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기정화시스템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ir Pollution Risk Prediction System Utilizing Deep Learning Focused on Cardiovascular Disease

  • Lee, Jisu;Moon, Yoo-J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12
    • /
    • pp.267-275
    • /
    • 2022
  • This paper proposed a Deep Neural Network Model system utilizing Keras for predicting air pollution risk of the cardiovascular disease through the effect of each component of air on the harmful virus using past air information, with analyzing 18,000 data sets of the Seoul Open Data Plaza. By experiments, the model performed tasks with higher accuracy when using methods of sigmoid, binary_crossentropy, adam, and accuracy through 3 hidden layers with each 8 nodes, resulting in 88.92% accuracy. It is meaningful in that any respiratory disease can utilize the risk prediction system if there are data on the effects of each component of air pollution and fine dust on oil-borne diseases. It can be further develop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companies that produce masks and air purification products.

A Survey for the Ai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VAC and the Feature of Air Duct Structure in the Train (철도 차량의 HVAC 위치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 및 Air Duct 구조의 특성에 관한 고찰)

  • Jung, Hwa-Sic;Park, Jae-Hong;Yeom, Gyu-Hak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30-1335
    • /
    • 2007
  • The HVAC and the air duct is to make optimal indoor environment. By the HVAC position, method and the air duct construction, the important elements can affect on cooling performance, passengers' convenience, and energy efficiency. According to this, there are features, such as the indoor temperature distribution, cooling performance, velocity distribution from diffuser, tend to be come out variously. Also, comparing and analysing temperature distribution, cooling performance, air velocity, noise based on the real practical vehicle tests, it shows features in detail. Besides, it can lead to make design the system of HVAC & air duct effectively.

  • PDF

Evaluation on the Removel Effect of $PM_{10} and PM_{2.5}$ by Operating the Dust Collection Train and the Washing Train (집진열차 및 살수차운영에 의한 지하철역 미세먼지 농도 저감효과 분석)

  • 김민영;김동일;조기찬;이연수;하광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21-424
    • /
    • 2003
  • 서울지하철은 총연장 286.9km에 1일 4226회의 운행회수 그리고 대중교통수단 중 총 34.1%의 최다 수송분담율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시의 도심교통문제 해결 방안으로 시민들에게 대중교통 이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으나, 지하철 역사의 환경문제는 답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하철내의 먼지문제는 이미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지 오래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에서는 환기시스템의 개선, 환기 및 공기정화시설의 설치 그리고 잦은 물청소실시 등을 시행하여 오고 있어 그간 상당한 효과를 이룬 것도 사실이다. (중략)

  • PDF

Water Quality Improvement Using a Contact Oxidation Canal with Sedimentation Basin (침전접촉산화수로를 이용한 수질 개선)

  • Kim, Won-Jang;Park, Sang-Hyun;Kim, Hyung-Joong;Kim, Tae-Ky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0 no.3
    • /
    • pp.143-149
    • /
    • 2001
  • A contact oxidation canal system with sedimentation basin was installed to study the efficiency of water quality purification. The primary sedimentation basin with 60 min of HRT (Hydraulic Retention Time) included in the system was aimed to sediment pollutants in the water and the deposit being released by the drainage culver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ystem. The oxidation canal aerated by nozzle was to contact the pollutants and oxygen in the surface of plastic filter to purify the water. Discharge, HRT, length of the oxidation canal were $200\;m^3/day$, 90 min, 20 m, respectively.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otal nitrogen was lower compared with other water quality items such as SS, BOD, TP because the anoxic condition for denitrification was not ensured after the oxidation canal. However, $25%{\sim}89.6%$ of SS, $75.0%{\sim}91.5%$ of BOD, $44.3%{\sim}95.3%$ of TP were removed in this system. Overall,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is system appears to have a potential capability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reservoirs or the canals in the agricultural watershed.

  • PDF

Development of Intelligent IoT Exhaustion System for Bag Filter Collector (백필터 집진기의 지능형 IoT 탈진 시스템 개발)

  • Jang, Sung-Cheol;Lee, Jung-Wo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5 no.1
    • /
    • pp.29-34
    • /
    • 2019
  • A bag filter collector is a kind of air purifier that organizes several or dozens of filters to purify fine dust and release clean air into the atmosphere. If the bag filter length is less than 5m, the dust and fume attached to the bag filter could be effectively removed by passing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diaphragm valve through the venturi. Injectors that are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are urgently needed to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for long-bag exhaustion of more than 7 meters. In the case of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injectors, a number of blow tubes were dismantled during maintenance, and the injector and blow tube were combined to pose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inconvenience of work due to weight increase. In this study, injector flow for the development of the best use of interpretation of the coanda effect and the fourth round of industrial technology Intelligent automation of exhaustion, have been engineered energy than standard equipment. lowering costs and filter life to radically improve the commercial studies.

Development of the Biological Oxidation Filter System for Water Treatment (수처리용 생물산화 여과장치 개발)

  • 염병호;정충혁;문정석;최승일
    • Environmental engineer
    • /
    • s.181
    • /
    • pp.70-75
    • /
    • 2001
  • 본 연구는 '99년 7월에 벤처형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으로 신규 계약된 과제로서 상수원수의 전처리 및 하수 2차 침전수의 재처리 공정에 활용될 생물 산화 여과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생물 산화 여과 system은 상수 원수의 전처리, 상수도의 고도정수 처리, 하수 및 폐수처리에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물리적 여과기능과 포기 과정을 통한 산화 기능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분해 및 자연정화처리환경을 유지하여 수질이 악화된 상수도의 전·후처리나 하.폐수의 3차 처리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생물 산화 여과 시스템은 여과지의 하부 장치에 균등한 공기(산소)공급시설을 하여 여과층에 연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여과를 함으로서 생물막 여과 및 산화 기능으로 유기물질, 철, 망간 등을 제거하고 공기의 부상력에 의하여 조류, 부유물질, 냄새 등을 동시에 제거하는 System이다. 현재 상수처리 공정으로서의 생물 산화 여과지 개발을 위해 Bench-scale과 semi-pilot plant를 거쳐 Y시 M취수장애 pilot plant를 설치하여 연구를 진행중에 있으며, 또한, G시 G하수처리장에 하수처리 공정에 관한 연구를 위해 pilot plant를 설치하고 하수 3차 처리와 저농도 하·폐수 처리를 중심으로 연구중에 있다. 아래의 연구 결과는 정수처리 공정 연구를 위한 Bench-scale plant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치이며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는 주로 정수처리 공정 중심으로 이루어 졌으나 pilot plant에서는 정수 및 하수처리에서의 생물산화여과공정의 연구가 진행중이다. 현재 연구가 진행중이므로 각 인자별 최적운전조건 등은 계속적인 실험과 연구를 통해 찾아지겠으나 현재까지 수행된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볼 때 생물산화 여과장치는 탁도, SS, VSS 등의 제거에 탁월한 효능을 보이고 있다. 수처리용 장치로서의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NPOC, DOC 제거에도 뛰어난 효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정수처리 공정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동절기 암모니아성 질소제거 또한 큰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 동안 외국기술에 전면 의존해 오던 생물 산화 여과방식의 국내개발은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국내 실정에 맞는 기술개발이라는 점에서 향후 그 적용 범위를 넓혀 갈 수 있을 것이다.

  • PDF

Evaluation for Soil Moisture Stabilization and Plant Growth Response in Horizontal Biofiltration System Depending on Wind Speed and Initial Soil Moisture (풍속과 초기 토양수분에 따른 평면형 바이오필터 내 토양수분 안정화 및 식물 생육반응 평가)

  • Choi, Bom;Chun, Man Young;Lee, Chang Hee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7 no.5
    • /
    • pp.546-555
    • /
    • 2014
  • The final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iofiltration system integrated with plant vegetation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effectively depending on indoor space and characteristics. However, to approach this final goal, several requirements such as constant pressure drops (PDs) and soil moisture contents (SMCs), which influence the capacity design for a proper ventilation rate of biofiltration system, should be satisfied. Thus, this fundamental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adjust a proper wind speed and to ensure a stabilization of initial SMCs within biofilter for uniform distribution of SMCs and PDs, and for normal plant growth, especially avoiding root stress by wind. Therefore, we designed horizontal biofliter models and manufactured them, and then calculated the ventilation rate, air residence time, and air-liquid ration based on the biofilter depending on three levels of wind speed (1, 2, and $3cm{\cdot}s^{-1}$). The relative humidity (RH) and PD of the humidified air coming out through the soil within the biofilter, and SMC of the soil and plant growth parameters of lettuce and duffy fern grown within biofilter were measured depending on the three levels of wind speed. As a result of wind speed test, $3{\cdot}sec^{-1}$ was suitable to keep up a proper RH, SMC, and plant growth. Thus, the next experiment was set up to be two levels of initial SMCs (low and high initial SMC, 18.5 and 28.7%) within each biofilter operated and a non-biofiltered control (initial SMC, 29.7%) on the same wind speed ($3cm{\cdot}sec^{-1}$), and measured on the RH and PD of the air coming out through the soil within the biofilter, and SMC of the soil and plant growth parameters of Humata tyermani grown within biofilter. This result was similar to the first results on RHs, SMCs, and PDs keeping up with constant levels, and three SMC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plant growth parameters. However, two biofiltered SMCs enhanced dry weights of the plants slightly than non-biofiltered SMC. Thus, the stability of this biofiler system keeping up major physical factors (SMC and PD) deserved to be adopted for designing an advanced integrated biofilter model in the near future.

Wet Chemical Process for Improving Air Quality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반도체 생산공정의 대기질 개선을 위한 복합 대기오염물의 습식화학 제거공정)

  • Jun, Chang-Sung;Kim, Hak-Ju;Park, Young-Moo;Lee, Dae-Won;Ham, Dong-Suk;Jeon, Sang-Moon;Lee, Kwan-Young
    • Clean Technology
    • /
    • v.13 no.2
    • /
    • pp.109-114
    • /
    • 2007
  • In this study, we performed basic researches to develop wet purification system for improving air qualities of ventilation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Using 0.5 M aqueous solution of $KMnO_4$, 50 ppm of $NH_3$, SOx and NOx were reduced to 99% successfully. However, the removal of $O_3$ was limited to $22{\sim}30%$ for all the tested chemical solutionsincluding $KMnO_4$. Therefore, adoption of a dry ozone filter is necessary to reduce $O_3$ below a satisfactory level. For all the chemical solutions tested, NOx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as NOx was mixed with $O_3$. As chemical solution was sprayed using water spraying system equipped with air atomizing type nozzle, the removal efficiencies of gaseous pollutant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gas-liquid interfacial area.

  • PDF

A Study on the Circulat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Oxygen Solubilization and Diffusion Device (산소용해수와 확산장치를 결합한 순환형 수질정화 장치의 검증)

  • Ahn, Chang-Hyuk;Song, Ho-Myeon;Joo, Jin-Chul;Lee, Yeon-Ku;Kim, Il-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8-318
    • /
    • 2011
  • 자연수를 가압(4~5기압)하면서 물과 공기의 비를 4:1~3:1로 혼합하면 수체 내 초미세기포(Diameter $3{\sim}10{\mu}m$)가 발생하는데 이를 산소용해수라 하며 수질정화시설 또는 양식장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소용해수의 특징은 기포의 비표면적이 넓고 10시간 이상 포화 농도를 유지하여 수체에 잔류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일반 산기석을 활용한 포기나 순산소 용해 등의 타 방법과 구별된다. 산소용해수의 산소전달효율은 기존 방법과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실제 적용시에는 대상수를 이용하여 산소전달계수($K_{L}a$)를 사전에 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 연구원의 안동 수자원 환경실험센터 내 실외형 콘크리트 사각반응수조에 산소용해장치 및 확산장치를 결합한 일체형 시스템을 적용시켜 2010년 9월~2011년 1월의 5개월간 결과를 분석, 본 장치의 $K_{L}a$를 산정 후 수질정화의 활용 면에서 검토하였다. $K_{L}a$의 산정에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나 용존 산소 농도의 제어에 한계가 있는 실외 대형실험장에 적합한 Lewis and Whitman의 Two-film 이론에 근거한 정상포기법을 적용하였다. 체적 $80m^3$의 수조 내에서 현장 유지용수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산소전달계수는 $0.324\pm0.050$/min, 포화농도는 8.64 mg $O_2$/L, 도달시간은 11 /min이 산정되었으며, 이는 기존 산기석 포기의 산소전달계수 범위인 $0.105\pm0.019$ /min보다 약 3.1배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확산장치의 수류 순환 방향 및 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수조에서 1m단위로 격자를 구성한 후 초음파 유속계로 실측한 결과 0.0~2.5 m/s 의 평면적 유속범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체 순환을 고려했을 때 용존산소는 약 8시간 후 8.64 mg $O_2$/L 값에 도달하여 안정화 되었으며, 강한 수류순환과 산소용해수에 의해 하상에 존재하는 퇴적물들의 이송 및 산화촉진을 유도하였다. 이를 근거로 실험수조의 체적과 기준 가동시간인 8시간을 적용시켰을 때, 실험구 수질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COD, T-N, T-P가 모두 25~35% 개선되었다. 이 결과는 여과공정 없이 단순 순환만을 고려한 물리적 수질정화 방법의 단독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며,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SOD (Sediment oxygen demand) 저감 능력을 감안할 때 향후 폐쇄성 수역의 수질관리에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Photocatalysis: From Environmental Remediation to Energy Conversion (환경, 에너지 분야에서의 광촉매 활용기술)

  • Choe, Ji-Na;Kim, Beom-Sik;Gwon, Sun-Il;Yu, Ji-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72.1-72.1
    • /
    • 2013
  • 광촉매 활용 기술은 수질 및 대기 중의 난분해성 오염 물질 처리 등의 환경 분야에서부터 항균 및 초친수성 기능을 활용한 소재 분야, 그리고 태양광을 이용한 물분해 수소 제조 및 이산화탄소의 전환 등의 인공 광합성 연구 분야까지 그 응용분야가 대단히 넓은 기술이다. 본 강연에서는 이러한 광촉매의 반응 원리와 대표적인 응용분야인 환경 정화 분야 및 에너지 분야에서의 광촉매 기술의 활용, 그리고 현재 광촉매 관련 연구 분야의 주요 관심사 및 미래 성장을 위한 과제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광촉매 반응은 반도체의 따간격 에너지 흡수에 따라 전자와 정공(+전하를 가진 전자와 같은 거동을 하는 입자)가 발생한 뒤에 일어나는 계면에서의 전자전달 반응을 기초한다. 발생한 정공과 전자는 각각 산화와 환원 반응을 유발하며 이러한 산화, 환원반응을 통해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환경 정화 분야의 경우, 정공이 물 혹은 공기 속에 존재하는 수분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OH 라디칼 ($OH{\cdot}$)의 강력한 산화력을 주로 이용하게 된다. OH 라디칼에 의한 다양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산화분해 반응을 활용하여 고도처리공정이 가능하게 되며, 수계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의 제거뿐만 아니라 대기 중에 존재하는 VOCs, 악취물질 등의 분해도 가능하며, 아울러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같은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물 분해 수소제조 및 이산화탄소의 전환과 같은 에너지 분야 응용의 경우, 전도대의 전자를 활용한 환원반응에 기초한다. 앞서 언급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광촉매의 종류 또한 매우 다양하며, 이사화티탄(TiO2)는 대표적인 고효율 상용 광촉매이다. 아울러, 원하는 응용 분야에서의 광활성이 높은 새로운 광촉매의 제조 및 평가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 태양광의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가시광 활성을 갖는 광촉매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에, 현재까지 개발된 다양한 가시광 광촉매 시스템에 대한 소개 및 각 광촉매 응용분야에서 최근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이슈들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