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능력

Search Result 1,00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아동의 공간 직관력 향상을 위한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 Ryu, Seong-Ri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91-105
    • /
    • 1999
  • 직관력은 현대와 같이 급변하는 사회에서 어떤 문제의 상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거나 그 본질을 인식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공간 직관력은 매일을 공간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우리에게는 더욱 소중한 교육적 대상이 된다. 공간 직관력은 눈에 보이는 구체물이나 감각적으로 받아들여진 사물을 통하여 그 배후에 있는 공간으로서 추상적, 이상적인 것을 감지할 수 있는 힘이다. 수학교육학적 관점에서 보면 공간 직관력에는 시각화(도형을 인식하는 능력, 도형을 구성하는 능력 등), 공간적 관계(도형이나 공간의 확장을 이해하는 능력 등), 공간적 방향 파악(위치를 파악하는 능력 등)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공간 직관력을 육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적절한 학습 내용 및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Web-Based Virtual Reality Programs on Elementary Schoolers' Spatial Visualization Skills (웹 기반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간시각화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Kwak, Won-Kyu;Kim, Hong-Ra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475-484
    • /
    • 2004
  • 공간 능력 및 공간 시각화 능력의 향상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표현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고 실생활과 직업에 관련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한다. 초등학교에서는 비형식적인 방법으로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대상과 다른 구체적 자료를 사용한 조사, 실험, 탐구를 통하여 여러 위치에서 도형을 시각화하고, 그려보고, 비교하는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공간능력 및 공간 시각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으로 구체적 조작물과 학습지 사용을 병행하고 있다. 하지만 초등 기하는 공간적인 경험을 현실 상황이나 구체물 조작을 통하여 형성된 공간직관을 수학화하도록 하여야 하나, 실제 현장에서는 학교여건 등의 여러 실정으로 조작 자료들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잘 사용하지 않고 있다. 3차원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 시각화 학습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어떤 방향이든 상관없이 가상의 공간에서 물체를 옮기거나 회전시킬 수 있으며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자들의 공간시각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런 요구에 의해 아동과의 상호 작용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킨 웹기반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 분석을 통해 웹 기반 가상현실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가능성을 진단해 보고자 한다.

  • PDF

Structuring of Elementary Students' Spatial Thinking with Spatial Ability in Learning of Volcanoes and Earthquakes Using GeoMapApp-Based Materials (GeoMapApp 자료를 이용한 화산과 지진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공간 능력에 따른 공간적 사고의 발현 양상)

  • Song, Donghyuk;Maeng, Seungho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0 no.3
    • /
    • pp.390-406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lementary students with different spatial ability constructed spatial thinking process about on volcanoes and earthquakes with GeoMapApp-based materials. Students' spatial thinking process was analyzed in terms of spatial concept recognized, tools of spatial representation, and their spatial reasoning to construct topographic structure. The student group with high-scored spatial ability showed the spatial reasoning based on internal representation of building mental images through sectional division of horizontal distance, directly connected with spatial concept, or distorting spatial concept. The student group with low-scored spatial ability built the spatial reasoning directly connected with spatial concept instead of transforming into internal representation, and partially recognized spatial concept on either distance or depth. Based on the results, we argued identifying spatial concepts such as distance, height, or depth from the GeoMapApp data would be funda- mental for the better spatial thinking.

Effect of GIS-integrated Lessons on Spatial Thinking Abilities and Geographical Skills (GIS를 활용한 수업이 공간적 사고능력과 지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Chun, Bo-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6
    • /
    • pp.820-844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GIS-integrated lessons on spatial thinking abilities and geographical skills using discourse analysis along with a comparative three-case case study method. A series of curricula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an 8th grade classroom for a semester. The data collected consist of the dialogue transcripts of six consecutive GIS-integrated lessons.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moves (speech acts) used by each student and to classify discourse content of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Based on three individual case studies, a cross-case study was performed to uncover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phenomenon and the contexts. The empirical evidence from discourse analysis demonstrat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generate appropriate terms representative of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although students appeared to possess primarily lower-order spatial abilities, followed by a moderate-level of spatial abilities. Considering that the unit was implemented in a biology class rather than a geography class the result reflected the fact that the student's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were attributable to the GIS-integrated lessons. Thus, the results have a great implication for GIS-integrated lessons and geography education as an innovative tool for improving student's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Spatial Abil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의 공간시각화능력 및 수학성취도에 관한 연구)

  • Park, Sungsu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6 no.3
    • /
    • pp.303-313
    • /
    • 2013
  • Spatial ability has been valued as one component of intelligence and associated with the achievements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disciplines and important in STEM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atial ability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mathematical achievement, gender and grade level. This study explored the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of 1288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 4-6)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and investigated association between spatial ability and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the students' spatial ability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grade level.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patial abil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also, boy students were better than girl students in spatial ability and higher grader were better than lower graders in spatial ability. According to these results, spatial ability should be included as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in identifying students for gifted education programs. Furthermore, more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effectively structure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students both who have high spatial ability and have low spatial ability.

Brain neural networks based on individual's verbal and visuospatial abilities (fMRI를 이용하여 지적능력에 따른 뇌 신경망 규명 : 언어능력 vs 공간지각능력)

  • 이경화;박세훈;김연희;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75-181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이 언어과제와 공간지각과제을 수행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 영역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42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집단 심리실험을 수행하여, fMRI 연구를 위한 실험참여자로 17명의 오른손잡이 여대생을 선정하였다. 17명 중 8명은 언어능력은 뛰어나지만 공간지각능력이 떨어지고, 나머지 9명은 언어능력은 빈약하지만, 공간지각능력이 우수한 사람들이었다. fMRI 실험에 사용된 패러다임에는 언어과제와 공간지각과제가 각각 8block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block은 동일한 과제 3문항을 포함하였다. fMRI 이미징은 1.5T Siemens Vision Scanner로 수집되었으며, Single-shot EPI 기법으로 (TR/TE : 3840/40ms, flip angle : 90, FOV : 220, 64x64 matrix) 이미지를 스캔하였다. 자료분석은 SPM-99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감산(subtraction)분석결과, 언어능력이 뛰어난 집단에서는 양측 대상회(bilateral cingulate gyri)와 좌측 상두정엽 (left superior parietal lobe)이 더 많이 활성화되었고, 언어능력이 떨어지는 집단에서는 양측 전두엽 (both frontal lobes)이 더 많이 활성화되었다. 공간지각능력이 떨어지는 집단에서는 우측 시상 (right thalamus)과 좌측 측-후두엽 (left temporooccipital)이 더 많이 활성화되었다. 언어능력이나 공간지각능력이 우수한 집단에서는 공통적으로 대상회 (cingulate gyri)가 활성화되었다.

  • PDF

Design of a PREP-based Mobile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Skills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학습장애아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PREP 기반의 모바일 시스템 설계)

  • Lee, Deuk-Ye;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101-107
    • /
    • 2010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이 발달한 정보화 사회의 현실에서 웹 기반의 프로그램 및 모바일은 중요한 매체로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읽기는 정보 획득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능력이나 학습장애아의 대부분이 읽기능력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컴퓨터의 발달은 아동의 언어교육 특히 읽기 교육을 위해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자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모바일 활용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장애아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PREP 기반의 모바일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해 첫째, 학습장애아들의 읽기 능력 프로그램이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생과 상호협력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장애아의 읽기 능력에 대한 진전도를 점검하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개별적 수준에 따라 수준별 학습을 제공하여 다양한 학생의 개별적 수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학습장애아동의 읽기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모바일 기기를 통해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벗어남으로써 기존의 PREP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Up-scaling Vegetation Carbon Storage Distribution Map of Pinus densiflora Stands from Plot to Landscape Level using GIS/RS (GIS RS 식생탄소저장능력의 공간분포 특성규명)

  • Kim, T.M.;Song, C.C.;Lee, W.K.;Son, Y.;Bae, S.W.;Kim, C.S.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221-225
    • /
    • 2007
  • 산림은 탄소저장능력이 있어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킨다. 따라서 산림의 탄소저장능력 특성을 규명하고 그것을 산림경영에 반영함으로써 온실가스 저감이라는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분에서의 탄소저장능력(Carbon Storage, CS)은 식생탄소저장능력(Vegetation Carbon Storage, VCS)과 토양탄소저장능력(Soil Carbon Storage, SCS)의 합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자생수종인 소나무림 VCS의 공간분포를 지엽적 범위(spot level)에서 광역적 범위(regional level)로 확대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엽적 범위의 조사 및 연구에서 VCS는 임목의 흉고직경(Diameter at Breast Height)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관계와 Quickbird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 추출한 소나무림 공간분포도를 이용해 경관범위(landscape level)에서 소나무림 탄소저장능력의 공간분포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그 결과를GIS 및 RS를 통해 광역적 범위로 확대하였다.

  • PDF

Exploration on possibility of finding gifted underachievers with high spatial ability and low verbal ability in elementary science field: Focused on "Light Propagation" (높은 공간능력과 낮은 언어능력을 가진 초등 미성취 과학영재의 발견가능성 탐색 - 빛의 직진 개념을 중심으로 -)

  • Jung, Yeon-su;Lee, Jiwon;Kim, Jung Bog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6 no.1
    • /
    • pp.101-12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possibility finding gifted underachievers who have high spatial ability, but low verbal ability in elementary science field. In Korea, because teachers used to refe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nly when they recommend gifted students, underachievers used to be excluded. The participants are 5t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research,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were given to students to find underachievers. Results of spatial ability test, verbal ability test,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non-verbal test, and interviews about light propagation concept were obtained. By analyzing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spatial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understand light propagation. And there are some features to understand light propagation according to spatial ability. Lastly,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non-verbal test to find gifted underachievers with high spatial ability and low verbal ability.

[Retracted] Acquisition of 9th Grade Students' Conception of Earth's Rot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 of the Spatial Sensibility ([논문 철회] 9학년 학생의 공간 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자전 개념의 획득)

  • Lee, Kyung-Hoon;Lim, Jong-O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3
    • /
    • pp.267-27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Acquisition about the conception of the Earth Rotation between difference of their Spatial Sensibility. In this study, four students were selected out of 83 9th graders in Gwangju, Korea. The spatial sensibility test instrument was developed by the Korean Testing Center, and the test instruments of 'the movement of celestial bodies' were developed by Kim (199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udents with higher spatial sensibility understood precisely about the Earth's rotation in stereoscopic space. However, those with lower spatial sensibility failed to grasp the Earth's rotation and memorized it as fragmentary concepts. As for gender effect, male student with higher spatial sensibility explained the concepts clearly, while that with lower spatial sensibility has difficulty with the Earth's rotation in relation to the diurnal motion of celestial bodies. On the other hand, female student with higher spatial sensibility explained the concepts correctly in detail, while that with lower spatial sensibility had difficulty explaining the concepts in stereoscopic space. Therefore, students with higher spatial sensibility should be presented with problems in which they form their own solution. Those with lower spatial sensibility should be allowed to understand the phenomena intuitively. In developing teaching methods, female students should interact with the concepts in stereoscopic space directly, while male students should consider the celestial objects from various viewpoints. Then spatial sensibility in relation to the movement of celestial bodies would be expected to impr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