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지형적 특성

Search Result 65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Optimization of PRISM Model for Gridded Daily Precipitation in Ungaged Watershed over South Korea (미계측 유역의 일단위 강수량 추정을 위한 PRISM 최적화)

  • Kim, Yong-Tak;Urnachimeg, Sumiya;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83-83
    • /
    • 2020
  • 지속되고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기상현상들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적 극한 사상에 대한 전망은 수자원 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대응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기후, 수문, 지리, 생태 및 환경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신뢰할 수 있는 공간적 강수량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지형의 약 70%가 산악 지형인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의 일반적 공간보간 기법인 IDW 및 크리깅 방법은 고도가 높은 지역의 기상인자를 추정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프리즘(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 PRISM) 기법은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격자형태의 기상인자를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서 미계측 유역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일 단위 강수량 추정을 위하여 SCE-UA (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of Arizona) 기법을 활용하여 최적화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PRISM 기법의 국내 적용 시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Okcheon Basin & Jincheon Basin (옥천분지와 진천분지의 지형특성)

  • Youn, In-Hy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7 no.4
    • /
    • pp.93-10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two erosional basins with same geological conditions. The study areas, the Okcheon basin ($36^{\circ}\;14'{\sim}36^{\circ}\;20'\;N,\;127^{\circ}\;32'\;30"{\sim}127^{\circ}\;37'\;37"\;E$) and Jincheon basin($36^{\circ}\;48'{\sim}37^{\circ}\;03'\;N,\;127^{\circ}\;22'{\sim}127^{\circ}\;36'\;E$), are located on middle part of the Geum river. The geological maps, a summit level map, and a drainage network map are created and analyzed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kcheon basin and Jincheon basin are typical erosional basin, in which basin floor are composed of granite. 2) The formation of Okcheon basin and Jincheon basin resulted from differencial erosion after upwarping. 3) Okcheon basin and Jincheon basin are available for specialized agriculture area and a site of new settlement with satisfactory to accessibility.

  • PDF

The Establishment Plan of Knowledge-Based Community through the 3-D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DB Design and Utilization Review (3차원 국토지하정보 DB설계 및 활용성 검토를 통한 지식기반 커뮤니티 구축 방안)

  • Song, Seok-Jin;Jang, Yong-Gu;Kang, In-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1
    • /
    • pp.63-70
    • /
    • 2011
  •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s project which is promoted by our country has been extended from existing 2-D geographic information to 3-D spatial information as the basic geo-spatial Information. Most of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are completed or underway,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of the subsurface geo-spatial information has difficulty caused by the lack of the drilling data characterizing the subsurface.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of the subsurface, the subsurface information is constructed and managed by the domestic institutions, but the subsurface information which is possessed by the institutions was not shared mutually so it is managed inefficiently. This study presented the 3-D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DB design by dividing with the ground DB item which configures the state of the ground and the soil DB item which configures the state of the soil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of the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The implementation & utilization of the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application technology was reviewed by applying the constructed DB to the actual model area, and the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knowledge-based community establishment plan was presented.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bserved from Major Water Quality Stations in Nakdonggang Watershed (낙동강 유역 주요 수질측정지점의 시·공간적 수질특성 분석)

  • Kim, So Rae;Kyung, Jo Hyun;Kim,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45-54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spatial and temporal water quality in Nakdong River basin. Spatial changes of water quality in Nakdong River due to inflow of sewage treatment plant and main tributaries were analyzed. The water qua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D) for 8 days interval from 2004 to 2015,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water quality items (flow rate, BOD, TN, TP). The discharge water quality data of 32 sewage treatment plants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nationwide from 2012 to 2015 and arithmetically averaged over the spring and autumn seasons.

  • PDF

High resolution mapping of future forcasts for precipitation using AWE-GEN-2D over South Korea (AWE-GEN-2D를 이용한 국내 미래 강우의 고해상도 예측)

  • Doi, Manh Van;Kim,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8-328
    • /
    • 2022
  • GCM은 기후 변수들의 미래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모형이지만, 공간에 대해 저해상도 형태로 결과가 제공되며,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국지적 규모의 기후변수(즉, 강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간변동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강우의 예측은 강우의 생성과 소멸 과정을 추계학적으로 재현하는 일기생성 모형인 AWE-GEN을 이용하여 앙상블 시계열을 생성하고, 구름의 생성과 소멸 및 이동, wet/dry 셀들의 생성과 이동, 지형의 국지적 특성 등을 반영한 시공간 변동 앙상블 시계열은 AWE-GEN-2D 모형을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며, 국토의 대부분이 산악지형으로 구성된 국내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생성된 시공간 격자 기반의 일기생성 시계열은 PRISM을 사용하여 매핑된 강수량의 공간 분포와 비교, 검증하였으며, 측정되지 않은 관측소 또는 원격 지역에 대한 평균 및 극한 강수량의 미래 예측 추정에 사용되었다. 또한, 평균 및 극한 강우의 공간 분포에 대한 미래 변화는 다양한 기간,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 등의 영향에서도 고려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자원 관리 및 재난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Characteristics in Ara River Basin Using Fractal Dimension (프랙탈 차원을 이용한 아라천 유역특성 분석)

  • Hwang, Eui-Ho;Lee, Eul-Rae;Lim, Kwang-Suop;Jung, Kwan-Su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10
    • /
    • pp.831-841
    • /
    • 2011
  • In this study,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basin have selfsimilarity, fractal dimensions are used to quantify the complexity of the terrain. For this, Area exponent and hurst exponent was applied to estimate the fractal dimension by using spatial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 value of area exponent and hurst exponent calculated by the fractal dimension are 2.008~2.074 and 2.132~2.268 respectively. Also the $R^2$ of area exponent and hurst exponent are 94.9% and 87.1% respectively too. It shows that the $R^2$ is relatively high. After analyzing the spatial self-similarity parameter, it is shown that traditional urban area's moderate slope geographical characteristic closed to 2D fractal in Ara water way.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fractal dimension and geographical elements are identified. With these results, fractal dimension is the representative value of basin characteristics.

Development of KBASIN-HSPF system for estimating parameter of watershed based model (유역모형 파라미터 산출을 위한 KBASIN-HSPF 시스템 개발)

  • Park, Dae-Hee;Ha, Su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328-332
    • /
    • 2006
  • 환경모델링 기법은 비선형 오염유출현상을 구조화하여 배출특성 규명 및 정책대안의 영향예측 도구로서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반면 복잡한 입력 파라미터의 구성은 모형운영에 있어 비정량적 수치를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들어 GIS와 정보기술의 연계를 통한 자료관리 및 모형 매개변수 산출을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GIS-모델링 분야의 기술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정보구축의 시점, 주기, 구축 형태 등의 통일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BASINS과 같은 기 구축된 정보 분석체계를 사용하고자 할 때 단위사업별로 구축된 공간정보의 구조해석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는 구축된 정보를 사용하여 해석하고자 하는 주체가 분명하지 않고, 분석모델에서 요구하는 입력 자료의 구조를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 정보기술과 분석기술의 연계부족으로 발생한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NGIS사업을 통해 축척된 지형공간 데이터베이스와 GIS의 공간분석기능을 연계하여 유역 오염원 기상 공간정보의 관리, 유역 오염유출모형인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Fortran)의 운영정보 생성을 지원하는 지능형 정보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주 연구내용은 시스템 분석 및 설계, 기초 데이터 수집과 DB 구축, 지형 매개변수 산정을 위한 GIS-HSPF의 통합 인터페이스 구축이다. 개발된 KBASIN-HSPF는 EPA에 의해 개발된 BASIN의 유역분할, 하천망생성, 지형특성계수 산정 기능과 함께 우리나라의 지형.오염원.기상정보의 저장구조를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 Tissen망에 준한 강우자료 생성 그리고 HSPF 모형운영정보 산정 및 전환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KBASIN-HSPF는 유역기반 점.비점오염원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자 하는 오염총량관리제의 기술적 정보관리 환경으로 활용가능하며, 기존의 오염유출모델링을 위해 자료준비부터 정보연계, 모형운영까지 분산된 환경에서 수행되었던 것을 통합환경하에서 진행함으로써 정보의 질적보장과 정보전환의 표준화방안을 제시하는 정보분석시스템이다.

  • PDF

Analysis on ero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omorphologic factor thresholds in the watershed (유역내 지형학적 인자의 임계특성에 따른 침식특성 분석)

  • Oh, Sung Ryul;Yoon, Eui Hyeok;Jung, Kwan Soo;Kim, Jeong Yup;Choi, Y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8-628
    • /
    • 2015
  • 유역의 형상은 강우, 산사태 등과 같은 지배적인 침식작용과 더불어 지형 지질학적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그러므로 유역형상에 대한 공간특성 분석을 위해서는 지형학적 요인과 다양한 침식작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국내 외 많은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형학적 인자에 의한 침식 형태는 국부경사와 집수면적의 크기에 의해 다양한 구간으로 나뉘며, 그 특성에 따라 지표침식, 세굴, 산사태 등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 일례로 유역 내 세굴과 관련된 지배인자는 집수면적보다는 국부경사에 반대로 지표침식, 산사태는 국부경사보다는 집수면적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지형학적 인자(국부경사, 집수면적)의 임계치(threshold) 산출을 통해 침식특성(불안정지역)을 검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물리적 검증은 여러 연구를 통해 물질플럭스(유량, 에너지)에 대한 Power Law로써 검증된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형학적 침식특성 분석을 위하여 2006년 집중호우에 의해 광역적 산사태가 발생한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일대의 $10m{\times}10m$ DEM로부터 국부경사, 집수면적을 산출하고 경사-면적한계곡선(Slope-Area Threshold Curve, SATC), 배수면적 확률분포곡선(Probability distribution of Drain Areas Curve, PDAC), 에너지지수 확률분포곡선(Probability distribution of Energy Index Curve, PEIC)를 실제 산사태지점과 중첩하여 도시하였다. 그 결과, 특정 임계구간(Threshold Area, Unstable area, 2~3권역)내에서 산사태 발생지점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지형학적 인자만을 고려하여 미계측 유역에 대한 잠재적 불안정지역의 판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광역적 사면안정해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n the Effects of Land Cover Types and Topographic Features on Heat Wave Days (토지피복유형과 지형특성이 폭염일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PARK, Kyung-Hun;SONG, Bong-Geun;PARK, Jae-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4
    • /
    • pp.76-9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land cover and topography, on heat wave days from the city of Milyang, which has recently drawn attention for its heat wave problems. The number of heat wave days was calculated utilizing RCP-based South Korea climate data from 2000 to 2010. Land cover types were reclassified into urban area, agricultural area, forest area, water, and grassland using 2000, 2005, and 2010 land cover data constru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pographical features were analyzed by topographic position index (TPI) us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with 30 m spatial resolu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heat wave days was 31.4 days in 2000, whi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26.9 days in 2008, 24.2 days in 2001, and 24.0 days in 2010. The heat wave distribution was relatively higher in agricultural areas, valleys, and rural areas. The topography of Milyang contains more mountainous slope (51.6%) than flat (19.7%), while large-scale valleys (12.2%) are distributed across some of the western regi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eat wav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forest area land cover and number of heat wave days was negative (-0.109), indicating that heat wave can be mitigated. Topographically, flat areas and heat wav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0.305).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urban planning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understanding the impact of land development and topographic change on heat wave.

Effective Decision of the Route Alignment with Digital Terrain (수치지형모형을 이용한 효율적인 노선결정)

  • Kang, Joon-Mook;Yoon, Hee-Cheon;Lee, Hyung-Seok;Lee, Sung-So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4 no.2 s.8
    • /
    • pp.195-203
    • /
    • 1996
  • The 3-D analysis of terrain for route design and selection is being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effective judgement of political draft. This study is to decide efficient alignment of the entry route and design bridge by modeling, analyzing and displaying surface with digital terrain data. In this study we analyze slope, aspect, shaded-relief, line of sight and watershed on the base of DTM such as contour, TIN and grid. And we can not only esti mate end-area volume for road construction by calculating cut and fill and displaying mass-curve but also recognize the scene after execution with simulation of road and terrain.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visual effects of the 3-D terrain data are very effective for designer and decisionmaker to select and review alternative route with regard to terrain characteris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