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기구멍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4초

저손실 융착접속을 이용한 광자결정 광섬유 간섭계 (Fiber Interferometers Based on Low Loss Fusion Splicing of Photonic Crystal Fibers)

  • 안진수;김길환;이관일;이경식;이상배
    • 한국광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00-20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포토닉 밴드갭 광섬유(Photonic Bandgap Fiber: PBGF) 사이에 중공광섬유(Hollow Optical Fiber: HOF)를 융착 접속시켜 만든 광섬유 간섭계와 넓은 모드 면적을 가지는 광자결정 광섬유(Large Mode Area-Photonic Crystal Fiber: LMA-PCF)사이에 HOF를 융착접속시켜 만든 광섬유 간섭계의 온도 및 스트레인에 대한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PBGF 또는 LMA-PCF와 HOF의 융착접속시 광섬유내 공기구멍을 최대한 유지하도록 융착조건을 최적화하여 접속 손실을 줄였다. PBGF와 HOF로 구성된 광섬유 간섭계의 온도 및 스트레인에 대한 민감도는 각각 15.4 pm/$^{\circ}C$와 0.24 pm/${\mu}\varepsilon$으로 측정되었으며, LMA-PCF와 HOF로 구성된 광섬유 간섭계의 온도 및 스트레인에 대한 민감도는 각각 17.4 pm/$^{\circ}C$와 0.2 pm/${\mu}\varepsilon$으로 측정되었다.

중공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간섭계형 전압센서 (Fiber-Optic Inteferometric Voltage Sensor using a Hollow Fiber)

  • 배정환;박재희;김경찬;김광택;한원택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19
    • /
    • 2008
  • 크기가 작고 감도가 높은 중공 광섬유를 이용한 In-Line 마이켈슨 간섭계형 전압 센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In-Line 마이켈슨 갑섭계는 끝 단면은 단일모드광섬유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끝 단면은 깨끗하게 절단된 지름이 4 um의 공기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길이가 10 mm인 중공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In-Line 마이켈슨 간섭계를 PZT위에 glue를 사용하여 고정시켜 In-Line 마이켈슨 간섭계형 전압 센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센서는 60 Hz의 AC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출력파형의 주파수는 인가전압의 크기에 비례하였다. 그리고 출력파형의 위상은 인가전압의 크기와 거의 선형적인 관계에 있었으며 센서의 감도는 $0.065{\pi}$ radian/V였다.

최대 광밴드갭을 위한 2차원 광결정 구조 (Polarization-Independent 2-Dimensional Photonic Crystal Structure for Maximum Bandgap)

  • 성준호;오범환;이승걸;박세근;이일항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1-265
    • /
    • 2005
  • 광자결정의 밴드갭이 크면서도 모든 편광방향에 대해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면, 이러한 광밴드갭은 다양한 소자의 응용에 있어 보다 유용해 질 수 있다. 현재까지는 원형의 공기구멍으로 이루어진 삼각격자 구조가 가장 큰 광밴드갭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본 논문에서는 각종 구조적 변화에 의한 밴드갭의 변화경향을 분석하고 체계화함에 따라, 모든 편광방향에 대해 광밴드갭이 동일하면서 가장 크게 되는 새로운 격자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구조의 광밴드갭 비율$(\Delta\omega/\omega)$은 기존의 삼각격자에 비해 약 $30\%$ 정도 증대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덕트 및 원탄 선별망 유동 편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Flow Deflection of Duct and Raw Coal Separation Screen )

  • 임세명;박현범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3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동해석을 통해 송풍기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덕트 배관과 원탄 선별망을 통과하며 발생하는 유동 편향을 분석하였다. 공기 유동의 유동 편향은 송풍기 볼류트 형상과 유로의 형상 특성으로부터 대부분 발생하며, 유로 내부의 정류망이나 출구의 원탄 선별망은 강력한 압력 손실을 발생시켜 유동 편향을 감쇠하는 효과를 초래한다. 전산유동해석은 ANSYS CFX 2022 R2를 사용하였으며, 정류망과 원탄 선별망은 작은 구멍 다수가 일정하게 분포되어있는 타공판 형상이기 때문에 실제 모델링을 통한 해석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Porous Loss Model을 적용하였다. 유동 편향의 평가는 전산유동해석 결과의 원탄 선별망 Porous Loss Model의 출구 면에 대한 속도 분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빌딩$\cdot$교통전원설비 -리뉴얼공사의 최신공법-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통권310호
    • /
    • pp.62-66
    • /
    • 2002
  • 오늘날의 빌딩이나 역사(驛舍)는 쾌적함을 위해 조명설비, 공조설비, 위생설비,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방범방재설비, 통신정보설비 등이 잘 정비되어 있으며, 그 기기 모두는 전기로 작동되고 있다. 빌딩이나 교통전원설비의 리뉴얼공사를 하는 데는 어떻게 빌딩과 교통설비의 기능을 정지하지 않고 단기간에 완성하는가가 중요 포인트가 된다. 미쓰비시(삼릉)전기 플랜트건설총괄부에서는 고객니즈에 대한 검토뿐만 아니라 주변지역에 주는 영향도 충분히 조사하여 빌딩이나 철도 역사에 출입하는 사람들의 안전과 일상생활을 배려한 계획을 세워, 그 시공장소에 적합한 공법 개선과 최적의 기자재 공법을 개발하고 추진하여 안전$\cdot$품질을 충분히 고려한 현지시공을 실시하고 있다. (1) 반입공법 빌딩과 교통시설의 전원설비는 고층이나 지하에 설치되는 일이 많고 건물의 성질상, 전용 반입설비가 확보되어 있지 않는 것이 통상적이다. 동사에서는 고소반입용기기 ''뉴톤밸런스''((1))와 계단용반입기기 ''계단승강기''((2))를 개발하여 단(短)공기로 지역주민이나 빌딩 이용자에게 지장을 주지 않는 공법을 채용하여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 설치$\cdot$조립공법 건물 내의 작업은 환경을 악화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저소음으로 배기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전동크레인''((3))과 ''돔보(잠자리)크레인''((4))을 채용하고 있다. 또 소음$\cdot$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는 콘크리트용의 앵커구멍 뚫기장치 ''라구라구(樂樂)드릴''((5))과 앵커타설장치 ''라구라구(樂樂)햄머''((6)) 그리고 앵커강도확인장치 ''라구라구(樂樂)체커''((7)) 등의 기기를 개발하여 작업환경을 향상시켰다. $\divideontimes$ 위의 (1)$\~$(7)과 다음 페이지의 그림 중 (1)$\~$(7)은 대응하고 있다.

  • PDF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한지 섬유질 슬러지의 제거 (Collecting of Hanji Fibrous Sludge with Surfactant)

  • 최희선;김태진
    • 분석과학
    • /
    • 제14권2호
    • /
    • pp.167-172
    • /
    • 2001
  •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한지 섬유질 슬러지를 폐수시료로부터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섬유질 슬러지의 농도가 약 80mg/L 인 실험 시료를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odium oleate를 이용하여 부상시켜 제거하려고 할 때 농도는 10mg/L, 유리필터 구멍크기는 $5-10{\mu}m$, 공기 유속은 200 mL/min이 적당하였다. Sodium oleate는 $Ca^{2+}$ 이온과 같은 다가 양이온에 의해 방해를 받을 수 있는데 $Ca^{2+}$ 이온의 농도가 100mg/L 이하일 경우에는 영향이 없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를 이용하였을 때는 sodium oleate보다 제거율이 좋지 않았으며, 거품도 비교적 많이 생겼다. 전통한지 제조과정에서 분산제로 사용되는 $PAMID^{(R)}$를 실험 재료에 1mg/L 가한 후 CTAB를 1mg/L 가하더라도 섬유질 슬러지들이 매우 잘 엉겼으며 부상시켰을 때 30초 이내에 95% 이상 제거되었으나 sodium oleate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 PDF

제철슬러지 소각로 열교환기에서의 파울링특성 연구 (A Study on the Heat Exchanger Fouling Characteristics of Sludge Incinerator at the IronWorks)

  • 박상일;김정근;김기홍;박용준;조성문
    • 에너지공학
    • /
    • 제12권3호
    • /
    • pp.223-23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제철소의 슬러지 소각로 배가스의 냉각을 위한 열교환기에서의 가스측 파울링 현상의 측정 및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각로 배가스는 열교환기의 수직 전열관을 통과하면서 냉각되며 동시에 연소용 공기를 예열한다. 이러한 열교환기의 파울링은 주로 열교환기 입구에 발생하여, 본 연구에서는 열교환기의 입구 형태와 비슷한 형상의 오염다공판을 사용하여 슬러지 소각로 배가스의 파울링 현상을 측정하였으며, 부착분진에 대한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분진 부착율은 온도와 분진성분 및 분진크기에 영향을 받으며, 또한 오염다공판의 위치에 따라 부착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전산 해석을 통하여 오염다공판의 구멍 크기에 따라 분진부착율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오염다공판을 사용하여 다관식 원통형 열교환기의 입구에서의 파울링 특성을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도체 검사 장비의 챔버 내부 온도 분포의 균일성 개선 (Improvement of the Uniformity of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Semiconductor Test Equipment Chamber)

  • 이광주;정경석;박성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626-3632
    • /
    • 2010
  • 반도체 소자 검사장비 핸들러는 주 검사장비인 테스터에 반도체 소자를 개별 또는 그룹으로 이송하여 테스트 환경을 만들어주고 검사가 끝나면 검사결과를 테스터로부터 전송받아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류해주는 장비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핸들러의 챔버 내부 온도 분포의 균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챔버 덕트의 조절셔터 설치, Heater와 Match Plate 중심위치의 정렬, Match Plate Base의 Hole 크기 및 형상 변경, 온도 센서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핀에 직경 2 mm의 구멍 설치 등의 설계 변경을 하였다. 설계 변경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장비와 설계 개선된 장비 내부의 온도 분포를 32개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기존 챔버내부 온도 분포는 $87.1{\sim}91.5^{\circ}C$ ($90{\pm}2.9^{\circ}C$)이었으나 개선된 챔버 내부 온도 분포는 $89.5{\sim}90.8^{\circ}C$ ($90{\pm}0.8^{\circ}C$)으로 15분 이상 지속 가능하여 챔버 내부의 온도 분포 균일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계 변경 이후의 온도 분포는 $90{\pm}1^{\circ}C$의 범위 내에서 10분 이상을 유지하는 목표를 달성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비디오 흉강경 수술에 적용된 14Fr Blake Drain의 효능 분석 (Efficacy of a 14Fr Blake Drain for Pleural Drainage Following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 최진욱;최호;이성수;문종환;김종석;정상호;안형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59-62
    • /
    • 2009
  • 배경: 전통적으로 흉부외과 수술 후 흉강 배액을 위하여 사용하는 흉관은 굵은 원통형이고 측면에 구멍이 뚫린 반강체이다. 최근 흉부외과 영역에서 보다 덜 침습적인 수술이 증가하고 있어 기존의 흉관 대신 국내에서 자가 제작한 작고 부드러운 14Fr Blake drain을 적용하였다. 흉부외과 수술에 기존의 흉관 대신 사용한 Blake drain의 안정성과 효능을 판단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2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비디오 흉강경 수술을 받은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4Fr 실라스틱 Blake drain을 적용하여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재원기간은 평균 3.26일이었으며 흉관 거치기간은 평균 3.15일이었고 수술 후 배액양은 평균 43.8 mL/day였다. 하루 최고 배액양은 290 mL였으며 배액과 관련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저자들의 관찰 결과 흉통은 일반적인 흉관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흉관 제거 시 발생하는 통증이 적었다. 결론 : 흉부외과 영역에 적용된 작은 Blake drain은 흉수 및 공기 배액에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이었으며 환자들의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습제(燥濕濟)(Art-Sorb)를 이용한 벽부형진열장(壁附形陳列欌) 밀폐도(密閉度) 간접측정(間接測淀) (Air-tightness Test by Silicagel on Museum Cases)

  • 유혜선;김명남;이승은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3권
    • /
    • pp.71-78
    • /
    • 2001
  • 박물관 진열장의 기밀성은 일반적으로 CO2 추적가스를 이용한 밀폐도를 측정함으로서 조사되어 왔지만 진열장 내부에 구멍을 내야하는 점은 사용전이나 사용 중인 진열장에 대한 밀폐도 측정에 적용하는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진열장의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진열장의 밀폐도를 간접측정함으로서 사용전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전시중인 진열장에 대한 밀폐도를 측정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밀폐도는 간접측정법은 진열장 내부의 온습도변화와 습도조절제(Art-sorb)의 중량변화를 통해 진열장의 기밀도를 간접적으로 알아보는 방법이다. 실험은 동일장소에 시공된 3개의 벽부형진열장을 대상으로 진열장내 조명을 켜지 않고 Art-sorb와 온습도 수집기를 넣고 12일간 진행하였다. 각 진열장내 온도와 습도 변동분을 주변변동분으로 나눠 변동율로 나타냈으며, 그 결과 온도 변동율에서는 벽부장A(0.67)가 벽부장B(0.69)나 벽부장C(0.79)보다 변동율이 적었으며 습도 변동율에서도 벽부장A(0.12)가 벽부장B(0.19)나 벽부장C(0.72)보다 변동율이 적어 기밀도가 가장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O2추적가스를 이용한 직접 밀폐도 측정에서의 공기교환율에 대하여 간접 밀폐도 측정에서의 습도변동율을 대입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