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접근

검색결과 847건 처리시간 0.019초

서울시 공공도서관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 강순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37-258
    • /
    • 2005
  • 대부분의 공공도서관들은 인터넷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웹을 통해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공도서관 웹사이트를 보편적 서비스 관점에서 살펴본 뒤, 국내외 웹 접근성 기준을 선행 연구의 근거로 하여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서울시 공공도서관 5곳을 선정하여 기술적으로 평가 가능한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평가결과 대부분의 공공도서관들은 공공기관의 다양한 이용자 계층의 접근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고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공공도서관의 보편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전제되어야 하는 한 가지 방안으로서 웹 접근성 향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간회귀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영향 요인 분석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Public Libraries in Busan)

  • 구본진;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7-87
    • /
    • 2021
  •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도서관의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접근성의 불균형적인 분포는 도서관 서비스의 공평한 제공을 제한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접근성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지역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공공도서관이 인구수나 대중교통 이용과 무관하게 입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형평성 측면에서도 공공도서관 입지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현황을 이해하고,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공공도서관 접근성 격차 완화 및 신규 입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장애인 이용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웹사이트의 접근성 확장에 관한 연구 (Accessibility Improvement for Disabled Use of Public Library Website)

  • 이원경;서은경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년도 제19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36
    • /
    • 2012
  • 인터넷 발달로 인한 정보격차는 장애인들의 문화지체현상을 가속화 시키고 있다. 이에 웹사이트의 원스톱 서비스에 있어 경험에 기초한 디자인과 보편적 디자인을 기반으로 접근성을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해 장애인을 위한 접근성 필수항목 7가지, 즉 콘텐츠구성, 키보드접근, 마우스접근, 이미지처리, 텍스트처리, 색, 코드를 선정하고 이를 근거로 장애인 자료실이 있는 공공도서관과 그렇지 못한 공공도서관, 해외 공공도서관의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토대로 접근성 확장을 위해 메인페이지 개선, 사용자 경험을 기초한 콘텐츠 구성, 콘텐츠의 접근성, 의미 있는 마크업,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콘텐츠, 제작 권장사항 등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이용자를 위한 웹 접근성 지침은 경험적 데이터와 보편적 디자인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공공정보의 보편적 서비스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al Service Policy for Public Information)

  • 이재진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9년도 제6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84
    • /
    • 1999
  • 정부를 포함한 공공부문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와 관련된 논의로서 공공정보에 대한 공공(public)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수립이 강조되고 있다 이 가운데 지금까지 각 국의 정보통신서비스의 정책 기반이 되어온 보편적 서비스(universal service)의 개념은 공공정보를 제공·이용하는데 필요한 논리적 정책 근거로 제안된다. 보편적 서비스란, 기본적인 서비스를 합리적인 요금으로 광범위하게 제공하는 것이라 볼 수 있으며 따라서 공공의 접근성을 보장해야 하는 공공정보의 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기 때문이다.

  • PDF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 측정 (Potential Accessibility of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in Rural Areas)

  • 이준모;조순철;황정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2호
    • /
    • pp.431-45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을 측정하고 지역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공공보건시설의 수요에 해당하는 인구를 대시메트릭 매핑기법을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미시적인 수준에서 구축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접근도를 측정하였다. 최소거리 기반의 공공보건시설의 접근도 측정결과, 군지역과 읍면지역은 거주지로부터 각각 1,845m와 1,777m가 떨어져 있었다. 강원도와 경상북도에 입지하고 있는 지역들이 상대적으로 접근도가 낮았으며, 면지역의 접근도가 읍지역보다는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도의 현황과 지역 간의 격차를 구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향후 공공보건시설의 입지를 탐색하고 의료시설의 전달체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 (A Study on Enhancing Web Accessibility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Public Libraries)

  • 조윤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35-354
    • /
    • 2009
  • 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정보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한 것은 아주 치명적 불이익이 된다.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홈페이지 접근에 가장 취약한 계층은 화면 읽기 프로그램과 같이 보조 기기를 사용하는 전맹이나 시각적으로 장애를 가진 이용자들이다. 본 연구는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567개 일반 공공도서관 중 지역별 도서관수의 10%범주 내에서 62개를 평가 대상도서관으로 선정하였다. 현재 공공도서관 홈페이지는 웹 접근성의 국가 표준 지침이 거의 준수되고 있지 않았고, 시각장애인에 의한 평가에도 접근성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웹 콘텐츠 접근에 이중적 불이익을 받고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을 인식, 운용, 이해의 용이성과 기술적 진보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공공기관을 위한 XML기반의 접근제어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XML-based Access Control Model for the public organization)

  • 정성우;박제원;강철오;원종진;이남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29-1232
    • /
    • 2005
  • 국내 공공기관에서는 사이버 행정환경의 기밀성, 무결성, 신원확인, 부인방지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행정전자서명인증체계(GPKI:Government Public Key Infrastructure)의 구축과 함께 모든 문서를 XML형태로 표준화하여 공공기관간의 문서를 통합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행정전자서명인증체계에서 사용하는 공개키기반(PKI)을 연동한 인증체계는 단순한 사용자 인증만을 제공하여, 공공기관의 응용업무 환경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사용자의 직위, 직무, 역할정보 등의 관리가 어려우며 XML형태의 공공문서에 대한 상세한 접근제어를 지원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인증 및 접근제어 시스템의 가상시나리오를 통하여 보안문제점을 도출하고 분석한 후에 이를 근거로 공공기관의 보안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안기술인 PMI(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와 XACML(eXtensible Access Control Markup Language)을 연동한 접근제어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환경적 요인이 공공도서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도서관의 입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Aspects for Public Library Use)

  • 김수영;권기원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5년도 제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5-138
    • /
    • 1995
  • 도서관은 공공서비스 중에서도 강제적인 서비스가 아니고 임의적인 또는 생활의 질과 관련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서비스 수요는 접근용이성이나 주변환경 등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의 입지결정은 정책결정자의 의지나 경험이 크게 작용하여 이용자의 이용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설립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입지와 이용과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하여 이용자가 인지하는 접근용이성과 주변환경의 주관적 인지도를 측정하고 이용이 높은 도서관과 이용이 낮은 도서관간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앞으로의 공공도서관의 입지선장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 PDF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 서비스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Mobile Web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 임정효;홍현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43-360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국제 웹 표준 기구 W3C에서 만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모바일OK 검사를 실시하여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 서비스의 웹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모바일OK 검사 실시가 가능한 81개 공공도서관에 대해 모바일OK 검사를 실시하고 W3C에서 제정한 모바일 웹 모범사례를 바탕으로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 서비스 확대 및 개선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교육청의 정책적 지원, 웹 표준에 맞는 모바일 웹 서비스 설계, 웹 설계 과정에서 유해요소 제거, 가벼운 모바일 웹 문서 제작, 분산되어 연결된 여러 개별 파일들의 합병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통약자의 공공시설 접근성에 따른 보행안전 만족도 연구 (A Study on Walking Safety Satisfaction according to Vulnerable Pedestrians' Access to Public Facilities)

  • 권연화;최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1호
    • /
    • pp.65-74
    • /
    • 2021
  • 앞으로 교통약자의 수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노인,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들의 보행안전만족도에 보행자의 개인 및 가구특성과 공공시설 접근성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교통약자의 보행안전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포용적 도시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보행안전만족도에는 연령, 성별 변수가 중요하였으며, 장애인의 보행안전만족도에는 학력이 중요한 요소였다. 노인과 장애인 모두 1인가구일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광역시가 아닌 지역에 거주할수록 보행안전만족도가 증가하였다. 공공시설 접근성의 경우 공공기관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도시공원 및 녹지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대중교통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노인과 장애인의 보행안전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노인은 상업시설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보행안전만족도가 높아졌으나, 의료시설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오히려 보행만족도는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