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기하

Search Result 4,74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Inherent Space Structure of MMA as Cultural Contents (문호콘텐츠로서 이종격투기의 내재적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 Hwang, Yong-Seup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12
    • /
    • pp.287-295
    • /
    • 2006
  • New Recently introduced to domestic market, MMA(Mixed Martial Arts) is growing very rapidly, thereby acquiring the property of sub-culture. With its proper function of providing dynamism and vitality, it also becomes the target of apprehension for its social dysfunction due to excessive violence.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MMA as a phenomenon and to understand the cultural flow inside MMA. It is required that the space where MMA is held should provide new experience in each conte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very diverse productions for this purpose. While comprehension on this cultural and spatial phenomenon could mean one of starting point of space creation of space designer, it is necessary to study in the contextual aspect including historic and psychological approach. Thu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one of the diverse meanings of modem space by investigating the space inherent in the phenomenon of MMA.

  • PDF

반도체 공정 플라즈마의 밀도 균일성 분석을 위한 공간 분해 발광 분광기

  • O, Chang-Hun;Ryu, Hun-Cheol;Lee, Hyeong-U;Kim, Se-Yeon;Lee, Heon-Jeong;Han,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12-412
    • /
    • 2010
  • 플라즈마는 미세 전기 소자 제작에 있어 박막의 증착, 식각, 세정등 여러 가지 공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미세 소자의 선폭의 감소와 높은 생산성을 위한 웨이퍼 면적의 대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플라즈마의 균일도는 공정 수율 향상의 관점에서 중요한 요소로 그것의 계측과 공정 중 실시간 감시에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플라즈마에 존재하는 라디칼의 밀도, 이온의 밀도, 전자 온도 등의 웨이퍼 상에서의 공간 분포와 공정 결과물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다양하게 진행 되었으며 특히, 라디칼의 공간 분포가 공정 결과물의 균일도와 큰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디칼의 농도 분포를 계측은 레이저 유도 형광법, 발광 분광법, 흡수 분광법 등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발광 분광법의 경우 계측의 민감성, 편의성등을 이유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까지 진행된 발광 분광법을 이용한 라디칼의 공간 분포 계측은 그 자체로 공간 분포를 계측하는 것이 아닌 플라즈마 밀도의 축 대칭성을 가정하여 Abel inversion을 적용하거나, 광섬유를 플라즈마에 직접 삽입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반도체 제작공정을 비롯한 미세소자 공정 플라즈마의 라디칼 밀도 분포를 실시간, 비 접촉 방식으로 계측 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공정 플라즈마의 밀도 균일성 분석을 위한 공간 분해 발광 분광기를 제안한다. 기존의 발광 분광법과 비교하여 공간 분해능 향상을 위하여 직렬로 설치된 다수의 렌즈, 개구, 그리고 핀홀을 이용하였다. 공간 분해 발광 분광기의 공간 분해능을 계산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검증 하였다. 또, HDP CVD를 이용한 $SiO_2$ 박막 증착 공정에서 산소 라디칼의 농도와 증착된 박막의 두께 분포의 상관 관계를 계측 함으로써 공간 분해 발광 분광기의 플라즈마 공정 적용 가능성 입증 하였다.

  • PDF

An First Order Approximiate Analytical Solution to Predict Qualitativ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tirling Enging (Stirling기관(機關)의 성능예측(性能豫測)을 위한 1차원(次元) 근사해석(近似解析))

  • Kim, Tae Han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9
    • /
    • pp.87-94
    • /
    • 1991
  • An approximate analytical method to predic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stirling engines in a preliminary design stage was investigated. In basic equations proposed by walker, typical temperatures of working fluids in expansion and compression spaces were treated the same as those of working fluids in heater and cooler respectively. While the temperature of working fluids in the expansion space was actually lower than that of working fluids in the heater, the temperature of working fluids in the compression space was higher than that of working fluids in the cooler. The aim of this study divided typical temperatures of working fluids in expansion and compression spaces into serval grades, and than evaluated the experimental engine. As the result, the case which working fluids temperature of expansion space was treated as lower than the heater temperature and which that of compression space was treated as higher than the cooler temperature, was much closer to the experimental value.

  • PDF

Large-scale Spatial Reasoning using MapReduce Framework (맵리듀스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대용량 공간 추론 방식)

  • Nam, Sang-Ha;Kim, 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769-772
    • /
    • 2014
  • Jeopardy 퀴즈쇼와 같은 DeepQA 환경에서 인간을 대신해 컴퓨터가 효과적으로 답하기 위해서는 인물, 지리, 사건, 역사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식베이스와 이를 토대로 한 빠른 시공간 추론 능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병렬 분산 컴퓨팅 환경인 하둡/맵리듀스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방향 및 위상 관계를 추론하는 효율적인 대용량의 공간 추론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본 알고리즘에서는 하둡/맵리듀스 프레임워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병렬 분산처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식 분할 문제를 맵 단계에서 해결하고, 이것을 토대로 리듀스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새로운 공간 지식을 유도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본 알고리즘은 초기 공간 지식베이스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뿐만 아니라 초기 공간 지식베이스의 불일치성도 미연에 감지함으로써 불필요한 지식 유도 작업을 계속하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둡/맵리듀스 프레임워크로 구현한 대용량 공간 추론기와 샘플공간 지식베이스를 이용하여 성능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공간 추론 알고리즘과 공간 추론기의 높은 성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Extending An EBL Based Conrol-Knowledge Planner for Anycase Subgoals (Anycase Subgoal을 위한 EBL 기반의 제어지식형 계획기의 확장)

  • 이동복;이수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18-20
    • /
    • 1998
  • 본 논문은 EBL 기반의 제어지식형 계획기에서 다양한 목표확장 방법을 사용하여 MEA의 불완전한 계획생성을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계획기의 문제 공간을 탐색하는 방법 중 하나인 MEA는 현재상태와 목표상태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연산자를 선택한 후에, 연산자의 조건절을 현재상태가 만족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조건절의 부목표화를 결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확장 방법은 현재상태에서 만족된 부목표에 대한 목표확장을 하지않음으로써 문제공간 탐색에서 제한된 범위만을 탐색하므로 목표를 만족하는 최적의 계획을 생성할 수 없으며, 또한 문제를 해결하는 계획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탐색범위의 제한으로 인해 계획을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와 같이 현재 상태에서 만족되어 목표확장을 하지 않은 부목표를 Anycase Subgoal이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목표확장 방법은 ELB기반의 제어지식형 계획기를 Anycase Subgoal을 위하여 확장하는 방법으로 서, 초기의 문제공간 탐색에서 사용된 목표확장 방법에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탐색공간을 확장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문제에 적합한 목표확장 방법을 제어지식형 규칙으로 학습하여 유사한 문제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계획을 생성한다.

  • PDF

Geometry and Topology Data Model on OpenGIS Component (개방형 GIS 컴포넌트에서의 기하 및 위상공간데이터 모델)

  • 민경욱;최혜옥;이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54-156
    • /
    • 2001
  •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서비스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은 최근 네트워크 및 분산환경의 기술개발과 더불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 정보시스템은 기존의 패키지, 지역적 클라이언트/서버환경의 기술에서 컴포넌트 기반 기술로 자리메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컴포넌트 GIS의 기술발전을 위해서 OGC(OpenGIS Consortium)에서는 다양한 설계 및 구현 사양과 토픽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GIS 기술개발시장에서는 이러한 사양과 토픽에 맞게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다루는 공간데이터는 크게 기하정보(Geometry)와 위상정보(Topology)로 나뉜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기본석인 질의나 분석에 있어서 기하정보 뿐만 아니라 위상정보도 시스템 전체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위상 정보의 저장, 관리는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컴포넌트 GIS에서의 기본 기하 데이터 모델인 OGC Simple Feature Geometry 모델과 위상정보 (Topolygy Information)를 나타내는 위상 데이터 모델의 통합 및 연동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데이터모델을 포함하고 있는, OGC 구현사항에 맞게 설계 및 구현된 전체시스템 아키텍쳐를 살펴 볼 것이다.

  • PDF

An Application Method of Curvilinear Coordinate System for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River Network (하천 네트워크 기반 공간정보의 곡선좌표계 부여 방법)

  • You, Ho Jun;Kim, Do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95-195
    • /
    • 2019
  • 최근 센싱 기술과 정보화의 영향으로 하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디지털화되어 저장되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점, 선, 면으로 구성된 자료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수집된 자료를 주제별로 관리하는 레이어 형식으로 저장하여 자료를 표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지만, 최근에는 영상자료, 시계열자료 등 기존의 자료와 다른 비구조적 형태의 자료가 발생함에 따라 하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하천공간정보를 관계형 구조로 설계하고 있다. 하천의 경우, 각 하천공간정보가 가지는 고유의 값을 활용하여 인접한 하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천의 중심선 혹은 최심선을 기준으로 하천공간정보들을 관계성을 부여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성은 자료의 저장, 관리, 제공에는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기하학적인 고려가 없기 때문에 공간정보로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쉽게 설명하면, 1차원 점에 해당하는 공간좌표는 가장 가까운 하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관계성 부여가 가능하지만, 2차원 선과 3차원 면에 해당하는 도형을 대표하는 위치가 공간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네트워크 기반 공간정보가 관계성을 부여하되 하천공간정보가 가지는 기하하적 구조를 반영하기 위해 하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곡선좌표계 부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하천은 실제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간적으로 직교좌표계를 활용하기 보다는 곡선좌표계를 활용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많은 수치해석 모형에서는 곡선좌표계를 고려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도로나 교통 분야의 공간정보에서도 공간적 고려를 위해 곡선좌표계를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중심선 혹은 최심선을 기준으로 흐름방향 거리를 S, 횡방향 거리를 N으로 설정하여 곡선좌표계를 정의하였으며, 직교좌표계와 곡선좌표계간의 좌표변환을 위해 이차원 변환방법인 투영변환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을 활용할 경우, 하천 네트워크 기반 공간정보가 자료 간의 관계성을 유지하며, 기하하적 고려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Relay and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cheme to Enhance the Bit Error Rate Performance in Relay Systems (중계기 시스템에서 비트 오류율 성능 향상을 위한 중계기 선택 및 전송 모드 결정 방법)

  • Seo, Jong-Pil;Lee, Myung-Hoon;Lee, Yoon-Ju;Kwon, Dong-Seung;Chung, Jae-Ha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6 no.12A
    • /
    • pp.941-949
    • /
    • 2011
  • In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with a source node and multiple relays equipping single antenna and a destination node equipping multiple antennas, the selective cooperative spatial multiplexing scheme can obtain spatial multiplexing gain and additional selection diversity gain. But it can degrade a bit error rate performance because some received symbols forwarded from particular relays may be lost by attenuation due to path-loss. We propose a relay and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cheme which selects minimum number of multiple relays having the channel capacity larger than a given data rate and transmission mode which switches spatial multiplexing and spatial diversity mode in cooperation phase to enhance the bit error rate performance.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1.5~2dB gain at the low SNR rang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cheme by obtaining additional spatial diversity gain.

Development of Wideband Spatial Combined High Power Amplifier (광대역 공간 결합 고출력 전력증폭기 개발)

  • Lee, Ho-Seon;Park, Kwan-Young;Kong, Tong-Ook;Chun, Jong-Ho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8 no.4
    • /
    • pp.286-297
    • /
    • 2017
  • This paper is a study of 6~18 GHz wideband high power amplifier which is composed of 10 single amplifier and coaxial type spatial power combiner. The property of this spatial power combiner is on a similar principle to antipodal antenna radiation mechanism. Therefore, the key structure of proposed spatial power combiner is the antipodal finline PCB board and the finline curve shape is numerically synthesized by using Klopfensein's optimum impedance taper. The measured CW output power of spatial combined high power amplifier is nearly 50 W. In conclusion we prove the good combining performance between the spatial power combiner and 10 single amplifier over 6~18 GHz frequency ranges. Also, we developed the key component PA and MFC MMIC which controls the phase and gain of the each amplifier, The main characteristic of MFC MMIC is to maximize combining efficiency of power amplifier.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Smart City Space: Convergence Change of District, Street, Building and Facility (스마트시티 공간의 변화 분석: 지구, 가로, 건물, 시설의 융합 변화)

  • Han, Ju Hyung;Lee, Sang 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5
    • /
    • pp.537-550
    • /
    • 2018
  • The development focus of a smart city has been changed gradually from a physical development aspect to a space development aspect. In a space development aspect, the major application technologies are Environment Technology (ET),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it is unclear if the space convergence in a smart city has been changed by the 3 technologies. Therefore, specific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nvergence change of smart city 4 spaces (District, Street, Building, Facility) using the 3 technologies. The convergence distribution ratio according to the periods (period 1 : 1972~1999, period 2 : 2000~2009, period 3 : 2010~2017) among the spaces, ET (Environment Technology), IT (Information Technology), ET+IT (Environment Information Technology) in a smart city were examined. The smart city was high in the order of 'District (53/43%) - Building (36/29.1%) - Street (22/17.9%) - Facility (12/10.0%)' in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ratio of convergence (Technology Convergence) at Period 1 (1972~1999). The smart city was high in the order of 'District (223/32.4%) - Building (197/28.6%) - Street (195/28.3%) - Facility (74/14.8%)' in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ratio of convergence (Technology Convergence) at Period 2 (2000~2009). At period 3, the District (467/33%) was also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the street (384/27.4%) was higher than the building (361/25.8%) and facility (188/13.4%) in smart city space. Fourth, the smart city was high in the order of 'District - Building - Street - Facility' in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ratio of convergence (Technology Convergence) at Periods 1 (1972~1999) and 2 (2000~2009). In contrast, the average of number was high in the order of 'Building - Street - District - Facility'. At period 3(2010~2017),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the ratio of convergence was high 'District - Street - Building - Facility'; the average of number was the same as in period 1 and 2. As a result, smart city space has been changed by the development of macroscopic urban spaces in the initial stage. Since then, district space-centric development and building space are confused with devices/technologies and changed for citizen inflow. The building space has evolved continually and smart city space will be expected to revitalize the street space connecting completed bui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