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영주택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8초

평면유형 변화로 본 공영단독주택의 근대적 변용 (A Study on the Modern Transformation on Public Residential Houses through the Changes of Plan Types)

  • 유재우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2호
    • /
    • pp.95-114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premise that plan types of the public residential houses proposed after the 1945 implicatively showed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modern hous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created through the developing process were analyzed in Micro-Historically. Moreover, by providing a new viewpoint on the changes of the residential houses that occurred around 1945, we tri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research background for the research on the developing processes of the future housing cultures. The research pursued mainly on the major spaces that became the modern change indices of housing plan changes from the traditional housings in 1940s to the modern housings such as the master bedrooms(An-Bang), kitchen, the main floored-space(Maru), and the secondary bedroom (Kune-Bang). The major experimental subjects are the 87 public residential plan types designed and supplied by the Korea Housing Cooperation in between 1945 and 1970. The study synthesized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public residential houses from the traditional residential houses in 1940s through modern situation and intrusion of foreign housing cultures.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study: First, various and experimental housing plan types had been proposed as public residential houses since 1945. Among them, the plan having the main floored-space(Maru) were the representative type of public residential houses and various series of hous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is type. Second, the main floored-space(Maru) type had continued building connection order of the R-M-R that were used in the traditional houses. On the other hand, with decomposition of connecting ring between the main floored-space(Maru) and the kitchen, rationalization of women circulations and introduction of family-centered spaces had been resolved the demands of modern society. It had greate effect on settlement of the current double-row Maru plan type. Third, in Korea most of plan types for the public residential houses were proposed in between 1945 and 1965. Forth, the location of kitchen and relation between Maru and the master bedroom were arranged visually on the corner and center of the rear row with the micro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residential houses. In this process, the front row was similar with traditional residential houses but the rear row was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with expansion of Maru and Ondol rooms, increase of closet spaces, and introduction of kitchen that divided spaces for sleeping and eating.

  • PDF

지방자치단체의 토지개발사업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L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 System in the Local Self-Government)

  • 황의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1-122
    • /
    • 1999
  • 최근 우리나라의 토지문제가 야기된 원인은 무엇이며, 그 해결책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토지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원인으로서 대체로 토지자원(특히 우리나라의 토지문제를 거론하면서)의 한계성을 지적하다. 지방공영개발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의 주체가 되어 토지개발과 주택건설이 임무를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의 장점은 종래처럼 한국토지공사가 택지만 개발하고, 대한주택공사가 주택만 건설하는 데서 빚어진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간의 잦은 시비와 마찰이 지역주민들에게 곧 지역불만으로 이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지방공사나 지방자치단체가 택지개발, 주택건설 및 공공시설의 공급 등을 일원화할 수 있게 된다.

  • PDF

공영개발에 의한 이주민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of Immigrant by Public Land Development)

  • 전병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21-28
    • /
    • 2013
  • 본 연구는 충북 청주 율량2지구 택지개발사업과 행정중심복합도시사업에 의한 이주민 361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의 주거만족도 수준은 5.35(SD=1.33)로 조사되어 보통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의 수준을 살펴보면, 물리적 시설 영역(M=2.99)과 주거환경 영역(M=2.97)은 보통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택환경 영역(M=2.84), 개발에 대한 신뢰 영역(M=2.77)은 보통수준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연령, 가구형태, 거주 기간, 건강상태, 자가 여부, 주거만족도 관련 요인의 주택환경 영역, 물리적 시설 영역, 주거환경 영역, 개발에 대한 신뢰 영역 등이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이주민의 주거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주자 생활대책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SH공사 문정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Living Measure System - Focused on SH'Moonjung Project -)

  • 박용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505-1511
    • /
    • 2012
  •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주택, 공장, 공공용지 등 대량의 토지수요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손실보상도 재산권보상에서 생활권보상으로 변화되어왔다. 본 논문은 실무상 생활대책제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개선방안으로 첫째 토지보상법상 생활대책제도의 규정화, 둘째 양봉업과 같은 보상에 대한 요건 강화, 셋째 우선고용이나 취업알선, 직업훈련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생활대책은 공영개발사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공동주택 주차공급 및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arking Supply and Management Strategics for Multi-Family Housing Sites)

  • 안정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1-53
    • /
    • 1999
  • 공동주택 입주자들의 자동차 보유율의 급증으로 인한 공동주택 단지에서의 주차란에 대하여 정부에서는 그간 주차장 공급강화 정책으로 일관하였다. 하지만 주차장 공급강화는 기존 공동주택에서의 주차란 완화보다는 신규 공동주택 주차장 공급에 치중되어 있으며, 일률적 공급규정은 다양한 개발여건에서의 주차 수요에 대처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공동주택 단지의 녹지 면적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차량을 보유치 않은 입주자와 차량을 2대 이상을 보유한 입주자들과의 주차장 사용 형평상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지하 주차장 건설에 따른 주택원가 상승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여 저소득층의 주택구매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공동주택 단지에서의 다양한 주차장 공급 및 수요관리방안 분석을 통하여 다가오는 21세기의 국내 공동주택 주차장 정책 방향을 제시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전국의 공동주택에서는 도시규모, 주택평형, 단지규모, 준공년도 변화에 차이 없이 다양한 주차공급방식 도입, 주차전용제 실시, 1가구 2차량 주차 이용료부과, 단지내 주차장 증 가 및 단지주변 민영·공영주차장 활성화 외부차량 불법주차단속 강화를 통하여 현재의 공동주택 주차란에 대처하기를 원하고 있다. 특히 주차란이 매우 심각한 중형 및 소형 공동주택과 중소도시 소재 공동주택에서는 대도시 소재 공동주택 및 대형 공동주택보다 지자체에 의한 다양한 주차장 공급방식 적용과 철저한 불법주차단속을 통하여 현재의 주차란에 대처하기를 적극적으로 원하고 있어 주택규모 및 도시규모 변화에 따른 차별적 공동주택 주차장 공급 및 관리방안시행이 요망된다.

  • PDF

1960년대 초 서울 신흥 주거지의 단독주택 세 유형 비교 (A Comparison of Urban Detached Houses in Seoul's New Housing Quarters in the Early 1960s)

  • 전남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103-112
    • /
    • 2014
  • This study explores the typology of the urban detached houses in the new housing quarters that were created in the process of Seoul's urbanization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It analyzes and compares the urban tissue and space allocation set when the new urban residential area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different methods of production.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ousing built in the same time of 1960s, this study aims to deduce why a specific urban detached housing type was selected as an influential housing prototype and how this spread in later generations. Case study sites selected for this study include: the new Urban Hanok towns of Yongdu-dong, filled with mass Urban Hanoks built by housing developers; the single-family detached housing district of Myunmok-dong, filled with individual dwellings built by private builders; and the housing complex of detached houses in Suyu-dong, developed by government-sponsorship during the early 1960s. Each case examines the following: first, the difference in housing typology allocation according to urban tissue; second, the difference in spatial composition and arrangement within plo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ifferences in typology occur depending on which of the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technical factors was preferentially considered in forming urban tissue and allocating buildings in each residential area.

광복전후(光復前後) 공영주택(公營住宅)의 평면비교(平面比較)와 변화특성(變化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Standard Housing Unit Plan before and after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 Occupation)

  • 유재우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35
    • /
    • 2002
  • Even though there have been greate changes in the types and contents of the housing plan in Korea since the Modem age, it seems that the identity of traditional dwelling culture is still remains within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in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Standard' Housing Unit Plan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unit plans in housings built on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those built after the period. From the study, we can conclude as follows: 1. The public standard housing unit plans on both periods have shown the common features in the composition of their physical forms in the way that the front-row area still remains the traditional housing culture and the rear-row area reflects the desires of the modem lives. The structure of the dual-row unit plan appeared in the public standard housing plan was caused by the cultural acculturation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2. The public standard housing unit plans, however, show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and meaning in units plans with the them of the Japanese housing because of the cultural differences. These differences took placed autonomously through the change of housing plans in the modern time, and have the common features such that 1) the changes in the Maru-centered plan type differ in composition from the inner-corridor plan type used Japanese housing, and 2) the composition of the open-inner spaces in the double-row housing plan reflects the single-row outer open space In the traditional housing. All of these cultural progresses in the public standard housing unit plans was took place as the result of the inner-oriented and notional circulations derived from the modernity. However, the transformed unit plans still contains the identity derived from the vari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building elements such as Maru and Ondol. In other words, those are the Maru-centered and composed housing plans with juxtaposition of the inner block and the outer block. As the conclusion, though the public standard dwelling unit plan has the similarity in the physical form, it is different in the cultural Identity and meaning from the public standard plans before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 occupation.

  • PDF

일본의 농촌 정주촉진 지원 정책 : 시마네현을 중심으로 (Policy for Rural Population Growth in Shimane, Japan)

  • 황정임;최윤지;조영숙;원지윤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8-98
    • /
    • 2009
  •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 및 그에 따른 지자체의 위기의식이 심화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지역마다 각종 인구 늘리기 시책을 실행하고, 중앙에서 도시민 농촌유치 프로그램 지원 시범사업을 기획하는 등 지역 발전의 기본 요건이 되는 인구 감소의 해결을 위한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일본의 정주촉진 정책 사례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 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시마네현은 일본 혼슈의 동해 연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6707.26km^2$의 면적에 약 74만 2천 명의 인구(2005)가 살고 있는 지역이다. 시마네현의 총 토지면적 중 약 80%가 산림면적이며, 경지면적은 41,000ha로 약 6%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논이 80%를 차지하여 논농사 중심의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풍요로운 수산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어업활동도 활발하다. 이러한 시마네현에서는 UI턴의 촉진을 위해 '산업체험사업'을 1996년부터 시행하고 있는데, 농림어업에 관한 산업체험을 실시하고, 체험 후의 거주지로 빈집을 활용하는 사업이다. 현 외 거주자가 시마네현 내에서 일정시기 산업체험을 하고자 할 경우, 월 50,000엔이 지급되며, 거주지 확보가 어려울 경우 트레일러하우스나 빈집활용주택, 공영주택 등을 임대해주고 있다. 또 시마네 현 내에서 30세 미만의 청년 미취업자가 일정기간 산업체험을 실시할 경우, 체험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제공해주고 있다. 그간의 실적을 보면 연간 평균 105명이 체험에 참가하고 있으며, 2000년 이후 정착률은 50%를 넘고 있다. 총 259개의 체험 장소에서 월 평균 4명이 참가하고 있으며, 업종별 참가자수는 농업 및 기타(관광, 전통공예), 어업, 임업, 축산업의 순서로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마네현의 고츠시에서는 '도시와의 공생 교류' 실현을 위한 9가지 중점시책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농산어촌의 취락을 유지하는 것이 첫 번째 중점시책으로서 이를 위해 빈집을 활용한 정주와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거 정보를 수집, 관리, 웹을 통해 제공하고 있으며, 농지 유동화 및 농림수산물의 직거래 시스템 확립에 주력하고 있다. 이 밖에도 UI턴자 확보를 위해 지역에서 살고, 일하고, 즐기는데 대한 일체적인 정보 제공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으며, '고향교육'을 통해 지역에 대한 애착심을 기르는 동시에 지역에서의 취업 지향을 높이는데 힘쓰고 있다. 농촌 정주촉진을 위한 사업 내용면에서는 일본과 우리나라 간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사업에의 의지와 방향 설정, 사업 추진체계 및 운영방식 등에서 발견되는 차이를 주시함으로써 농촌 지역 인구 증가에 보다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정책으로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 PDF

청주시 주차장의 공간적 분포 패턴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Parking Lots in Cheongju City, Korea)

  • 손선미;한주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37-356
    • /
    • 2002
  • 청주시 주차장의 공간적 분포 패턴은 상업.업무기능이 집중된 도심에서 동심일 패턴이 주변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운영주체별 주차장의 분포는 도심에 공영.민영.건축물 부설 주차장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그 인접지역은 공영.건축물 부설 주차장이 분포하고, 선형상으로 공영주차장, 민영.건축물 부설 주차장, 건축물 부설 주차장이 분포하고 있다. 시설구조에 의한 주차장 분포는 청주시 반 이상이 건축물 부설 자주식 주차장을 가지며. 도심에는 건축물 부설 자주식, 노상평면 자주식, 건축물 부설 기계식, 노외평면 자주식 등이 결합된 다양한 주차시설 구조를, 도심 인접지역과 주변지역은 동심원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또 계약형태별 주차장의 분포는 도심을 중심으로 남서부로는 시간제 지불과 월별 지불의 주차장이. 북동부에는 무료주차장이 주로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차장의 공간적 분포 패턴은 사업체와 주택의 지역적 분포를 잘 반영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유럽의 화재보험 관계법령 소개

  • 이우이
    • 방재와보험
    • /
    • 통권46호
    • /
    • pp.73-75
    • /
    • 1990
  •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의 손실을 예방하고 신속한 재해복구와 인명피해에 대한 적정한 보상을 하게 함으로써 국민생활의 안정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1973년 2월 6일 법률 제 2482호로 공포된 "화재로 인한 재해보상과 보험가입에 관한 법률"에 의거 서울특별시, 5개직할시 및 전주시에 소재한 특수건물(4층 이상건물, 국유건물, 교육시설, 백화점, 시장, 의료시설, 흥행장, 숙박업소, 송장, 송동주택 등) 소유자는 "신체손해배생 특약부 화재보험" 에 의무적으로 가입토록 되어있다. 이밖에도 국가저액적으로 또는 국민 복지증진을 위하여 많은 종류의 의무보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위 법률과 유사한 사례로 국내에는 "항공운송 사업진흥법" (제7조), "산림법" (제113조)에 보험가입에 대한 의무규정이 있다. 일본 동경해상화재보험(주)에서 발간한 "손해보험과 시장"과 영국에서 발간한 "Handbook of risk management"에 의하면 거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책임보험등 의무보험제도를 실시하고있으며, 특히 스위스, 서독, 벨기에, 아이슬란드, 브라질에서는 특수건물 화재보험과 유사하게 건물에 대한 의무보험제도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들 국가중 스위스에서는 이미 180여년전부터 26개 주 중 19개 주에서 모든 건물에 대하여 화재보험 가입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그 수용동산까지도 화재보험에 부부토록 강제화되어 있는 주도 있다. 한편 서독에서도 오래전부터 건물의 화재보험 가입을 의무화하고 있는 주가 많으며, 의무화를 실히하고 있지 않은 주도 보험가입은 임의적이나 가입시에는 반드시 주가 지정한 공영건물보험기관에 가입토록 하는 독접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의 의무보험 실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기 위하여 스위스 바젤주(Basel- Stadt- Kantons)의 건물보험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