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Search Result 28,248,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An Analysis of Spatial Determinants of Innovative Activities in Korea (혁신활동의 공간적 결정요인 분석)

  • Jeong, Jun-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4
    • /
    • pp.394-413
    • /
    • 2007
  •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spatial determinants of innovative activities at the municipal level in Korea, capitalizing upon spatial econometric techniques. Several spatially weighted matrices will be employed, implying diverse spatial conceptions and interactions. A contribution can be have been made to enhancing an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interaction and structure of knowledge spillovers in Korea.

  • PDF

Analysis of Locational Change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and Optimal Location Modeling after Dong Merger and Abolition: Spatial Efficiency and Equity Approach (동통폐합에 따른 동주민센터의 입지 변화 분석과 최적 입지 모델링 -공간적 효율성 및 형평성 접근-)

  • Lee, Gun-Ha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4
    • /
    • pp.521-539
    • /
    • 2010
  • Recently many local governments have carried out dong merger and abolition process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administrative demand and environment. This administrative effort impacts substantially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dong offices which directly involve in the quality of local community life. In this paper, we attempt to analyze the location pattern of current dong community service centers (formerly, 'dong office') and suggest the optimal locations maximizing spatial accessibility. As an application, we examine the location pattern of the existing dong community service centers in Mapo-gu, Seoul. Moreover, we compare current spatial configurations with the optimally selected locations such as, a Median maximizing spatial efficiency, a Center maximizing spatial equity, and a Centdian exploring compromising solutions regarding the tradeoff between efficiency and equity. The analytical results present that each of dong community service centers was systematically evaluated in terms of spatial efficiency and equity and in general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locations are not spatially optimized with respect to efficiency and equity, compared with the optimal locations.

Spatial and Season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Responses along Transect Line on a Forest Hillslope in the Cheong-Mi Catchment (청미천 유역 내 산림사면에서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특성의 공간적 및 계절적 변동)

  • Gwak, Yong Seok;Kim, Sang Hyun;Lee, Jung Hun;Lee, Yeun Gil;Jung, Sung Won;Kim, Su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73-473
    • /
    • 2015
  • 토양수분은 수문학적 과정의 시공간적 변동과 수자원 관리 및 계획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원인규명에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의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의 분포 및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청미천 유역내의 사면에서 10개월 동안의 토양수분들을 측정하여, 토양깊이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토양수분특성은 간단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토양수분의 감쇄기울기 값으로 표현하였다. 추가적 연구로, 측정지점의 위치, 지형, 토성의 토양수분에 대한 반응분석을 하였다. 깊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는 지표층에서의 공간적 분포 경향과는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사면의 지형 및 위치 그리고 토성의 공간적 분포는 토양수분의 시 공간적 분포특징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부흐름의 기여를 받는 측정지점에서는 토양수분 변동의 안정화가 진행이 되는 것으로 보이며, 수문학적 경계(Hydrologic Threshold)에 대한 추가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부사면에서의 높은 토양수분 변동성 및 뷸 균질적인 공간적 분포는 우선적 흐름발달의 영향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Design of Spatial Data Model Supporting Semantic Integrity Constraint (의미적 무결성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 모델의 설계)

  • 임정옥;이영걸;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48-50
    • /
    • 1999
  • 본 논문은 공간데이터와 비공간데이터를 통합처리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의미적 무결성을 보장하는 확장된 공간 데이터 모델을 설계한다.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다루는 단순 객체가 아닌 추상화된 복합 객체로 다양한 유도 데이터에 대한 의미적 무결성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내부에서 효율적으로 유지해야 하며, 공간 데이터의 의미적 무결성 제약 조건을 사용자에 의해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는 공간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 정보를 술어 논리 형태로 표현하고 유지할 수 있는 무결성 공간 데이터 모델 (ISRDM: Integrity supported Spatial-Relational Data Model)을 제안한다. 제안된 공간 데이터 모델은 하부 단계 저장 구조, 개념적 데이터 표현 단계, 무결성 표현 단계가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다단계 구조로 기존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용이하게 확장하고 다양한 응용 요구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 PDF

Effect of GIS-integrated Lessons on Spatial Thinking Abilities and Geographical Skills (GIS를 활용한 수업이 공간적 사고능력과 지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Chun, Bo-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6
    • /
    • pp.820-844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GIS-integrated lessons on spatial thinking abilities and geographical skills using discourse analysis along with a comparative three-case case study method. A series of curricula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an 8th grade classroom for a semester. The data collected consist of the dialogue transcripts of six consecutive GIS-integrated lessons.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moves (speech acts) used by each student and to classify discourse content of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Based on three individual case studies, a cross-case study was performed to uncover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phenomenon and the contexts. The empirical evidence from discourse analysis demonstrat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generate appropriate terms representative of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although students appeared to possess primarily lower-order spatial abilities, followed by a moderate-level of spatial abilities. Considering that the unit was implemented in a biology class rather than a geography class the result reflected the fact that the student's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were attributable to the GIS-integrated lessons. Thus, the results have a great implication for GIS-integrated lessons and geography education as an innovative tool for improving student's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Effect of watershed characteristics on river TP concentration (유역 특성이 하천 총인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Seo, Ji Yu;Kim, Sang 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5-165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하천 수질이 저하되고 있다. 이는 수생태계의 손상을 야기하고 인류를 위한 하천의 물 공급원 기능에 저해 요소로 작용한다. 오염된 수생태계에 대한 효과적인 맞춤형 관리전략을 수립하려면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 요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적 및 공간적 변동성이 모두 중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전체 유역에서 나타나는 공간적인 변동성에 집중하여 하천 수질의 공간적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고 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낙동강 유역 전역의 40개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에서 5년 동안 수집된 하천 총인 농도와 유역특성 자료를 사용하였다. 총인 농도의 공간적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역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통계모델 선정을 위해 완전 탐색 접근법과 베이지안 추론이 적용되었다. 완전 탐색은 두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1 단계 완전 탐색의 결과로 유역특성 자료들의 중요도가 선정되었으며 2 단계 완전탐색 결과로 통계모델이 우선 선정되었다. 우선 선정된 통계모델은 베이지안 추론을 통해 모델의 정확도와 불확실성이 분석되었고 공간적 변동성 분석을 위한 최적 모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낙동강 하천 총인 농도의 공간적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역특성에 대한 통찰력이 제공된다. 또한 식별된 주요 유역특성은 유역특성 변화에 대한 하천의 수질 반응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acts of Mobile Communications on the Space (휴대전화의 이용으로 인한 개인의 공간인식과 행태의 변화)

  • Hwang, Joo-Seong;Yoo, Ji-Yeon;Lee, Dong-Hoo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34
    • /
    • pp.306-340
    • /
    • 2006
  • Mobile communications is argued to reshape and activate the existing space by increasing 'mobile communicability en route' and 'real time interac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n how different the use of a cellular phone is in each different space. In this study, the space is divided into three distinct parts including the private, social and public space. First, spatial micro-coordination and experience of polysemy of place are widely observed in the use of a mobile phone in the private space. Secondly, it is found that a mobile phone contributes to extending the scope of social contacts which in turn compliments the existing social relationship. Moreover, a full-time intimate community that is connected via a mobile phone results in reshaping the social space. Lastly, the study shows that the usage pattern of a mobile phon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spac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envisaged to lead to more demand for the public space while facilitating the use of the public space.

  • PDF

박물관의 개념적 변화와 건축적 대응(3)

  • Kim, Yong-Seung
    • Korean Architects
    • /
    • no.6 s.398
    • /
    • pp.67-73
    • /
    • 2002
  • 20세기 중반에 들어서서 박물관이나 미술관들은 전시위주의 소극적 자세에서 탈피하여 일반대중을 끌어들이기 위한 적극적 자세를 취하면서 전시공간 이외의 서비스공간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박물관의 근본적 목적은 관람객과 전시품의 직접적 만남에 의해 성취된다는 의미에서 전시공간에 대한 고려는 기타 서비스공간에 대한 고려 이전에 우선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이런 의미에서 공공박물관에 있어서도 전시공간이 여전히 중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현대박물관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시공간구성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렇게 하는데 있어서 본 글에서는 이태리 디자이너인 가에 아울렌티의 작업에 관심을 갖고 그의 대표적인 작품인 오르세이 미술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면서 현대 박물관의 전시공간구성에 대한 방향을 정리하고자 한다.

  • PDF

A Design of Active Spatial-Operation-Trigger for supporting the Integrity of Meet-Spatial-Objects in a Spatial Layer (공간 레이어에서 상접한 공간 객체의 무결성 지원을 위한 능동적인 공간연산 트리거의 설계)

  • Ahn, Jun-Soon;Kim, Jae-Hong;Jung, Bo-Heung;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933-936
    • /
    • 2001
  • 공간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의미적 무결성을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실세계의 구경계 레이어에서 공간 객체인 구는 주위의 구들과 항상 접해 있어야만 하는 상접 (Meet)한 성질과 두개 이상의 다른 구가 동일한 이름을 가질 수 없는 성질을 가진다. 이 성질은 실세계에서 묵시적으로 인지되는 개념이다. 따라서 공간객체의 갱신으로 인해 레이어에 대한 묵시적인 개념이 위배될 경우 무결성 유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레이어에 대한 공간 객체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능동적 공간 연산 트리거를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레이어에 대한 무결성 제약조건이 위배될 때 수행되며, 동일 레이어에 대한 공간과 비공간 데이터 트리거로 나누어 수행되고, 다른 레이어에 대한 비공간 데이터 트리거를 수행하는 기법이다. 동일한 레이어에 대한 능동적 공간 연산 트리거는 공간객체인 공간 비공간 데이터에 대한 각각 또는 모두에 대한 갱신인지를 구분하여 공간 데이터에 대한 트리거 수행단계와 비공간 데이터에 대한 트리거의 수행단계로 나누어 수행 전략를 결정하여 수행되고, 마지막으로 다른 레이어에 대한 비공간 데이터에 대한 트리거를 수행한다. 능동적 공간 연산 트리거는 상접성을 유지해야 하는 공간 객체들의 의미적 무결성을 위해 각각의 공간과 비공간 데이터에 대하여 3 단계 수행으로 공간 객체에 대한 의미적 무결성 유지와 자동 보정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 PDF

Walking in the City and the Museumification of Urban Space: Daegu's Modern Street Tour as a Performative Space (도시 속 걷기와 도시 공간의 박물관화: 수행적 공간으로서 대구 근대골목투어)

  • Lee, Hees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8 no.5
    • /
    • pp.728-749
    • /
    • 2013
  • When it comes to museumification, it has often been approached in terms of false history, placelessness or simulacra. However,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bodily-spatial performance of walking in the city and the museumification of urban space. For this, first it reviews theoretical discussions of walking as a bodily-spatial performance. Then, in the case of Daegu's Modern Street Tour and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tour map, it looks at how the bodily performance of walking constructs the urban space of the tour as a museumified space. Finally, seeing the participants' blogs and other websites as another performative space, it examines how the bodily performance of walking reproduces the discourse and space of the tour in virtual space as well as in actual space. The study suggests the elusive assemblage of heterogeneous and multiple time-spaces immanent in urban spa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solute and linear order of time-space in museum sp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