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기 감염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5초

결핵균의 유전자 분석법으로 증명된 가족 내 결핵 전파 1예 (Use of Molecular Identification Analysis in a Case of Intra-familial Transmission of Tuberculosis)

  • 박의주;김양기;복진현;이영목;김기업;어수택;박영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6호
    • /
    • pp.512-516
    • /
    • 2008
  • 결핵균은 공기를 매개로 전파되고 결핵균에 노출된 시간과 최초의 노출 정도가 전파의 위험을 증가 시키는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활동성 폐결핵 환자와 함께 생활하는 가족 내에서 감염이 현저히 증가하는데 이는 결핵균에 노출되는 기회 및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식적인 접촉자 조사만으로는 흔히 결핵 발생률을 과소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자 조사와 결핵균의 유전형 조사를 병행하는 것이 감염의 위험이 높은 집단을 선별해내고 발생빈도 및 전염경로를 밝히는 데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접촉자 조사와 결핵균의 유전형 조사를 통해 가족 내 결핵균 전파를 증명한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서울시내 종합 병원 공기중의 미생물 분포 (Distribution of Hospital Airborne Microorganisms in Seoul, Korea)

  • Hong, Jun-Bai;Chung, Yun-Hee;Yun hee Chang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
    • /
    • 2003
  • 서울에 위치한 20개 종합병원의 중환자실, 일반병동 입원실, 환자대기실과 병원 실외 4곳 공기중의 일반 세균수와 곰팡이수를 측정하였으며, 기회 감염균을 검출하였다. 97-410 cfu/㎥의 일반세균수와 37-77 cfu/㎥의 진균이 검출되었으며 중환자실이 가장 낮은 미생물의 오염도를 보였으며 환자대기실이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18종의 진균이 분리되었으며 Aspergillus spp.가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Penicillium, Alternaria, Cladosporium 속 등이 검출되었다. Staphylococcus spp. 중에서는 S. haemolyticus와 S. epidermis가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Staphylococcus spp. 중 47%가 중환자실에서 검출되었다.

개별공간의 자외선 살균 시스템 (UV Immune System of Personalized Space)

  • 정기범;최상곤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63-70
    • /
    • 2009
  • The air sterilization systems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n this paper. The goal is to reduce bacteria, mold and viruses in office air by using a UV sterilizer installed inside a partition panel and wall-mounted unit. These systems allow occupants to turn the system on/off and to control the incoming air speed and direction. The partition air sterilization system conditions and sterilizes the air, and then delivers the clean air into the personal task area through the partition panels, which are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under-floor plenum. Room air exits through the return grills mounted on the ceiling. The wall-mounted air sterilization system sterilizes the air, and then delivers the clean air to the personal task area from the wall. In this study a full-size experimental environment i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immunization performance of these air sterilization systems. A typical office space scale is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an optimal system to achieve a sterilized healthy micro-environment. Multiple system parameters, including volume flow rate and velocity of supplied air, were regulated during the experiments. The more air contact these air sterilization systems had, the better disinfection performance. Over 90% of eradication ratios were obtained by these two air sterilization system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systems can efficiently disinfect office air contamination.

Reflective Electro Magnetic Energy(REME)를 이용한 공기살균시스템의 성능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ir Sterilization Performance of A Reflective Electro Magnetic Energy System)

  • 홍진관;임가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8권12호
    • /
    • pp.509-514
    • /
    • 2016
  • From the point of view to prevent airborne infection-related diseases such as H1N1, SARS, and MERS, an actual application of air cleaning and purification systems including technologies like UVGI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Recently,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REME (Reflective Electro Magnetic Energy) developed in the U.S. is applied for indoor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technology to counteract the outbreak of new airborne infections. In this study, an air sterilization performance experiment using REME was carried out. The results verified that air sterilization performance in the case of installing a REME system in a medical center was 31%, namely the number of floating bacteria decreased by 31% after only a five-day operat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culture collections in the REME operating air conditioning systems using nonpathogenic Geobacillus stearothemophilus as a biological indicator decreased maximally to 67%. A field application of REME technology will be useful to prevent airborne infection-related diseases, especially in response to public health crises due to the advent of emerging diseases.

실내 미생물오염 전파방지를 위한 멀티존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ltizone Modeling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Air Borne Contagion)

  • 최상곤;이현우;홍진관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8권11호
    • /
    • pp.933-940
    • /
    • 2006
  • In this study multi-zone modeling program CONTAM 2.4 developed by NIST is used for estimating the air disinfection rate of the interior of a room which is set up the indoor air disinfection system with filter and ultra 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UVGI). Developed models those enable to predict the transmission of air home contagion such as bacteria and fungus generated in our daily life are useful model for designning air cleaning & ventilation system of building. Also, results indicate that these models are enable to compute the real situation that is almost impossible of carrying out experiment in an actual condition due to biohazard problems and suggest that engineers will use these models as a design tool for the future immune building system.

중증 호흡기 감염병 진료를 고려한 음압격리병동부의 건축계획 (A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s for the Negative Pressured Isolation Units Controlling Sever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 권순정;윤형진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45-56
    • /
    • 2016
  • Purpose: The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s in Korea highlighted dramatically the failings of traditional hospital environment for controlling or preventing infections among both patients and healthcare workers. MERS is transmitted by droplets that can be airborne over a limited area. The point should be emphasized that MERS in South Korea was predominantly a hospital-acquired (not a community-acquired) infection, because approximately 93% of MERS cases were resulted from exposure in hospital setting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the design guidelines of negative pressured isolation ward for the sake of proper control of sever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Methods: Literature survey on the design guideline and regulations of airborne infection wards in Korea, Europe U.K. and CDC of U.S. have been carries out. 4 special infection wards in Hongkong, Germany, Japan and Korea have been surveyed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the experiences related to facility design and operations. Results: Operating system influencing the facility design, space organizations of infectious ward including required space and zoning, and circulations of patients, staffs and materials are proposed.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the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the airborne infection ward and relevant regulations. Afterwards in-depth study such as the development of space standards for the single bedroom, locker room and so on could be explored.

감염성 대동맥류에 혈관 내 스텐트 삽입 시행 후 발생한 대동맥-식도루 - 1예 보고 - (Aorta-esophageal Fistula That Developed after Endovascular Stent-grafting of a Mycotic Aneurysm - A case report-)

  • 남진혜;박계현;유재석;이재항;임청;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781-784
    • /
    • 2010
  • 74세 여자 환자가 3개월 전 발열, 오한이 있어 시행한 검사에서 우연히 소낭형 흉부 대동맥류가 발견되어 외과에서 대동맥 내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 받았다. 시술 후 발열, 오한이 지속되었으나 별도의 항생제 치료 및 추적 관찰 없이 지내던 중 토혈이 발생하여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식도내시경 검사에서 스텐트가 삽입된 대동맥류 주변으로 공기-액체층 및 삼출물 저류 소견과 대동맥-식도루가 발견되어 감염성 대동맥류와 이에 합병된 대동맥-식도루가 강력히 의심되었다. 이에 토혈에 대한 보존적 치료와 감염에 대한 경험적 항생제 치료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기존의 스텐트를 제거하고 흉복부 대동맥 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식도는 절제 후 경부 식도-위 문합술로 재건하였다. 술 후 1일째 별다른 문제 없이 인공 호홉기를 이탈하였고, 2일째 일반 병실로 전동되었다. 감염성 대동맥류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혈관 내 스텐트 삽입술 시행 후 발생한 치명적인 합병증인 대동맥-식도루에 대하여 성공적인 수술적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베네수엘라분선충 (Strongvloides venezuelensis)의 충란, 감염자충 및 성충의 실험관 내 배양 (Viability of eggs, filariform larvae and adults of Stronglyloides venezuelensis (Nematoda: Strongyloidea) maintained in vitro)

  • 백병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2호
    • /
    • pp.99-108
    • /
    • 1998
  • 베네수엘라분선충의 충란, 자충 띤 성충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배양환경에 대한 연구를 수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변 내의 충란은 $4^{\circ}C$ 에서 25일간, 실온에서는 15일간 생존하였으며, 분변에서 분리한 충란은 $4^{\circ}C$의 생리적 식염수에 서 24시간 생존하였으나, 상실배기의 충란은 건조한 공기에 민감하여 12시간 내에 환성을 잃었다. 감염형 자충을 polyvinylbag에 넣어 $20^{\circ}C$에 보관하였을 경우, 분변 물질이 첨가된 0.12% 영양배 지에서는 45일, 영양배지는 28일간 생존하였다 한편, 영양배지에서 배양된 감염 자충은 상수에서 는 32일간, 멸균 식염수에서는 22일간 생존하였다. 인공감염시켜 얻은 성충은 $37^{\circ}C$에서 9일간, 9:1배지 (10% 쥐 혈청을 첨가)와 혈청을 첨가하지 않은 영양배지를 매일 교환하여 주어도 4일동안 밖에 생존하지 못하였다. 성충 암컷은 실험관 내에서 산란하고, 자충으로 부화되었지만 혈청을 첨가한 배지에서도 감염자충으로 발육하지 못하였다.

  • PDF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에서 공압관 내 공기압에 따른 박출량 추정 (Estimation of Stroke Volume Based on Air Pressure in Air Tube with Pneumatic Pulsatile Ventricular Assist Device)

  • 강유민;이진홍;허균;최성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12호
    • /
    • pp.971-974
    • /
    • 2014
  • 심실보조장치는 심장질환자에게 심장이식까지의 가교로서 사용된다.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를 체내에 이식했을 때, 심실보조장치를 통과하는 혈류가 느려질 경우 혈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박출량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실보조장치의 박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각종 센서를 함께 이식할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커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체외에서 측정할 수 있는 공압관 내 압력을 통해 심실보조장치의 상태를 추정하고자 한다. 체외실험을 통해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공압관 내 차동압력과 심실보조장치 박출량의 상관관계를 계산하였다.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0.623 으로 두 값의 상관관계가 높으며, 박출량 추정값과 측정값에서 오차가 있었지만 공기 분자의 이동에 따른 식을 개발하여 박출량 추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세 이하의 소아에서 respiratory syncytial virus의 항원검사에 양성인 하기도 감염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of positive antigen test for respiratory syncytial virus on children under 2 years of age)

  • 정재헌;문경희;이창우;최두영;오연균;윤향석;조지현;김종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394-400
    • /
    • 2006
  • 목 적 : 세기관지염은 영유아에서 흔한 하기도 감염이며 RSV 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다. 그러나 RSV 감염에 대한 능동면역을 이용한 예방은 아직 이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임상고찰은 최근 5년 동안 2세 이하의 어린이에서 RSV 감염에 의한 세기관지염의 임상양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가운데 생후 24개월 미만이며 하부호흡기 감염의 증거가 있는 환아 513명 중 비강 분비물에서 RSV 항원 양성인 소아 127명을 대상으로 하여 흉부 X-선, 임상양상과 기본 혈액검사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간 각 연도별 발생은 2001년에 43례(34%)로 가장 많은 발생을 보였다. 5년 통산 월별 발병은 11월에 37례(29%)로 가장 많았고 매년 늦가을부터 겨울철에 발병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주요 임상소견은 기침이 120례(94%)에서 나타났고 수포음은 78례(61%)에서 청진되었고 호흡곤란과 천명은 각각 27례(21%), 21례(17%)에서 관찰되어 수포음의 청진이 하기도 감염의 주요 소견이었다. 가장 흔한 흉부 X-선 소견은 폐의 과도한 공기음영이었고 110례(87%)에서 관찰되었다. 122례에서 합병증없이 회복되었으나 5례에서 2일간 기계적인 인공호흡 치료가 필요하여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아의 집중관리가 요구된다. 결 론 : 5년간 입원환자로 본 RSV에 의한 하부호흡기 감염은 늦가을과 겨울철에 발병이 많았지만 일년내내 하기도 감염 환아가 발생하였으며, RSV 감염으로 주로 고위험군 소아에서 중한 경과를 취하는 경우가 있어서 RSV 호흡기 감염에 대한 인구를 기초로 한 감시체계와 범국가적인 체계적 조사로 유병률 및 유행에 대한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