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사고능력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대순사상의 인문정신과 인류평안의 이념

  • 잔스촹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199-254
    • /
    • 2013
  • 대순사상은 인간의 행위와 정신적 틀, 즉 몸과 마음을 닦고 세상을 다스리며 백성을 평안하게 하는 도리를 설파하고 있다. 우주 공간의 질서와 깊은 연관을 맺는 이러한 도리는 인간 자신의 인지(認知)와 심신 수양의 내용을 포함하며, 사람이 사회와 우주자연과의 관계를 어떻게 처리해 나갈 것인지에 관한 문제도 다루고 있다. 따라서 대순사상을 인문이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서양의 인문주의와 비교해 볼 때, 중국 전통의 인문정신은 인류 개체의 창조력과 그 성과를 인정하고, 인격적 수양과 개선을 주장하며, 사회의 조화를 강조하는 한편, 인류가 반드시 천지인의 조화로운 관계 속에서 개체와 전체의 생존을 파악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인문정신은 『전경』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 하나가 모악산과 단주(丹朱)에 대한 서술인데, 모악산은 산 즉 '간'(艮)괘이며 단주는 적색에 상응하니 곧 '리'(離)괘가 된다. 이 두 괘가 서로 조합하면 '비(比)'괘가 되며, 『주역』의 비괘와 연관하여 서로 간의 모순을 없애고, '바둑'을 두는 기법을 거울삼아 심성을 다스리며, 인격을 완성하고, 인신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며, 사회를 안정시킬 것을 말한다. 대순 신앙의 최종 목표는 지상천국을 건설하는 것인데, 이런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격수양을 그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인격수양의 목표는 바른 도인이 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수도 공부를 해야만 한다. 수도는 춘추시기 노자 이래로 유구한 문화적 전통을 지닌 것이지만, 대순진리회는 한국사회 역사의 경향과 현실의 필요에 부응하여 수도 이론을 새롭게 수립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대순진리회는 수도자가 '성(誠), 경(敬), 신(信)'에 힘쓰는 품격 함양을 매우 중시한다. 또 도인들이 가정의 화목에 힘써야 하며, 솔선수범하는 도인으로서 사회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렇게 볼 때, 대순진리회는 '인도'(人道)를 함양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것은 전통적인 유가에서 말하는 '수신, 제가' (修身, 齊家)의 정신과 그 의미가 맞닿아 있다. 또한 중국 도교의 '선도(仙道)를 이루고자 하면 먼저 인도(人道)를 행하라'는 사상적 취지와도 일치한다. 대순진리회에서 수도의 최종 목표는 도통이다. 도통은 수도자가 매우 높은 경지에 이르게 되었을 때 가지는 특수한 능력과 정신의 경지이다. '도통'에 대한 기록은 『장자·제물론』, 『문자』의 「부언편>(符言篇)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대순진리회가 말하는 도통은 중국의 도가 전통에 보이는 도통과도 연관되지만 강한 인륜수양(人倫修養)적 특색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것은 대순진리회가 가지는 중요한 인문적 함의라 하겠다. 대순진리회는 수도 공부로써 광제창생·보국안민·지상천국건설의 사회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조화로운 사회적 관계를 수립하기 위한 토대는 대순진리회의 종지 첫 번째인 음양합덕이다. 음양합덕은 대순진리의 인문 취지의 이론적 기초를 형성하는 사상이다. 음양합덕의 철학적 사고는 종지 두 번째인 신인조화(神人調化)의 이상으로 이어진다. 신인조화는 『상서·순전』(尙書·舜典)의 신인이화(神人以和)에서 그 사상적 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다만 신인이화가 율려 조화의 '결과'를 표현한 것이라면, 신인조화에서 중시하는 것은 '과정'이며 인간과 신의 상호작용이라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신인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공부를 해야 하며, 그 배후에는 인본(人本)의 사상이 깃들어 있다. 그것은 종지 세 번째인 '해원상생'의 내용에서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신인조화가 인간과 신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면, 해원상생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긴 역사의 과정 속에서 맺힌 원을 풀어 우주의 기운을 잘 통할 수 있게 하고 인간 사회의 정상적인 교류를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내용은 사회적인 인문적 관심과 배려를 다분히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대순진리회의 종지 네 번째인 도통진경은 수도의 가장 높은 경지를 말하는데, 이러한 이념은 노장 일파의 도가 학자들이 말한 순박한 본성으로 회귀하자는 정신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한진(漢晉)시대 이래 중국 도교가 추구했던 '진경' 의 의미와도 합치된다. 그러나 시대와 환경이 다름으로 인해, 대순진리회의 '진경'은 사회생활의 의미까지 내포한다. 비록 대순진리회의 경전이 인본(人本)을 명확히 밝히고 있지는 않으나, 대순진리회의 요의(要義) 중 하나인 인존사상은 대순진리회의 인문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다. 인존사상의 직접적인 기능은 평안(平安)으로서 삶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대순진리회는 우주대원의 진리를 '도'라 하였는데 이러한 '도'는 중국의 도가에서 말하는 '도'와 동일하며, 여기에는 '안(安)'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대순진리회의 신조 중 '안심', '안신'은 마음을 정(靜)하게 하고, 몸을 편하게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심신의 공포와 두려움을 떨쳐내어 안전과 보호를 얻는다는 의미도 있으므로 결국 평안이 전제가 된다. 이렇듯 대순진리회에서는 '평안에 대한 희구'를 근본으로 하여 신앙인들이 열심히 수도에 정진하고 있다. 대순진리회가 인류 평안을 기본으로 하는 종교라는 점에서, 반드시 세인들의 환영을 받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The theory of lesson plannig and the instructional structuration : A case study for urban units in Japanese high school (수업설계론과 수업구조화 - 일본 고등학교 도시단원을 사례로 -)

  • ;Sim, Kwang Tae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29 no.2
    • /
    • pp.166-182
    • /
    • 1994
  • Kyonggi Province in the late Chosun dynasty was a center of superior government offices including 'Han' River water-road transportation and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an 'X'-shaped arterial road network. Because of these reasons, Kyonggi Province had a faster inflow of commodities, informations and technics compared with the other province. At this period of time, every local 'Eup' (name of administrative district) had not been affected by their abov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had their own autonomy. For this reason, every 'Eup' could be developed as a town, even if its size was small when it had sufficient internal growing conditions. Moreover, the markets ('Si-Jon') in big towns and periodical markets which were spread over the Kyonggi Province played role of commercial functions of town. And because military bases for the defence of the royal capital in Kyonggi Province also took parts of a non-agricultural city role, Xyonggi Provinc had much more possibilities of growing as a town rather than the other provinces. The towns of the late Chosun Dynasty were, except the capital and superior administrative districts which were governed by the 'You-Su', small towns which had only about 3, 000-5, 000 people. Most of the town dewellers were local officials, nobles, merchants, craftmen and slaves. And the farmers who lived near town became a pseudo-towner through suburb agriculture. Among these people, the merchants were leaders of townization. The downtowns were affected by the landform and traffic roads. The most fundamental function of towns were administrative. The opcial's grade, which was dispatched to the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 ('Kun' or 'Hyun'), was decided by the size of population and agricultural land of each county. Large county which was governed by a high ranking opcial had more possibilities to develop as a large town. Because they supervised other opcials of lower rank and obtained more land and population for the town. The phonomena of farm abandonmen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1598 stimulated the development of towns for commercial function. The commercial functions of towns were evident in the Si-Jon or Nan-Jon (names of markets) in the big cities such as Hansung and Kaesung, meanffwhile in the local areas it was emerged in the shape of periodical market networks as allied with near markets (which were called as Jang-Si) or permanent markets which were grown up from periodical markets. These facts of commercial development induced the birth of commercial town. Kyonggi Province showed the weak points of its defense system during both wars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Manchu's Invasion in 1636). The government reinforced its defense system by adding 4 'You-Su-Bus' and several military bases. Each local districts ('Eup'), where Geo-Jins were established, were stimulated to be a town while Jin-Kwan system were, adjusted and enforced. Among Dok-Jins(name of solitary military bases), Youngjongjin was grown up as a large garrison town which only played a role of defense. The number of towns that took roles of non-agricultural functions in Kyonggi Province was 52. Among these towns, 29 were developed as big towns which had above 3, 000 people and most of these towns were located on the northwest-southeast axes of 'X'-shaped arterial trafic network in the Chosn Dynasty, This fact points out that the traffic road is one of the important causes of the development of towns. When we make hierarchy of the towns of Kyonggi Province according to its population and how many functions it had, we can make it as 6 grades. The virst grade town 'Hansung' was the biggest central town of administration, commerce and defdnse. The 2nd grade town includes 'Kaesung' which had historical inertia that it had been the capital of the Koryo Dynesty. The 3rd grade towns include some 'You- Su-Bus' such as Soowon, Kanghwa, Kwangju and also include Mapo, Yongsan and from this we can imagine that the commercial development in the late Chosun Dynasty extremely affected the townization. The 4th-6th grade towns had smiliar population but it can be discriminated by how many town functions it had. So the 4th grade towns were the core of administration, commerce and defense function. 5th grade towns had administrative functions and one of commercial and defense functions. 6th grade towns had only one of these functions. When we research and town conditions of each grades as the ratio of non-agricultural population, we can find out that the towns from the 1st grade to 4th grade show difference by degree of townization but from the 4th grade to 6th grade towns do not show big difference in gener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