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정보

Search Result 16,35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Circulation and Management of Spatial Data (공간정보 유통 및 관리에 관한 연구)

  • Cho, Hae-Gyung;Kim, Young-Sup;Kim, Sang-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 no.1
    • /
    • pp.28-38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difficulties for the producer's distribution and the user's acquisition of the spatial data because the circulation of them is complicated according to its kind in Korea. The way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would be to develop the clearing house system to incorporate GIS technology on Internet. This research proposes the problem statement, the architecture, and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system. The system contains the functions such as metadata generation, metadata registration, metadata version management, catalogue creation and update, reports generation, forms processing, metadata search, payments, GIS information pool, and spatial data browsing.

Hash based Multi-way Spatial Join Method (해쉬 기반의 다중 공간 조인 기법)

  • Park, Jun-Yong;Kim, Myoung-Keun;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93-96
    • /
    • 2004
  • 최근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공간 데이터 마이닝, 공간 그리드, LBS 등과 같은 환경의 여러 분야로 그 응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다양한 공간 질의 처리 요구에 부응하는 효율적인 공간질의 처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다중 공간 조인 질의와 같은 고비용의 공간 조인에 대한 효율적인 공간 질의 처리를 위해서는 단일 공간 조인 보다 더욱 많은 기하 계산과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한 다중 공간 조인 처리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고비용의 다중 공간 조인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중 공간 조인 연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병렬적인 질의 수행을 위해 해쉬 기반의 다중 공간 조인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 조인 대상이 되는 두 데이터 집합에만 공간 해쉬 조인을 수행하는 것을 확장하여 다중 공간 데이터 집합에 대해서도 조인이 수행 가능한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최적의 조인 후보를 획득하여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보장한다.

  • PDF

Spatial Entities Extraction using Bidirectional LSTM-CRF Ensemble (Bidirectional LSTM-CRF 앙상블을 이용한 공간 개체 추출)

  • Min, Tae Hong;Lee, Jae 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133-136
    • /
    • 2017
  • 공간 정보 추출은 대량의 텍스트 문서에서 자연어로 표현된 공간 관련 개체 및 관계를 추출하는 것으로 질의응답 시스템, 챗봇 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에 나타나 있는 공간 개체들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앙상블 기법이 적용된 Bidirectional LSTM-CRF 모델을 소개한다. 한국어 공간 정보 말뭉치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 모델보다 매크로 평균이 향상되어 전반적인 공간 관계 추출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외국의 공간정보유통기구 사례연구

  • Kim, Eun-Hyeong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04a
    • /
    • pp.65-80
    • /
    • 1996
  • 미국을 비롯한 GIS 선진국에서는 GIS 데이타베이스를 사회기반시설(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로 간주하였으며 Internet을 통한 공간정보의 유통을 이미 계획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의 공간정보유통체계에 대한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가 GIS 데이타베이스(Things : 실체)가 구축 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어떠한 유통과정(Process : 흐름)이 있어야 될 것인가를 살펴본다. 여기서는 제도적으로 공간정보유통이 가장 활발한 미국과 기술적인 방법으로 공간정보유통을 추진하는 카나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현황을 비추어 보고자 한다.

  • PDF

공간정보 표준화 동향

  • Yu, Jae-J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4
    • /
    • pp.47-52
    • /
    • 2017
  •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 공간정보는 위치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위치 값의 표현은 공간적 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효율적이고 정확한 측위를 위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되기도 한다. 위치, 측위 그리고 공간정보의 관계에 있어 공간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의 전달과 활용의 효율성 등을 위해 표준화는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위치 및 측위, 그리고 그 활용 과정에서 참고될 수 있는 공간정보 표준화 동향에 대해 정리해본다.

Providing Service Model Based on Concept and Requirements of Spatial Big Data (공간 빅데이터의 개념 및 요구사항을 반영한 서비스 제공 방안)

  • Kim, Geun Han;Jun, Chul Min;Jung, Hui Cheul;Yoon, Jeong 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4
    • /
    • pp.89-96
    • /
    • 2016
  • By reviewing preceding studies of big data and spatial big data, spatial big data was defined as one part of big data, which spatialize location information and systematize time series data. Spatial big data, as one part of big data, should not be separated with big data and application methods within the system is to be examined. Therefore in this study, services that spatial big data is required to provide were suggested. Spatial big data must be available of various spatial analysis and is in need of services that considers present and future spatial information. Not only should spatial big data be able to detect time series changes in location, but also analyze various type of big data using attribute information of spatial data. To successfully provide the requirements of spatial big data and link various type of big data with spatial big data, methods of forming sample points and extracting attribute information were proposed in this study. The increasing application of spatial information related to big data is expected to at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patial data industry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Concept of Atlas - A Case Study of Land Cover Map - (아틀라스 개념을 적용한 공간정보서비스 방안 - 토지피복지도를 사례로 -)

  • Hong, Sang K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4
    • /
    • pp.153-159
    • /
    • 2012
  • Recently, tthe general users' demand on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spatial data such as land cover map are increasingly growing. But the lack of spatial information service for the general public i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use spatial information and services. In this study,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trategies based on the concept of atlas, which is familiar to us through the student atlas, were proposed to promote the public users' utilization of land cover map. For this purpose, I reviewed current domestic status and overseas cases of land cover map service and proposed the future direction of spatial information service for land cover map in terms of contents, users, and system. Finally, I defined the basic concept,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Atlas Information System and recommended strategies for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various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as well as land cover map and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general public users' utilization of national spatial data.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Visualization Tool Using the Open BIM based IFC Model (개방형 BIM 기반 IFC 모델을 이용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 Ryu, Jung Rim;Mun, Son Ki;Choo, Seung Yeo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5
    • /
    • pp.41-52
    • /
    • 2015
  • MOLIT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uthoriz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in 2013. It became a legal evidence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Although it has a little advantage to utilize as service level tha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laser scan or measurement, it has a lot of problems such as consuming many resources, requiring additional progresses for inputting Object Information. In conclusion, it is inefficient to utilize for the maintenance and domestic AEC/FM fie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operating IFC model which based on open BIM and to improve availability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with data visualization. The open-sources of IFC Exporter, a inner program of Revit (Autodesk Inc), is used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Directs 3D Library is also operated to visualize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ter-operate between XML format and the object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 as well. For example COBie linkage in facility management, construction of geo-database using air-photogrammetry of UAV (Unmaned Areal Vehicle),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military operations and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evacuation. The method that is purposed in this study has outstanding advantages such as conformance with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high level of interoperability as indoor spatial information objects based on IFC, convenience of editing information, light level of data and simplifying progress of producing information.

Research on 4S Technology for Sharing of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 공동활용을 위한 4S 기술에 대한 연구)

  • 오병우;주인학;이승용;김민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829-831
    • /
    • 2001
  • 인류의 생활터전인 공간과 시간에 대한 정보화를 통해 수치지도, 위성영상 등의 공간정보 활용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공간정보 처리 기술은 각각의 활용분야에 따라 제각기 발전하여 실제 업무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독립적인 분야별 발전은 한계에 다다르기 마련이어서 공간정보를 통합함으로써 상승효과를 얻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를 처리하는 GIS, SIIS, GNSS, ITS의 단위 기술들을 통합하기 위한 4S 기술에 대해 언급하고 공간정보를 연계하여 공동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및 4S 핵심 컴포넌트에 대해 살펴본다.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기술은 저장형식과 상관없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공간정보를 공동활용하기 위한 기술이다. 4S 핵심 컴포넌트 기술은 단위 기술별로 공통된 핵심 기능들을 정의하고 컴포넌트로 개발하는 것이다.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및 4S 핵심 컴포넌트 기술은 상이한 공간정보를 연계하는 응용 시스템 개발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요구되는 기능에 해당하는 컴포넌트들을 조립식 블록처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PDF

The Spatial View Creation and Materialization Technique in Multi-Server Environments (멀티서버 환경에서의 공간 뷰 생성 및 실체화 기법)

  • 김태연;정보홍;조숙경;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12-114
    • /
    • 2001
  • 지금까지 구축 된 공간 데이터들을 각 서버끼리 공유하여 유사한 내용의 공간정보구축을 위만 중복투자를 막고 공간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이 시급하다. 멀티서버 환경에서의 공간데이터의 공유는 데이터의 보안과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뷰로 제공되고 관리되어질 수 있다. 분산 된 대용량의 공간데이터에 대해 복잡한 공간연산 처리를 감안한다면 멀티서버 환경에서는 공간 뷰의 실체화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서버 환경에서의 공간데이터의 유통을 지원하고 공유 된 공간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과 네트웍 부하를 고려한 공간 뷰 실체화 기법을 제안한다. 확장 된 공간데이터 디렉토리 서비스(Extended Spatial Data Diretory Service)를 이용하여 각 서버가 공유하는 공간테이블에 대란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 된 징보를 바탕으로 로컬서버는 각 서버에에 직접 접속하여 필요한 영역의 데이터를 얻어 뷰를 생성한다. 이때 공유 공간데이터가 대용량 데이터임을 고려하여 로컬서버는 공간 뷰 성의에 대한 술어를 분리하여 뷰 질의 처리를 각각의 원격서버로 분산시켜 네트웍 부하와 서버의 질의처리 비용을 줄이고 공간 뷰 서버에 실제화 시킴으로써 뷰에 대한 질의처리시 각 서버로의 접근을 데비터의 접근을 줄여 사용자 응-답시간을 최소화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