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지형정보

Search Result 1,500,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3D Spatial Database Design for Laser Radar Simulation (레이저레이더 시뮬레이션을 위한 3차원 공간DB 설계)

  • Kim, Geun-Han;Kim, Hye-Young;Jun,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97-500
    • /
    • 2008
  • 3차원 오브젝트의 위치 및 정보 획득을 위한 레이저레이더 시뮬레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뮬레이션의 결과로 획득되는 공간의 범위와 해당 사물의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획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레이더 시뮬레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3차원 공간 데이터를 공간DB에 저장하고, 질의를 수행하여 해당 3차원 오브젝트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해내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되는 3차원 지형지물(지형, 건물 사물 등) 모델의 정보를 데이터모델링을 통해 토폴로지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며, 이를 공간DB에 저장하고, 레이저 신호와의 연산 쿼리를 시행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OGC 기반의 공간 데이터 타입, 함수, 인덱스들을 제공하는 PostgreSQL과 PostGIS를 사용하였다. 지형, 건물, 탱크 등 이렇게 세 가지의 범주의 사물로 나누어 각각을 공간DB로 구현, 쿼리를 실시하였다. 지형정보는 TIN을 사용하였고, 건물의 좌표 값들은 도화원도에서 추출하였으며, 탱크와 같은 사물은 VRML 모델의 좌표 값을 사용하였다.

  • PDF

정보화시대의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 Jeong, Mun-Seop
    • 정보화사회
    • /
    • s.107
    • /
    • pp.41-48
    • /
    • 1996
  • 공간정보는 국토공간의 물리.환경적, 사회.경제적, 법.제도적 특징 등을 모두 포함한 정보라고 하겠다. 즉 공간정보는 지형.지물, 소유권을 나타낼 뿐 아니라 공간에서 일어나는 각종 활동에 대한 통계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이므로 통합정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종래에는 통합정보의 개념에서 공간정보가 구축된 것이 아니고 지형과 지물등을 나타내는 정보는 건설교통부와 국립지리원에서, 소유권을 나타내는 정보 즉 지적과 토지소유권과 관련된 정보는 내무부에서, 공간내에서 발생하는 사회, 경제적 활동을 나타내는 정보는 통계청과 지방자체단체 및 기타 기관에서 생성하였다.

  • PDF

A Study on Standardization for Civil-BIM Construction of Harbor Structure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Technique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항만구조물 토목-BIM 구축을 위한 표준화 연구)

  • Min, Byung Keun;Park, Dong Hyun;Jang, Yong Gu;Kang, In 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3
    • /
    • pp.83-90
    • /
    • 2012
  • In this study, and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a trend of BIM was noticed, related to BIM software analysis and problems. Also,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presented layered standard direction for BIM built harbor structures. Thoughts of this study, existing of two-dimensions and BIM problems based on architecture needs for applications were identified. Also, harbor structures targeting civil-BIM layer of technology-based GIS projects, and Busan International Ferry Terminal to target existing BIM comparison with harbors in the field based on GIS civil engineering-BIM standardization and direction of application could be presented.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3-D Geo Spatial Information by Integration of RS and GIS data (원격탐사와 GIS 데이터의 통합에 의한 3차원 지형공간정보시스템 적용 연구)

  • 연상호;홍일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80-383
    • /
    • 2003
  • 지형공간에 대한 3차원 이상의 입체적인 지공간에 대한 시각화와 더불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지형공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에 존재하는 정부의 취득과 표현기법이 신속하고 다양한 정보의 분석과 정리가 필수적인 숙제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렬 연구에서는 농촌 및 산촌지역을 대상으로 수집한 위성영상과 국립지리원에서 제작한 수치지도를 이용해 정밀지형보정을 실시하고 DEM과 정사영상을 이용해 3차원 이상의 다차원적인 공간정보시뮬레이션을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입체적인 조감도의 작성기술은 각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기술로 활용될 수 있어,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기존의 수치지형도와의 결합을 통한 3차원 영상 지도의 제작을 시도하여 다차원적인 분석이 가능한 입체 영상 조감도를 작성하였으며, 비행 시뮬레이션 기법에 의한 가상적인 접근이 가능한 연구결과를 얻어냄으로써 지형공간정보의 고부가 콘텐츠 활용을 유도하도록 하였다.

  • PDF

The Establishment Plan of Knowledge-Based Community through the 3-D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DB Design and Utilization Review (3차원 국토지하정보 DB설계 및 활용성 검토를 통한 지식기반 커뮤니티 구축 방안)

  • Song, Seok-Jin;Jang, Yong-Gu;Kang, In-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1
    • /
    • pp.63-70
    • /
    • 2011
  •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s project which is promoted by our country has been extended from existing 2-D geographic information to 3-D spatial information as the basic geo-spatial Information. Most of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are completed or underway,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of the subsurface geo-spatial information has difficulty caused by the lack of the drilling data characterizing the subsurface.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of the subsurface, the subsurface information is constructed and managed by the domestic institutions, but the subsurface information which is possessed by the institutions was not shared mutually so it is managed inefficiently. This study presented the 3-D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DB design by dividing with the ground DB item which configures the state of the ground and the soil DB item which configures the state of the soil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of the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The implementation & utilization of the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application technology was reviewed by applying the constructed DB to the actual model area, and the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knowledge-based community establishment plan was presented.

기하보정 방법에 따른 광학영상자료의 지형효과 분석

  • 이성순;지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251-254
    • /
    • 2004
  • 최근 인공위성 영상자료의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영상을 통해 얻을 있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영상의 식별력이 증가함으로써 영상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량이 증가하지만 그와 함께 정보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지형과 영상의 정밀보정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광학센서 기반의 인공위성 자료는 영상자료의 공간해상도 뿐만 아니라 촬영시기, 지형형태 둥 많은 내ㆍ외부 조건에 따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표고가 높은 지형에서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ompsat EOC 및 Spot-5 등 다양한 광학위성 센서에 대한 지형효과 특성을 위성의 기하정보 등록방법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자료 이용의 효용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Interface for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Model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지형공간 정보체계를 이용한 농업비점오염원모델의 인터페이스 개발)

  • 양인태;최연재;김동문;권혁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7 no.4
    • /
    • pp.393-401
    • /
    • 1999
  • Non-point source pollution poses a serious threat to river. therefore non-point pollution model was developed. This non-point pollution model requires detailed spatial data for accurate predictions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GSIS) is well suited to those needs. The parameters for these models provided by the GSIS were slope, slope shape, field slope length and SCS run off curve number. Hence, this study presents an application of GSIS processing tools for AGNPS model developed by the ARS(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in cooperation with the MPCA(Minnesota Pollution Control Agency) and has developed interface that construct the input data of ASCII type in the AGNPS model using GSIS.

  • PDF

Flood Simulation by using High Quality Geo-spatial Information (고품질 지형공간정보를 이용한 홍수 시뮬레이션)

  • Lee, Hyun-Jik;Hong, Sung-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3
    • /
    • pp.97-104
    • /
    • 2010
  • The important factors in a flood simulation are hydrologic data (such as the rainfall and intensity), a threedimensional terrain model, and the hydrologic inundation calculation matrix. Should any of these factors lack accuracy, flood prediction data becomes unreliable and imprecise. The three-dimensional terrain model is constructed based on existing digital maps, current map updates, and airborne LiDAR data. This research analyzes and offers ways to improve the model's accuracy by comparing flood weakness areas selected according to the existing data on flood locations and design frequ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