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생산이론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19초

도시공간의 생산과 전유에 관한 연구 -서울 문래예술공단을 사례로-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Urban Space and Appropriation Activity: The Case of Mullae Art Village in Seoul)

  • 윤지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33-256
    • /
    • 2011
  • 본 논문은 현대 도시공간의 파편화와 소외현상에 대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이에 대한 주체적인 극복 방안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된 사회적 움직임의 공간적 맥락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는지를 이론적 배경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고 특히 Lefebvre의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구체적인 실천 방향을 고찰하도록 하겠다. Lefebvre의 공간생산이론에 대한 고찰과 함께, 본 논문은 실 세계에서의 공간적 맥락을 담보로 한 사회 구성원들의 움직임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서울 문래예술공단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문래동과 관련된 통계 자료 수집 및 예술인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그들이 행하는 공간적 움직임이 가지고 있는 소외 현상 극복의 실마리를 포착하는데 주력하였다.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본 지역문화콘텐츠의 창출 과정과 의미 : 칠곡군 영오리 사례 (Creation and Meaning of Local Cultural Contents through Maeul-mandeulgi : Case of Chilgok-gun Yeong ori)

  • 이재민
    • 지역과문화
    • /
    • 제7권1호
    • /
    • pp.1-26
    • /
    • 2020
  • 본 연구는 마을에서 전승되는 '천왕제'를 활용하여 마을만들기 사업을 진행하면서 나타나는 지역문화콘텐츠의 창출 과정을 분석하고, 이것이 함의하는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칠곡군 영오리를 사례로 하는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민들은 공동체 위기의 극복을 위해 마을만들기와 같은 사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으며, 기존 마을신앙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시도하면서 공간적 실천양상이 나타났다. 기존 전승되던 천왕제에 유희적 요소를 가미하여 '천왕제 축제'라는 새로운 지역문화콘텐츠를 창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마을정체성을 강화하였다. 이는 마을을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재생산되는 계기가 되었으나, 한편 지나친 물리적 팽창에 따른 주민소외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는 공간의 재현 양상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마을만들기 활동을 실천함에 따라 마을주민들은 소속감이 증대되고, 만족감이 제고되었으며, 이는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는 재현의 공간으로 생산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새로운 복합문화공간 유형으로서 자연융합형 공간의 개념 및 특성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nvergence Space as a New Type of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e Theory of Space Production)

  • 이재민
    • 글로벌문화콘텐츠
    • /
    • 제40호
    • /
    • pp.65-85
    • /
    • 2019
  • 한국사회에서 마을, 거리, 시장공간은 단순히 삶을 영위하거나, 생업을 위한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공간은 공간스토리텔링, 장소마케팅 등의 공간 기법이 적용되어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 창출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복합문화공간을 연구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단순히 '시설물'로 규정하고 있어 최근 새롭게 창출되는 복합문화공간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자연융합형 공간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중사례를 선정하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고찰하였다. 자연융합형 공간은 공간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문화정책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였으며, 주민들은 관광공간으로서 인식의 전환을 통해 공간의 실천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지역정체성을 발굴 또는 기존의 정체성을 강화하였으며, 다양한 콘텐츠의 융합을 통해 공간의 재현을 이루었다. 또한 공동체 의식 회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도시재생을 실천함으로써 재현의 공간으로 생산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Lefebvre의 공간이론에 근거한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의 가능성 탐색 - 임대아파트단지 차이공간 생산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Space-based Social Work Practice' based on Lefebvre's space theory - A Case Study on the Production of Differential Space in Permanent Rental Housing -)

  • 최명민;박향경;이현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4호
    • /
    • pp.99-125
    • /
    • 2017
  • 최근 공간에 대한 사회과학연구는 권력과 억압, 자원분배 등 권력관계 분석에 토대를 둔 사회적 공간 개념에 기초하여 공간에 작동하는 사회적 관계를 변화시키는 데에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인간을 둘러싼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사회복지에서는 정작 현대 공간학에 대한 이해를 담보하지 못하고 공간을 중성적이고 추상적인 차원에서 이해해 온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공간사회학자인 Lefebvre의 사회적 공간이론을 중심으로 이 시대의 공간담론을 정리하고, 그 내용에 근거하여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Space-based Social Work Practice)'의 개념정립을 시도하였으며, 실제 사회복지 현장사례를 통해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간기반 사회복지 실천이 대안적 방법론으로 가질 수 있는 함의를 논하고 그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글로벌생산체계에서 중국 동관(東莞)지역의 역할과 IT·전자산업클러스터의 발전

  • 이상빈
    • 한국과 국제사회
    • /
    • 제1권1호
    • /
    • pp.153-176
    • /
    • 2017
  • 중국 경제성장에 핵심적 역할을 해왔던 광동성(廣東省) 동관시(東?市)는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는 홍콩을 이용하여 줄곧 경제발전을 추구해 왔다. 1980년대 초반은 홍콩으로부터 가전산업 관련 중소 다국적 기업이 동관지역에 진출하여 생산 공장을 세우고, 그 후 1990년 중반에는 대만의 PC제조업체의 진출이 잇따르면서 현재 동관에는 정보통신산업과 PC부품 및 전자산업 중심으로 지역 산업클러스터가 발전해 왔다. 동관시 산업클러스터 사례는 개혁개방이후 중국 제조업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대에 해외직접투자와 아시아지역 후-후발산업국가에서의 지역경제의 성장 및 산업발전과정의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지역적 사례 중의 하나다. 본 연구는 광동성 동관시 지역산업클러스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론적으로는 지역산업발전의 내생적 성장요인 분석(NMID) 혹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의 외부적 연계성을 기초로 하는 산업의 지역적 분화(GPN)에 대한 이 두 관점을 상호 비교하고, 글로벌 생산체계에서 공간적으로 현재 동관시 지역이 가지고 있는 산업클러스터의 위치와 역할을 설명하였다. 또한 산업적인 측면에서 생산네트워크 접근틀과 제도적 역량이라는 이론적 관점을 활용하여 중국 동관시 지역산업과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대적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공간, 시간, 사회/자연의 상호관계성에 의한 지역이해 (Understanding of Region As an Interaction among Space, Time, and Society)

  • 박규택;이상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27
    • /
    • 1999
  • 본 연구는 역동적이고 포괄적으로 지역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수립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 공간, 시간, 사회/자연의 상호관계성에 대해서 논의를 하였다. 지역은 자연적 혹은 객관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물리적 공간에 기반을 둔 사회적 인식과 실천에 의해 (재)생산될 뿐만 아니라, 사회를 변화시키는 능동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관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공간, 시간, 사회/자연의 상호관계성이 수립되어야 한다. 특히, 공간과 사회의 관계에 관한 이론을 수립하려는 다양한 사회이론은 역사, 사회적 관점에서 공간과 시간의 관계 그러고 사회와 자연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전시키지 않았다. 공간, 시간, 사회/자연을 보다 중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공간과 시간의 규모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도시농업의 이론, 패러다임, 유형을 통한 공간연구 (A Study on the Space Forming through Urban Agricultural Theory, Paradigm and Typology)

  • 장동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01-513
    • /
    • 2017
  •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이론, 패러다임, 유형을 통해 개발현황을 분석하고 공간형태에 관한 적용빈도와 개발 키워드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분석결과, 첫째, 거리(Distance)에 의한 도시공간은 자가생산방식, 공동생산방식 그리고 국가 사회운영방식을 통한 공간형태의 디멘존(Dimension)이 결정된다. 둘째, 형태(Shape)에 의한 단지공간은 광활한 토지를 활용하기 위한 플랫형(Flat), 협소하고 환경의 질이 열약한 공간을 극복하기 위한 컴팩트형(Compact) 그리고 플랫과 컴팩트 사이에서의 유기적인 활용울 위한 융합형(Fusion of Flat Compact)을 통해 공간형태의 아이덴티티(Identity)가 결정된다. 셋째, 위치(Location)에 의한 건축과 실내공간은 지상공간, 옥상공간, 벽면공간, 베란다, 실내공간, 실내인프라 공간을 통해 공간형태의 유틸리티(Utility)가 결정된다. 도시농업의 공간형태에 대한 개념들은 유기적인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향후 진화를 통해 공간은 지속적으로 발전될 것이다. 도시농업의 공간형태는 다양한 융합과정을 통해 새로운 창조공간을 계속해서 만들어 나갈 것이며, 그것은 새로운 도시농업의 개발 트렌드가 될 것이다. 제도적 기준을 통해 계획된 도시농업은 최적의 생산환경과 도시경관 구축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또한 국가별 문화와 환경적 특성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화하는 공간은 다양한 형태로 도시농업이 진화하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측된다.

앙리 르페브르의 이론을 통한 고성구(古城區) 재생구축에 관한 연구 -오진(烏鎭)을 중심으로- (Relevant Study of Ancient Town Regeneration Construction Based on Theory of Henry Lefebvre -Focused on 'Wu Zhen Ancient Town'-)

  • 천원리;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88-397
    • /
    • 2018
  • 현대도시의 끊임없는 확장과 갱신에 따라 고성구(古城區)는 역사문화공간으로써 현대 도시확장으로 인해 받는 타격도 점점 커져갔다. 현재 고성구에 대한 재생보호는 좋은 효과를 거둔 것도 있으며 효과가 별로 좋지 않은 것도 있다. 본문은 이 배경에서 출발하여 '공간실천', '공간재현', '재현공간'을 프레임으로 3개의 재생 고성구 공간생산에서의 권한운영을 밝히고 이해관계자들이 공간조성에 끼치는 영향을 지적하며 재생방식의 구성분석을 진행할 것이다. 구체적인 물질, 사회, 권력, 문화의 각도에서 오진 고성구 재생구축의 방법을 분석하고, 고성구가 어떻게 재생보호를 진행할지에 대해 새로운 방법과 참고를 제공할 것이다. 고성구와 마을 등 역사문화지역 재생문제의 연구와 분석에 따라 정부는 명확하게 소유권문제와 계획자, 관리자를 지정해야 하며 지역문화와 현대문화의 융합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체적인 공간의 사람과 문화, 건축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고성구의 영향력을 높여야 한다.

담론과 자본으로서의 경관 - 도시 경관의 정치·경제적 해석을 위한 이론적 틀 - (Landscape as Materialized Discourse and Capital - Political Economic Interpretation of Urban Landscape -)

  • 박근현;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17-128
    • /
    • 2013
  • 본 연구는 신문화지리학, 공간 정치경제학, 조경학에서 논의되어 온 경관론들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재해석함으로써 도시 경관의 생성과 변화를 해석하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관 개념은 인간, 특히 부르주아적 주체를 자연과 분리하여 자연에 대한 시각적 전유를 이루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근대적 경관 개념을 수용한 오늘날의 조경은 경관을 실증 과학 혹은 예술의 대상으로 한정짓는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화된 담론'과 '물질화된 자본'으로서의 경관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경관 해석 이론을 제시하였다. 신문화지리학을 중심으로 한 경관의 사회 정치적 해석 논의들을 검토한 결과, 물질화된 담론으로서의 경관은 지배층의 시각을 담은 '보는 방식'이고, 탐험가나 예술가들을 통해 구현되는 제국주의적 시각이며, 남성적 관음적 '응시'이기도 하다. 경관의 경제적 측면에 주목하는 공간 정치경제학자들에 따르면, 경관의 생산은 자본주의 체제에서 잉여 가치 생산을 위한 필연적 국면이며, 소비 문화의 확산과 함께 경관자체가 소비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경관의 물질성과 이데올로기성을 변증법적으로 보아야 하며, 경관과 사회는 존재론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