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주의

Search Result 69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Luis Bunuel and Naturalist Cinema (루이스 브뉴엘과 자연주의 영화)

  • Kim, Ju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0
    • /
    • pp.181-194
    • /
    • 2022
  • between the Action-image and the Affection-image, there is the Impulse-image. IF the aesthetics of the action-image and Affection-image are realism and idealism, the aesthetics of the impulse - image is naturalism. since the impulse-image has traits of action-image and affection-image, naturalism refers to four co-ordinates: originary world/derived milieu, impulses/modes of behavior. In Deleuze's view, the great directors we call naturalists are Stroheim, Bunuel, and Joseph Losey.

A Review of Spatial Neglect: Types, Theories, Neuroanatomy, Assessments and Treatment (편측 공간무시에 관한 고찰: 유형 및 이론, 해부학적 영역, 평가와 치료)

  • Jeong, Eun-Hwa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6 no.1
    • /
    • pp.11-23
    • /
    • 2017
  • Spatial neglect is a neurological disorder following stroke, a lesion that usually affects the right hemisphere, fail to process or attention on the contralateral side of body and space. Functional neuroimaging studies report that spatial neglect is associated with lesions of large middle cerebral artery, perisylvian network and attention network. Spatial neglect is associated with a poor outcome. For optimal diagnosis and intervention, Types and theories of spatial neglect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clinical assessment with the conventional test and functional test. The treatment for spatial neglect could be consist of top-down approaches and bottom-up approaches. Recent trends in rehabilitation intervention for spatial neglect have reported prism adaptation.

Multiculturalism and Socio-Spatial Segregation of Honolulu in the 1920s (1920년대 호놀룰루의 다문화주의와 집단간 사회-공간적 분리)

  • Lee, Yo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5
    • /
    • pp.675-690
    • /
    • 2007
  • It has been widely believed that the ethnic relations in Honolulu and Hawai'i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ere little associated with racist ideology because the white race was minority in terms of the racial composition. In reality, however, the racial and ethnic issues have played a major role in forming the past and present relations among ethnic groups. This study shows that the white-supremacy ideology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minority groups in Honolulu throughout the immigration and settling-down process, as much as in the mainland U.S. Clear occupational stratification and residential segregation among the ethnic groups in Honolulu represented almost the same situation as in mainland cities. The social segregation and spatial propinquity of their residential neighborhoods facilitated the construction of dichotomized identity: "Local" versus "Haole". Such transformed identities were a product of on-going inter-ethnic negotiation process embedded in the non-white multi-ethnic neighborhoods.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Public Library: Focus on the Physical Space of Neutinamu Library (공공도서관의 IC 적용에 관한 연구: 느티나무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사례를 중심으로)

  • Nam, Tae-Woo;Ryu, Ban-Dee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43 no.1
    • /
    • pp.23-39
    • /
    • 2012
  • This study is to suggest IC(Information Commons)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digital divide in the Information Age. The value of IC is based on the OA(Open Acess) and the essential elements of democracy.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physical space was divided into six parts to realize the value of the IC.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use patterns and made several suggestions for applying IC in the Public Library.

공간클럽(09)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2 s.418
    • /
    • pp.86-89
    • /
    • 2004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공간클럽(12)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5 s.421
    • /
    • pp.98-102
    • /
    • 2004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공간클럽(03)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8 s.412
    • /
    • pp.60-65
    • /
    • 2003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공간클럽(10)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3 s.419
    • /
    • pp.64-70
    • /
    • 2004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공간클럽(04)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9 s.413
    • /
    • pp.68-74
    • /
    • 2003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공간클럽(07)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12 s.416
    • /
    • pp.54-63
    • /
    • 2003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