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동생활

검색결과 591건 처리시간 0.022초

공동주택단지 내 거주자의 거주위치와 옥외생활공간 만족도의 상관관계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 of Dwelling-Location with Satisfaction-Level in Multi-family Housing)

  • 김진우;오세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9-27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dwelling location and the satisfaction level, and suggest a proposal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livability space. A first of this study began from public surveys conducted to gather the information of satisfaction level from 4 multi-family housing sites in Gwang-ju. The plan wa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S(livability space). The poll and the observation investigation was run concurrently. The cross analysis and the frequency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s. The validity of fixed quantitative index was got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result of former analysis and index of livability space. The result said that the dwelling location have 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 conclusion, this will be a suggestion of the methods to enhance equal-quality of the livability space.

  • PDF

융통성 증대를 위한 병동부 공동생활공간의 공간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principles of enhancing flexibility in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interpersonal and community space of hospital ward)

  • 안승호;이정만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53-62
    • /
    • 2009
  • Healthcare facilities undergo substantial renovation and remodeling to accommodate changing technologies and regulatory requirements, thereby generating significant quantities of construction-related wastes, and subjecting building occupants to noise, dust, and other health impacting disruptions associated with construction. By designing flexible, adaptive, generic spaces, buildings can better respond to changes imposed by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interpersonal and community space of hospital ward with minimum needs renovation and remodel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design principles of enhancing flexibility in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interpersonal and community space of hospital w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signing interpersonal and community space of hospital ward through ecological flexible design principles with case on interpersonal and community space of hospital ward.

  • PDF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 분담금 산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Improved Methods of Cost Sharing in Apartment Remodeling Projects)

  • 김정원;이동진;이민주;이지형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84-18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d methods for cost sharing in apartment remodeling projects. Case studies on apartment remodeling projects with different plan type were analyzed and compared. Cost sharing estimated by 'proportional rate method' shows similar results estimated by 'return on investment method' in case of similar area ratio of existing plan to remodeling plan. Otherwise cost sharing estimated by 'proportional rate method' shows great differences comparing the results estimated by 'return on investment method'. Although return on 'proportional rate method' is widely used, it is not proper to estimate cost sharing when each householder's contribution for the project varies, such as considerable differences area ratio of existing plan to remodeling plan. Improved cost sharing method is needed taking into account project con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 PDF

키네틱 원리를 적용한 ICT 기반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리모델링을 위한 전문가 요구조사 (Present Conditions and Needs for ICT-based Elderly Group Home Remodeling by Applying Kinetic Principle)

  • 이진경;문정인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4호
    • /
    • pp.51-60
    • /
    • 202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present conditions and needs for ICT-based elderly group home remodeling by applying kinetic principle. to provide useful planning factor to make elderly housing more suitable for supporting elderly residents remodeling. This study surveyed 20 elderly care assistants and nurses who have employed at elderly group homes and presented them with 7 categories of 44 elderly home remodeling planning elements to check currently existing services in their elderly housing and evaluate their need for each service with regard to their residents' needs.

한국인 생활 속 인삼 문화의 상징성 (Symbolism of the Ginseng Culture in Korean Lifestyle)

  • 옥순종
    • 인삼문화
    • /
    • 제6권
    • /
    • pp.35-50
    • /
    • 2024
  • 문화는 한 사회가 오랜 시간 동안 공동체 내에서 공유하고 전승해오고 있는 행동 양식과 생활 양식을 의미한다. 한국인의 일상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생활 도구, 공예품, 설화, 시문에 들어간 인삼은 한국인의 행동 양식과 생활 양식에 깊이 자리하고 있다. 인삼은 무병장수의 상징으로서 생활 기물과 공예품, 시문에 새겨져 우리의 문화가 되었다. 도자기에 기품있게 그려진 인삼은 조형미와 함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상징으로 그려진 것이다. 산신도에 공통으로 들어간 소품은 불로초(不老草) 인삼으로 수복강녕과 함께 인삼의 신령함에 대한 믿음이 컸음을 보여준다. 떡살, 밥상보, 장식품, 성냥, 부채 등 일상에서 매일 사용하는 생활 도구에 인삼이 새겨진 것은 인삼을 건강과 장수를 염원하는 부적처럼 여겨 가까이 두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떡은 제사, 회갑 잔치, 결혼의례, 생일잔치 등 제례와 잔치에 올리는 음식이었는데 우리 선조들은 신령하고 건강을 상징하는 인삼을 떡에 새기기 위해 떡살에 인삼을 무늬 틀로 만들었다. 가족 공동체 안에서 '기다림과 배려'를 의미하는 생활 기물인 밥상보에 인삼 무늬를 장식하는 둥 생활 기물 중에서도 특히 먹거리와 관련된 생활 도구인 젓가락, 숟가락, 찻잔. 단지 등에서 인삼문양을 많이 찾을 수 있다. 전승되고 있는 인삼 관련 설화(說話)중 가장 많은 것은 효행담으로 인삼은 효의 대표적 상징이었다. 건강을 기원하는 인삼을 선물하며 주고받은 서신과 시문에 인삼은 단순한 약재가 아니라 우정과 은혜를 나누는 귀물(貴物)로 감사의 상징이다. 생활 기물, 예술품, 시문과 서신에 드러난 인삼은 다음과 같은 상징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설화, 민담에서 나타나는 인삼은 부모에게 바치는 효행의 상징이었다. 둘째, 존경하는 스승, 우정 깊은 친구에게 보내는 감사의 표상이었다. 셋째, 생활 기물, 예술품에 새겨진 인삼은 심미성과 더불어 수복강녕을 상징하는 주술적 역할을 했다. 밥상보, 떡살 등 생활 기물에 새겨진 인삼은 무병장수의 기원과 함께 배려의 공동체 정신을 담고 있다.

지상(紙上)블로그 - 협동수업에 대한 도전

  • 송기호
    • 도서관문화
    • /
    • 제52권8호
    • /
    • pp.32-35
    • /
    • 2011
  • 학교 교육과정에서 도서관 교육은 학습 내용과 학습 방법 측면에서 방법적 지식과 사고 능력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즉 새로운 지식의 생산에 필요한 범교과적 학습 능력으로서의 위상을 갖는다. 문제는 이러한 성격이 교과 교육 과정은 물론 학생 일상생활과의 부단한 연계를 통해서 구현된다는 점이다. 즉 학교도서관 교육의 성공을 위해서는 학교 공동체 내에 학교 도서관 중심의 교육 공동체 구성이 필요하다. 학교도서관 정보화와 순회 사서를 포함한 비정규직 자원 봉사자 확산, 다양한 형태의 업무 대행 서비스 그리고 담당교사의 도서관 운영 연수 확대 속에서 자료 조직과 운영의 일부분은 영역 보편성을 띤지 오래되었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중심의 교육 공동체 구성은 도서관 활용수업으로 대표되는 교과의 자원기반학습과의 연계성에 기반을 두고 발전하는 추세이다. 본고에서는 필자가 개발 책임자로 참여하여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와 대구광역시교육청이 공동으로 일선 학교에 보급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동수업용 장학 자료집의 주요 내용과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주거공간의 실내공간별 조도기준을 위한 빛환경 연구 (A Study of Luminous Environment for Standard Illuminance in Residential Areas)

  • 이정은;최안섭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9
    • /
    • 2005
  • 주거공간에서 빛은 인간이 삶을 영위하고 창조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환경요소이다. 특히 현대인들은 많은 시간을 인공적으로 꾸며진 실내환경 속에서 인공적인 빛을 밝히고 생활하는데 익숙해 있다. 현재 주택에서의 빛환경은 공간마다 명시성 위주의 생활행위에만 기준을 두고 있어 평균조도가 증가되기는 하였다. 그러나 주거공간은 다양한 용도와 목적으로 여러 생활행위가 행해지므로 이것에 대응시킬 수 있는 다양한 조도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공간에서의 빛의 본질을 파악하고,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내공간별 빛환경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공동주택의 조명평면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주거조명환경에 적합한 조도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세기 전반 장흥(長興) 노력도(老力島) 대동결(大同契)의 조직과 운영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Daedonggye in Noryeokdo, Jangheung, in the Early 20th Century)

  • 김경옥
    • 역사민속학
    • /
    • 제33호
    • /
    • pp.359-384
    • /
    • 2010
  • 이 글은 20세기 전반 어촌 공동체의 조직과 운영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지역은 전남 장흥군 회진면의 부속도서인 노력도(老力島)이다. 노력도는 농사를 지을만한 평지가 없다. 그래서 예로부터 노력도 사람들은 어업에 종사하여 섬에서 경제생활을 영위하였다. 이러한 노력도 주민들의 생활상을 담고 있는 마을 공동체 조직 문서가 현전한다. 바로 '노력대동계'와 '노력어촌계' 자료이다. 노력도 대동계 문서의 상한연대는 1925년이고, 2009년 현재 계원 67명이 대동계에 참여하고 있다. 노력도 사람들의 주 소득원은 해산물이다. 특히 삼동(三冬)에 생산되는 해의(김)는 육지 사람들의 농사를 대체하는 산물이었다. 노력도의 해의(김) 생산은 1920년대 '부흥발'을 개발하여 크게 증가하였고, 1930년대에 전국 김 생산 1위를 차지할 만큼 전성기를 누렸다. 그 후 1970년대에 노력도 사람들은 마을 토산물을 해의(김)에서 미역으로 교체하였다. 해의(김)와 미역은 마을 공동체 어장인 '마을-땅', '해태장', '미역장'에서 생산되었다. 노력도 사람들은 '해태장'과 '미역장'에서 공동작업 공동분배를 원칙으로 하여 누대로 마을 공동체를 운영해왔다. 20세기 전반 노력도 사람들은 왜 대동계 조직을 필요로 하였을까? 오늘날까지 장기 지속 가능하였던 원동력은 무엇일까? 현전하는 노력도 대동계 문서를 통해 어촌 공동체의 운영 실태를 제시하였다.

공동구내 분무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 Spray Distribution in Underground Culvert)

  • 김엽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83-87
    • /
    • 2004
  • 지하공동구내에는 전력, 통신, 가스 냉 난방배관 등 생활에 필요한 공작물이 수용되어 있다. 미래에 지하 공동구의 사용은 확대되며, 화재의 위험이 증가될 것이므로 미연에 화재에 대비해야 하며, 지하공동구내 최대한의 연소방지효과를 가져오게 할 수 있는 소화시스템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지하공동구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노즐의 분무분포를 해석하고, 이에 따라 지하공동구의 화재안전성능을 확보하고자 한다. 앞으로 화재 및 재해예방을 위해 국내기술로서 국내 환경에 맞은 소화시스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