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원 추천의향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의 여행경로에 따른 탐방특성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on Visiting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ravel Routes of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s Visitors)

  • 심규원;장진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33
    • /
    • 2018
  •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여행경로에 따른 탐방특성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해 국립공원 탐방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한려해상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 총 671명이고, 현장조사 기간은 2017년 3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봄, 여름, 가을 3차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주요내용은 탐방특성(방문동기, 여행경로, 탐방 소요시간, 참여활동 등)과 만족도(탐방 만족도, 재방문의향, 추천의향) 등이며,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려해상국립공원만 방문하는 단일목적지의 탐방객이 한려해상국립공원 이외에 다른 여행 목적지가 있는 다목적지의 탐방객보다 방문동기 중 건강증진, 휴양 휴식 치유를 위한 동기 항목에서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에서 국립공원까지 오는데 소요된 시간은 단일목적지 방문객이 다목적지 방문객 보다 소요시간이 적게 나타났다. 한려해상국립공원만을 방문한 단일목적지 탐방객의 탐방 후 만족도 평균값은 다목적지의 탐방객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재방문의향 및 추천 의향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원관리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1·2기 신도시 공원 이용자의 만족도와 인식 분석 (Satisfaction and Perception Analysis of Parks of the 1st and 2nd Generation New Towns)

  • 김영민;허윤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17
    • /
    • 2024
  • 본 연구는 1, 2기 신도시를 대표하는 9개의 공원을 대상으로 공원 이용자들의 행태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새로운 신도시 공원의 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도시 공원 이용자들은 주로 휴식, 산책, 운동 등의 목적으로 공원을 방문하며, 가족, 혼자, 친구와 함께 방문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주로 1-2시간 이내로 공원을 이용하며, 대부분 도보로 공원에 접근한다. 또한, 공원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특히 도보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원 시설 중 보행시설, 수목 및 식재, 수경시설, 휴게시설, 문화시설 등이 공원의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시설과 운동시설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으며,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NPS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공원 이용자들은 공원을 추천할 의향이 높으며, 특히 광교호수공원과 동탄센트럴파크와 같은 특정 공원의 추천지수가 높았다. IPA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공원의 보행시설과 수목 및 식재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은 반면, 놀이시설과 운동시설은 상대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시설로 분류되었다. 이를 토대로 각 시설의 개선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원 이용자들의 불만 사항을 파악하여 보다 나은 공원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도시 공원의 계획 방향에 대해서는 선형적인 형태의 보행이 편리한 공원이 가장 선호되며, 자연적인 지형과 숲이 보존된 산지 공원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3기 신도시를 포함한 향후 신도시 공원의 계획에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보행과 접근성에 초점을 맞춘 형태의 공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