파악해서 그들에게 어떤 문화 관념이 보완되어야 하는지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 오늘날 다양한 정책들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한국 다문화 사회가 안고 있는 모순은 다수자(집단)-한국인으로부터 발생한다. 왜냐하면 순혈주의, 단일민족주의와 같은 매우 강한 내적 지향의 문화 관념이 무의식적으로도 영향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이는 정부와 미디어와 같은 2차적 정의자들이 소수자(집단)-외국인에 대한 왜곡과 결부되면서 다수자(집단)-한국인에게 커다란 사회적 위협으로 다가온다. 예컨대, 외국인 범죄의 경우, 실제로는 불법체류자 검거, 외국인 폭력조직 및 마약과 관련해서 발생하지만, 정부는 이를 국적별, 인종별로 외국인 관리 감독 차원의 강화로, 미디어는 외국인 거주 지역을 범죄, 가난의 상징으로 확대 생산한다. 하지만 국적별, 인종별로 본다면, 미국과 일본 등의 이른바 선진국 출신의 외국인 범죄가 더 악영향을 미친다. 이번 연구는 이처럼 왜곡된 한국 다문화 사회의 도덕적 공황 상태가 바로 2차적 정의자들인 정부와 미디어, 동시에 다수자(집단)-한국인에게 있다고 본다. 바로 이것이 한국 다문화 사회가 안고 있는 실제 도덕적 공황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연구에서는 소수자가 아니라 다수자(집단)-한국인을 주로 대상으로 해야 하고, 근본적으로 순혈주의와 단일민족주의의 정체성을 개방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도덕·윤리적 과제를 보다 심도 깊이 다루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다문화 정책으로는 이와 같은 반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정책도 한국 다문화 사회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없다.

"21세기에도 빛날 20세기 책들"

  • 대한출판문화협회
    • 출판저널
    • /
    • 통권249호
    • /
    • pp.16-17
    • /
    • 1999
  • 새로운 세기를 앞둔 이즈음 세상에는 희망과 불안이 교차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지성사적인 공황은 다가올 21세기를 한층 어둡게 만들고 있다. "출판저널"은 21세기에도 여전히 그 빛을 발할 20세기의 고전을 뽑아 21세기로 가는 길목을 밝히는 가로등으로 삼고자 한다. 국내 각 분야 지식인 100인에게 비전공 분야를 포함한 15종씩 추천받았다. 3번 이상 중복추천된 양서 94선, 2번 이상 추천된 국내서 36선, 모두 130선을 소개한다. 한 저자의 책이 여러 종 추천된 경우 2회 이상 추천된 책만을 소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국내 번역된 책은 번역된 제목을 우선으로 했고, 미번역작은 원제를 달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