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요구

Search Result 3,898,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 Study of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for Intelligent Urban Facilities (도시시설물 관리 지능화를 위한 도시공간정보플랫폼 구성에 관한 연구)

  • Na, Joon-Yeop;Kim, T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97-298
    • /
    • 2009
  • 지능화된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해서는 상하수도, 가스, 난방 등 지하시설물 및 교량, 도로 등 지상시설물에 대한 관리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상호운영성의 기반위에서 통합 운영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이 필요하다.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은 도시내 다양한 센서 단말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여 도시관리 및 정보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플랫폼을 구성하는 세부기능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도시공간정보 플랫폼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Decision of the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and Design of Fluorescent Luminaire based on Space Features of the Intelligents Building (인텔리전트 빌딩의 공간특성을 고려한 배경결정과 형광등가구 설계)

  • Lee, Jung-Wook;Kim, Hong-Bum;Han, Jong-Sung;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1a
    • /
    • pp.123-128
    • /
    • 2000
  • 공간의 효율적 조명시스템의 설계를 위해서는 그 공간의 물리적 조건들과 작업의 내용 등을 고려하여 표준적인 상황을 규정하고, 그 상황에서 가장 유용한 조명설계를 찾아내어 표준화해야 한다. 특히, 인텔리전트 빌딩에서는 OA도입으로 인한 VDT 작업환경, 취업인구의 고령화 등의 공간특성을 고려한 조명계획이 요구되며 이러한 조명계획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기구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인텔리전트 빌딩의 주요공간별 크기와 형태 및 특성을 조사하여 표준공간을 선정했고, 이를 반사판 설계에 반영하여 3가지 형태의 형광등기구를 설계, 분석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rtual School Using Server/Client Processing MUD Structure (서버/클라이언트 프로세싱 머드구조를 이용한 가상학교 설계 및 구현)

  • Im, Joong-Taek;Lee, Yon-Sik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1.04b
    • /
    • pp.789-792
    • /
    • 2001
  • 인터넷을 활용한 새로운 공간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가상공간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여 다양한 응용에의 발전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세계와 비슷한 가상공간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보다 서버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적은 서버/클라이언트 프로세싱 머드 구조를 이용하여 웹 상에서 가상학교를 설계 구현한다. 기존의 비동기적인 교육과 병행하여 가상공간 내에서의 동기적인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구현한 가상학교시스템은 웹 상에서 많은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접근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비용과 시간적 측면에서 효과적이며 가상공간 구축의 가능성과 활용성을 제시한다.

  • PDF

Design of Trajectory-based Index Structure and Query Processing Algorithm for Moving Object on Spatial Network (공간 네트워크상의 이동객체를 위한 궤적기반 색인구조 및 질의 처리 알고리즘의 설계)

  • Um Jungho;Chang Jaewoo;Yang Ja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121-123
    • /
    • 2005
  • 유클리디언(Euclidean)공간을 가정한 이동객체를 위한 색인구조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LBS(Location Based System) 및 텔레매틱스 응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도로 철도와 같은 공간 네트워크를 고려한 색인구조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 네트워크상에서 이동객체를 효율적으로 색인할 수 있는 궤적기반 색인구조를 설계한다. 이를 위해 공간 데이터와 시간 데이터를 분리하여 색인하고, 실세계에서 공간네트워크상의 이동객체에 대한 질의를 시공간+궤적 질의, k-최근접 질의, 시간+궤적 질의로 분류하고, 이를 위한 질의 처리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 PDF

Adaptive Web Cache Replacement Policy using Dynamic Distribution of Partitions in Proxy Server (동적 공간분배에 의한 적응형 웹캐시 대체정책)

  • 이수행;정진하;최상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643-645
    • /
    • 2001
  • 인터넷이라는 환경이 우리의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으면서, 급속히 늘어난 사용자들의 요구는 그 만큼 네트워크의 현저한 부하증가를 일으키고 네트워크의 성능저하를 유발하며 속도 면에서도 빠른 응답을 원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에 대한 하나의 대응책이, 프락시 서버를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절약하고 서버 측의 부하를 감소시키며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빠른 응답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프락시 서버는 제한된 캐시용량 때문에 새 개체를 위한 공간확보를 위해 기존 개체를 제거해야 하는데, 캐시의 성능을 최대화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캐시대체 정책이 필요하다. 기존의 대체정책이 캐시성능판단의 두 기준인 히트율(Hit Rate)과 바이트히트율(Byte Hit Rate)을 만족시키지 못하던지 흑은 불필요한 개체에 공간을 낭비하는 등 최대한치 공간활용을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캐시를 상위층과 하위충의 2단계로 나누어 운용하면서, 상위층은 분할된 여러개의 파티션으로 관리하여 히트율과 바이트율을 높게 유지하고 하위층은 상위의 각각의 파티션들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캐시공간을 제공함으로서 동적인 파티션공간분할 효과를 제공하는 프락시 서버의 캐시구조와 캐시대체정책을 제안한다.

  • PDF

성능위주의 배연설비를 위한 지하철 승강장 화재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 김용주;이동호;김종원;조정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25-231
    • /
    • 2001
  • 최근 인구 증대 및 도시 집중화에 따른 지상공간 부족의 대안 및 택지 이용도 효율 방안으로 지하공간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날로 증대되고 있는 지하공간에서의 문제점으로 설계 및 용도에 적합한 환기 시스템의 도입 및 운영의 미흡으로 공기질 악화 현상과 국민 보건상의 문제로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환기시스템은 일상적 공간환기는 물론 화재시의 배연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작동(일반 환기)과는 별도로 비정상 환경(화재시의 배연)에서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 설계 오류는 화재발생시 중대한 인명피해로 연결됨으로서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이미 미국, 일본, 노르웨이 등의 선진 외국에서는 지하공간의 최적환경 개선은 국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관점 하에 꾸준히 진행되어오고 있다. (1 3) 우리나라에서도 서울1기 지하철을 시작으로 교통난의 해소를 위하여 2005년까지 총연장 60km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지하공간의 공기질 개선 및 화재시의 배연설비의 최적화가 요구된다.(중략)

  • PDF

Future-oriented National and Urban Planning through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국토이용정보체계를 통한 미래지향적 국토공간계획)

  • 김용범;임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81-90
    • /
    • 2004
  • 국토이용정보체계는 국가에서 구축한 DB와 응용시스템, 지자체 보유 DB와 응용시스템은 물론, 이들을 활용하기 위한 연계시스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국토와 도시의 계획적 이용과 관리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과 관리의 대상이자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이며 지속가능한 이용이 보장되어야 하는 국토공간의 미래지향적 계획 방안에 대해 국토이용정보체계를 중심으로 연구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전략적 발전을 위한 공간계획의 이론, 핵심 기술 및 응용 시스템 개발측면에서의 향후 기술과 방법론의 발전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전략적 로드맵이 필요하다. 이를 중심으로 미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국토이용정보체계가 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식정보화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고 이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토이용정보체계를 미래지향적 공간계획의 핵심이 되며,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개선시키되, 수혜자가 업무 담당자는 물론 시민이 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Spatial Data Warehouse (효율적인 공간 데이타 웨어하우스에 관한 연구)

  • 이기영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3 no.4
    • /
    • pp.126-131
    • /
    • 1998
  • Spatial data warehouse, whose importance is being increased, is composed of huge amounts of historical spatial data for organizational decision making and it also allows users to obtain useful geospatial information through analyzing and summmarizing spatial data. In this paper, we survey effective spatial multidimensional model which is based on virtual scenario for spatial data warehouse modelling. Therefore, we describe spatial multidimensional analytical query which provide multiple analytical functions according tom user's requests.

  • PDF

The Mechanism of Spatial Data Processing for Restrictive Resource-Adaptive Form in Shared-nothing Spatial Database Cluster (비공유 공간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서 한정된 자원에 적합한 형태로의 공간데이터 처리 기법)

  • 유병섭;장용일;이충호;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142-144
    • /
    • 2003
  • 최근 모바일 장치의 발전과 보급으로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naigation system)과 같이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지도정보 서비스가 발전하였다. 모바일 장치는 자원이 한정되어 있고. 네트워크의 대역폭이 적기 때문에 크기가 크고 복잡한 벡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공유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서 한정된 자원에 적합한 형태로 공간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스케일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보여질 필요가 없는 피쳐들을 제거하고 스케일에 따라 보여지는 형태가 바뀌는 피쳐들에 대해 공간타입을 바꾸는 필터링을 통해 최적화된 지도 정보로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정보는 불필요한 정보가 감소되어 데이터의 크기가 작아지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구성된 정보는 주요 부분부터 단계적으로 클라이언트에 보냄으로써 클라이언트에 대한 응답시간이 빠르게 되며,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형태의 공간 정보를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부터 단계적으로 클라이언트에서 보여짐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공간정보를 보다 빠르게 얻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Metadata Standards and Compliance Testing for Commercial Distributions of Geo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의 민간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 및 적합성 테스트 방안)

  • Kwak, Eun-Young;Kim, Jae-Jung;Kwon, Ho-Yeol;Kwon, Wonil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0.04a
    • /
    • pp.1017-1019
    • /
    • 2010
  • 정보화 기술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가운데 지리공간정보의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시대로 접어 들면서 세상이 모든 것들이 위치를 가지게 된다. u-city, LBS, ITS 서비스 등 지리공간 데이터의 활용은 앞으로 무궁무진하게 커질 것이다. 이로 공간정보 유통시스템도 향후의 WEB 3.0기술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시대로 접어 들면서 공간정보의 민간 유통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의 민간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 및 적합성 테스트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