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연관

Search Result 81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서울대도시권 도시 간 공간적 연관성 분석)

  • Bai, Joon-Seok;Chang, Hoon;Kim, Jy-S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68-7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서울대도시권의 1990년 이후 공간구조 변화에 대하여 도시 간 공간적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서울대도시권을 포함하고 있는 서울시와 인천 및 경기도 도시들 간의 1990년에서 2005년에 이르는 15년의 통근 통학자 자료를 바탕으로 통근 통학비율과 Moran's I를 통하여 서울대도시권 내 도시들의 공간적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도시권 내에서 서울시의 인구는 경기지역으로 분산되고 있으며 외곽지역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서울대도시권의 교외화 확산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인접지역 간 매우 강한 공간적 연관성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는 서울대도시권 관리와 정책수립을 뒷받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tial Association Rule Discovery System for Spatial Data Analysis (공간 데이터 분석을 위한 공간 연관 규칙 탐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Ahn, Chan-Min;Lee, Yun-Seok;Park, Sang-Ho;Lee, Ju-H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1 s.39
    • /
    • pp.27-34
    • /
    • 2006
  • Recently, the study about the technology which effectively manage spatial information is actively conducted. For the effective knowledge inquiry, various extended data mining methods are applied in spatial data mining. However, former spatial association rule system appears the problem that does not reflect various non-spatial property along the inquiries because it searches the rule from the calculation among predicates. To resolve the problem, present study suggests the system that extends the inquiries using in spatial database, searches the association rule among non-spatial object property after setting the data based on space information. Especially, the model which is applicable to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is embodied. Embodied system with this method enables to search more useful spatial association rule in real life since it shows high migration property with extended spatial database and considers spatial property and various non-spatial property.

  • PDF

A Study on Strategy Direction for Promot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by Input-Output Analysis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공간정보산업의 특징 및 정책방향성에 대한 연구)

  • Lim, Si Yeong;Ahn, Jong Wook;Yi, Mi Soo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6
    • /
    • pp.69-76
    • /
    • 2012
  • In this study, we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by using input-output analysis. For this analysis, we classified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and reorganized the input-output table. And we derived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and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in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We confirmed that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has a small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and a great forward linkage effect. Based on these facts, we suggested the strategy direction as follows: 1) building the industrial eco-system, 2) managing both advance and applicability enhancement, 3) Establishing from a long-term point of view.

Analyzing the Location Decision of the Large-Scale Discount Store Using the Spatial Association Rules Mining (공간 연관규칙을 이용한 대형할인점의 입지 분석)

  • Lee Yong-Ik;Hong Sung-Eon;Kim Jung-Yup;Park Soo-H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3 s.114
    • /
    • pp.319-330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chieve an objectivity of site decision after extracting site decision factors on a large-scale discount store(LSDS) and utilize any hidden information using the association rules mining through huge database. To catch this objective, we collect a census, economic, and environmental dataset related with locating of LSDS. And then, we construct a spatial data on the research area. These data is used for the extraction of a spatial association rules. To verify whether the extracted rules are suitability or not, we use the sales of some LSDS. As the result of test, the more sales, the more factors of the extracted rules relate with the sales it coincides. Consequently, the spatial association rules mining is efficient method which support the ideal site decision of LSDS.

A study on the ergonomic design of the cockpit interior space (인간공학적인 조종실 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 이창민;김영준;이종선;박세권;유희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145-162
    • /
    • 1993
  • 조종실은 항공기-조종사 시스템에서 항공기와 조종사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유일한 공유영역으로서, 조종사의 인간성능 특성과 조종업무 특성의 체 계적 반영이 요구되어 진다. 인간공학적으로 설계된 조종실은 조종 편이성, 운용성 및 비행 안정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항공산업 육성의 초기 단계에 있는 국내 에서는 항공기 장비성능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조종실에 대한 인간 공학적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조종사의 인간요소특성에 적합한 조종실 공 간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기 위하여, -조종실 공간 설계요소의 체계적 추출 및 계층적 구조 설정 -공간 설계에 적용될 인체측정요소의 정의 및 계층적 구조 설정, -설계요 소의 특성 파악을 위한 설계요소간 연관관계 분석, -설계요소와 인간요소간의 연관 관계 분석, -기존 전투기, 훈련기의 설계 제원 현황 및 설계지침 파악, -한국인 인체 측정자료의 Data Base화, -인간공학적인 조종실 공간 설계제원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종실 공간 설계요소로는 143 항목이 정의 되었으며, 설계요소들 간의 연관관계 Matrix 분석을 통하여 선행/병행/후행 설계요소 및 설계요소의 중요도가 파악되었다. 조종실 공간 설계에 적용될 인간 측정요소로는 133개 항목이 정의 되었으며, 설계요소 와 인간요소간의 연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설계요소별로 고려되어질 인간요소를 분석 하였다. 또한 설계요소와 관련된 다른 설계요소, 인간요소 및 인체측정치, 설계지침을 종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인간공학적인 조종실 공간 설계제원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Spatial Patterns of Traffic Accidents using GIS and Spatial Data Mining Methods: A Case Study of Kangnam-gu, Seoul (GIS와 공간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교통사고의 공간적 패턴 분석 - 서울시 강남구를 사례로 -)

  • 이건학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3
    • /
    • pp.457-47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patterns of traffic accidents and to investigate spatial relations among neighboring spatial objects by applying GIS and spatial data mining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raffic accident data in Kangnam-gu, Seoul, as a case study. As a result, four clusters were emerged based on individual attributes of traffic accidents. Each cluster showed distinctive properties. In spatial associations between individual attributes of traffic accidents and neighboring spatial objects, there were many rules according to concept hierarchy and definition of spatial relations. Although all rules were not be interesting and significant, they could be a clue to investigate more.

Estimating Probability of Mode Choice at Regional Level by Considering Spatial Association of Departure Place (출발지 공간 연관성을 고려한 지역별 수단선택확률 추정 연구)

  • Eom, Jin-Ki;Park, Man-Sik;Heo, T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5
    • /
    • pp.656-662
    • /
    • 2009
  • In general, the analysis of travelers' mode choice behavior is accomplished by developing the utility functions which reflect individual's preference of mode choice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and trave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ology that takes the spatial effects of individuals' departure locations into account in the mode choice model. The statistical models considered here are spat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taking a spatial association parameter into account. We employed the Bayesian approach in order to obtain more reliable parameter estimates. The proposed methodology allows us to estimate mode shares by departure places even though the survey does not cover all areas.

Temporal Association Rule Mining on Electronic Commerce (전자상거래에 적용 가능한 시간 연관 규칙 탐사 기법)

  • 서성보;이준욱;김선철;류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370-372
    • /
    • 1999
  •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었지만 현재의 쇼핑몰은 단순한 상품 구매 역할과 정보 제공, 그리고 정적인 웹 공간의 관리로 이를 통해 인터넷 쇼핑몰 상품의 효율적인 진열, 상품 연관성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 고객관리와 웹 페이지간의 시간 연관성을 고려한 링크 정보 등과 같은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자상거래에 적용 가능한 시간 연관 규칙 탐사기법을 통해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품간의 시간 연관 규칙 탐사와, 웹 서버에서 수집된 웹로그 파일로부터 연관 규칙을 찾아내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이를 통해 생성된 규칙을 해석하여 사용자에 따른 웹 공간 구성, 방문 페이지 간의 연관성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과 효율적인 광고 전략 등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pplication of Bivariate Spatial Association for the Quantitative Marine Environment Pattern Analysis (정량적인 해양환경패턴 분석을 위한 이변량 공간연관성 적용)

  • Hwang, Hyo-Jung;Choi, Hyun-Woo;Kim, Tea-R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1
    • /
    • pp.155-166
    • /
    • 2008
  • The quantitative bivariate spatial pattern analysis was applied for the water quality and nutrients data of Masan Bay, and for this analysis Pearson's r as aspatial correlation measurement, Moran's I as spatial association measurement and L index as integration of aspatial and spatial measurement method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aspati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mplicated in L index, Pearson's r as well as Moran's I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respectively, and Pearson's r and Moran's I were combined with 9 types, and also quantile of L index value was used for each of those 9 types. Finally, these types were defined as 5 groups having not overlapped L index rang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result of L index groups, bivariate water quality and nutrients showed no aspatial correlation regardless of spatial association in February and July, but they showed aspatial correlation having clustered spatial pattern in May and November.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ing the guideline for the interpretation of aspatial correlation and spatial association using L index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marine environment pattern analysis using quantitative index for further study.

  • PDF

A Spatial Data Mining Method by Clustering Analysis (클러스터링 분석에 의한 공간데이터마이닝 방법)

  • 손은정;강인수;김태완;이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61-163
    • /
    • 1998
  • 지리정보시스템과 같이 방대한 양의 공간데이터를 다루는 응용시스템에서 공간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규칙적인 특성이나, 혹은 관심 있는 지식을 추출해내는 공간데이터마이닝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방법들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대표적인 방법이 클러스터링으로 이는 단지 기하학적인 거리에 기반을 둔 공간적인 집중성과 분포도를 찾는 데에만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공간데이터마이닝을 위해서는 공간클러스터가 형성된 원인을 분석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 클러스터링에서 얻어진 결과를 다른 공간적인 객체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공간적 집중성과 분포도를 유발하는 원인을 찾는 방법을 다룬다. 우선 몇 가지의 거리를 정의하는 것에 의해 클러스터와 공간객체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생성된 공간 클러스터가 다수의 공간객체에 영향을 받을 경우, 그 공간 클러스터를 각각 단위클러스터로 분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