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원관리방안

Search Result 31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Study of the Application of VQA Deep Learning Technology to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Parks - Analysis of SNS Images - (도시공원 운영 및 관리를 위한 VQA 딥러닝 기술 활용 연구 - SNS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

  • Lee, Da-Yeon;Park, Seo-Eun;Lee, Jae 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5
    • /
    • pp.44-56
    • /
    • 2023
  • This research explores the enhancement of park operation and management by analyzing the changing demands of park users. While traditional methods depended on surveys, there has been a recent shift towards utilizing social media data to understand park usage trends. Notably, most research has focused on text data from social media, overlooking the valuable insights from image data. Addressing this gap, our study introduces a novel method of assessing park usage using social media image data and then applies it to actual city park evaluations. A unique image analysis tool, built on Visual Question Answering (VQA) deep learning technology, was developed. This tool revealed specific city park details such as user demographics, behaviors, and locations. Our findings highlight three main points: (1) The VQA-based image analysis tool's validity was proven by matching its results with traditional text analysis outcomes. (2) VQA deep learning technology offers insights like gender, age, and usage time, which aren't accessible from text analysis alone. (3) Using VQA, we derived operational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city parks. In conclusion, our VQA-based method offers significant methodological advancements for future park usage studies.

The Development of Park Analysis Indicators and Current Status: A Case Stud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공원 분석 지표 개발 및 현황 분석: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Hwang, Jae-Yeon;Gwak, Seung-Yeon;Kim, Sang-Kyu;Park, Min-Ju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1
    • /
    • pp.99-112
    • /
    • 2022
  • There is growing significance in securing urban parks and enhancing their accessibility due to irrational residential developments and apartment construction. Accordingly, Daejeon Metropolitan City has carried out urban park management projects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ks and create new parks. Daejeon Metropolitan City generates and manages park data for the purpose of management by the administrative district. However, these datasets take different forms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his study integrates the park data in Daejeon, generated by administrative districts, into the same format and generate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with the area information of each park for analysis. Analysis results show that urban parks are severely imbalanced across administrative districts, requiring new policy measures. In addition, by normalizing the park analysis results and, then, creating their rankings, this study compares them with the actual park information in detail to confirm the soundness of the dataset. The analysis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urban parks. This study proposes integrated datasets and the continued management of them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by including essential data that can feature the objective information of the parks along with park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National Park Management Strategies under Social Change (사회적 변화에 따른 국립공원 관리 전략)

  • Hong, Sung-Kwon;Kim, Seong-Il;Doh, Min-Sun;Hwang, Yeong-Hy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1
    • /
    • pp.10-22
    • /
    • 2004
  • 우리나라 국립공원은 좁은 공원면적에 비해 높은 이용도와 인력 및 재원의 부족, 공원별로 특화된 계획 부재로 인해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주5일 근무제 가 확대시행 된다면 국립공원 방문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에 대비한 관리전략의 수립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주5일 근무제 정착에 대비해, 국립공원 이용자들의 선택행동에 영향을 주는 속성별 수준의 종류와 영향력 정도를 파악하고 관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해, 자인자원의 보전과 이용자 만족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5대 대도시에 거주하는 1,0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conjoint choice model로 분석한 결과, "휴무일수의 증가"는 국립공원 방문의도와 정(+)의 방향을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속성별로는 "환경교육" 과 "연계 관광"은 모든 수준에서, "공원 내 숙박시설”과 "관광여건", "비용"의 일부 수준에서 '현재상태' 보다 선호가 증가했지만 "자연보호"는 선호 증가가 없었다.

Visitors' Perceptions on Trail Use in Korean National Parks -Case Studies in Bukhansan and Chiaksan National Park- (국립공원 탐방로 이용에 대한 이용객 인식 -북한산, 치악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Yoo Ki-Joon;Kwon Tae-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8 no.4
    • /
    • pp.437-44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visitor and trail use data for developing trail management strategies in Korean national park system.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n at two different national parks(Bukhansan and Chiaksan National Park). As for the results, root and rock exposure on the trails and trail width expansion were perceived as major types of trail impact. In addition, majority of respondents pointed to construct or maintain facilities on steep paths and repair trail surface as for the priority of trail maintenance. In conclusion, the priority of trail management and maintenance has to be differently determined based on each trail conditions because visitor impacts on the trails vary along with site-specific and activity-specific differences. Findings of the study expect to be used as fundamentals in trail management strategy making for Korean national parks.

국립공원 내 야영장 활성화방안 -설악산국립공원 내 설악동지구를 중심으로-

  • 김미진;홍미정;조태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1-54
    • /
    • 2004
  • 야영은 자연과의 밀착된 접촉으로 건전한 야영생활을 경험할 수 있으며, 교육적인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우호적인 인간관계를 맺고 자연환경교육뿐만 아니라 신체를 단련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 활동이다. 그러나 국립공원 내 야영장은 시설의 문제, 이용자들의 행태와 인식의 변화, 관리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야영장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따라 향후 흥미로운 환경교육의 장으로써 그 역할이 기대된다.

  • PDF

Management Guideline of Trail in National Park Using Analysis of Excercise Load - At Soraksan Nat'l Park and Kyeryongsan Nat'l Park - (운동강도 평가를 이용한 국립공원 등산로의 관리대책 - 설악산국립공원과 계룡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 이준우;박범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4
    • /
    • pp.469-479
    • /
    • 1998
  • This study was aimed to predicting the exercise load in mountain climbing related physical condition of trail, and to propose a capability of user management. It appeared that exercise load in mountain climbing was mainly influenced by the slope of trail and weight of load. It thought that the trails of steep area could be controled the use of person who have a low athletic power as a propose the exercise load index by age.

  • PDF

Exotic Plants and Conserv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가야산국립공원의 외래식물 및 관리방안)

  • Lim Dong-Ok;Hwang In-Ch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0 no.3
    • /
    • pp.281-28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atus and environmental index of the naturalized plants and exotic plants In the 16 sites in Gayasan National Park from March to October 2004. The exotic plants were recorded as 88 taxa, 39 families, 72 genera, 82 species, 5 varieties and 1 form. The naturalized plants among the exotic plants were certified as 47 taxa. The Naturalized Ratio (NR) was 4.06% and the Urbanization Index (UI) was 17,74% in area of Gayasan National Park. The naturalized plants were distributed around the region that had accepted artificial disturbance however, it was so difficult to identify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conserved area as well as natural vegetation without artificial turbulence. The naturalized plants appeared as almost all speciesas 37 taxa (72%) which both originated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Although a national degree for integrated management plans of exotic plants is needed, distribution and steady management of exotic plants in Gayasan National Park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conservation and protection of natural species.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

Effect of the Private-Initiated Park Development Project on Ecosystem Services of an Urban Park - Focused on the Central Park in Gwangju, Gyeonggi-Do -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도시공원의 생태계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광주시 중앙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 Gim, Do-Yun;Seok, Young-Sun;Chon, Jin-H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4
    • /
    • pp.31-45
    • /
    • 2023
  • As the Private-initiated Park Development Project (PPDP) is being actively implemented,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deterioration of ecosystem services due to the development of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PPDP on the ecosystem services of urban parks by examining Central Park, which is PPDP No. 1 in Gwangju, Gyeonggi-do. A study was conducted using system thinking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ecosystem services due to the PPD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rst reason for implementing the PPDP was the local government's lack of financ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reation of urban parks through the PPDP initially deteriorated cultural services yet improved them over time, while the regulating and supporting services continued to decline. Third, trade-offs appeared between urban parks' ecosystem services (i.e.., cultural services, regulating services, and supporting service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for planning and managing urban parks that can reduce the trade-off between the ecosystem services of urban pa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hanges and ecosystem services over time when establishing urban park creation plans and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