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상세화

Search Result 18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mate Indices and Inflow on Multi-Purpose Dam Watersheds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 다목적댐 기후지수와 댐 유입량의 상관성 분석)

  • Kim, Jung Min;Park, Jin Hyeog;Jang, Suhyung;Kang, Hyun woong;Hwang, Man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08-408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기후의 시 공간적 변동성과 패턴의 이상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물 순환 특성의 변화는 이수, 치수, 환경 그리고 친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치수 및 이수 등 국내 수자원 관리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다목적댐 운영에서도 기후변화에 따른 유입량의 불확실성 증가로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대한 어려움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역 내의 수문학적 반응은 기상 및 지표 수문 인자의 물리적 상호메카니즘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강우, 기온, 습도, 바람 등 기상학적 인자들은 유역 내의 수문 변동성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인자이며, 이들 기상인자의 변동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기후지수(Climate Index, CI)는 지표수문인자인 유출과의 상관관계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AR5 RCP 시나리오 기반의 기상인자에 대한 기후지수(CI)를 산정하고 다목적댐 유입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유역의 기상 및 유입량 관측자료(1976-2005)는 기상청과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를 이용하였으며, AR5 RCP 시나리오 기반의 유입량 자료(2005-2099)는 통계적 기법(QDM)으로 상세화된 기상자료를 입력인자로 수문모형(PRMS)을 통해 산정하였다. 또한, 기후지수(CI)와 유출지수(Standardized Streamflow Index, SSI)의 상관성 분석을 위해 Pearson 적률상관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tudent t 검정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다목적댐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Rainfall Disaggregation according to Temporal Scale of Rainfall Data (강우자료의 시간해상도에 따른 강우 분해 성능 평가)

  • Lee, Jeonghoon;Jang, Juhyoung;Kim, Sangd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0 no.4
    • /
    • pp.345-352
    • /
    • 2018
  • In this study, rainfall data with various temporal scales (3-, 6-, 12-, 24-hr) are disaggregated into 1-hourly rainfall data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rainfall disaggregation technique. The rainfall disaggregation technique is based on a database generated by the stochastic point rainfall model, the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 (NSRPM). Performance evaluation is carried out using July rainfall data of Ulsan, Changwon, Busan and Milyang weather stations in Korea. As a result, the rainfall disaggregation technique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that can consider not only the major statistics of rainfall but also the spatial correlation. It also indirectly shows the uncertainty of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with daily temporal scale. The rainfall disaggregation technique is expected to disaggregate the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o be effective in the future watershed management.

Implementation of Spatial Downscaling Method Based on Gradient and Inverse Distance Squared (GIDS) for High-Resolutio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고해상도 수치예측자료 생산을 위한 경도-역거리 제곱법(GIDS) 기반의 공간 규모 상세화 기법 활용)

  • Yang, Ah-Ryeon;Oh, Su-Bin;Kim, Joowan;Lee, Seung-Woo;Kim, Chun-Ji;Park, Soohyun
    • Atmosphere
    • /
    • v.31 no.2
    • /
    • pp.185-198
    • /
    • 2021
  • In this study, we examined a spatial downscaling method based on Gradient and Inverse Distance Squared (GIDS) weighting to produce high-resolution grid data from a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over Korean Peninsula with complex terrain. The GIDS is a simple and effective geo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using horizontal distance gradients and an elevation. The predicted meteorological variables (e.g., temperature and 3-hr accumulated rainfall amount) from the Limited-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LENS; horizontal grid spacing of 3 km) are used for the GIDS to produce a higher horizontal resolution (1.5 km) data set. The obtained results were compared to those from the bilinear interpolation. The GIDS effectively produced high-resolution gridded data for temperature with the continuous spatial distribution and high dependence on topography. The results showed a better agreement with the observation by increasing a searching radius from 10 to 30 km. However, the GIDS showed relatively lower performance for the precipitation variable. Although the GIDS has a significant efficiency in producing a higher resolution gridded temperature data, it requires further study to be applied for rainfall events.

Institutionalized Images of Womanhood under the Orde Baru in Indonesia (여성다움의 제도화된 이미지: 인도네시아 신질서 체제하에서)

  • KIM, Ye Kyoum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7 no.2
    • /
    • pp.119-153
    • /
    • 2017
  • This paper examines the institutionalized images of Indonesian womanhood during the Orde Baru (New Order; 1966-1998). In doing so, it discusses these images as manifested in the Indonesian constitution, 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such as 'Dharma Wanita' and 'Pembinaan Kesejahteraan Keluarga' (PKK), school textbooks and 'Televisi Republik Indonesia' (TVRI) dramas. Under the post-1966 Orde Baru, certain images of womanhood were institutionaliz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state ideology of womanhood ('ibuism') which emphasizes women's roles in the domestic domain. These institutionalized images were propagated largely by 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Dharma Wanita' and 'PKK', and even transmitted through educational text-books and mess media such as TVRI. In conclusion, it also points out that since the mid-1990s, other 'discursive' and 'multi-faceted' contemporary images of womanhood have emerged through the mass media in Indonesian society. Consequently, images of Indonesian womanhood were somehow contested by 2000 and beyond. This paper is expected to develop a detailed discussion on the 'means' and 'contents' of the state ideology of womanhood. Therefore, this paper is expected to add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comprehending the institutionalized images of Indonesian womanhood during the Orde Baru regime.

Patent Keyword Analysis using Gamma Regression Model and Visualization

  • Jun, Sungha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8
    • /
    • pp.143-149
    • /
    • 2022
  • Since patent documents contain detailed resul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echnologies, many studies on various patent analysis methods for effective technology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In particular, research on quantitative patent analysis by statistics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The most used patent data in quantitative patent analysis is technology keywords. Most of the existing methods for analyzing the keyword data were models based on the Gaussian probability distribution with random variable on real space from negative infinity to positive infin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using gamma probability distribution to analyze the frequency data of patent keywords that can theoretically have values from zero to positive infinity. In addi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 gamma-based regression model, two-mode network is constructed to visualize the technological association between keywords. Practical patent data is collected and analyz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between the proposed method and the existing Gaussian-based analysis models.

Prospects of future changes o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in South-North Korea river basi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시나리오를 반영한 남북공유하천유역의 미래 수문특성 변화 전망)

  • Yeom, Woongsun;Park, Dong-Hyeok;Ahn,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66-26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남북공유하천유역의 미래 수문특성 변화를 전망하기 위해 ArcGIS 프로그램을 통해 산정된 격자형 수문특성 매개변수를 분포형 모형인 GRM에 적용하여 임진강유역의 미래 유출수문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포형 모형에 사용되는 강우량 자료는 기상관측소 단위로 상세화된 13개 전지구 기후 모델 중 RCP4.5, 8.5 시나리오의 공유하천유역 인접 11개 관측소별 빈도해석 결과를 시·공간적으로 분포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미래기간별 유출특성 변화추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참조기간(1981-2005), 21세기 전반기(F1, 2011-2040), 중반기(F2, 2041-2070), 후반기(F3, 2071-2100)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의 대상지점인 임진강유역은 기후변화로 인해 확률강우량이 증가하여 유역의 유출수문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RCP 4.5 시나리오에서는 21세기 후반기인 F3에 확률강우량 및 유출량의 증가추세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나, 참조기간 대비 F1에서 20.4%, F2에서 35.7%, F3에서 34.6%의 평균 유출량 증가율을 보였으며,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F1에서 19.9%, F2에서 38.3%, F3에서 67.8%로 지속적인 증가가 전망되었다. 또한 첨두홍수량 발생시각은 참조기간 대비 약 4.6~13.3% 감소가 예상되었다.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량의 변화는 재해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남한과 북한의 협력을 통한 유역통합관리의 필요성은 점차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수문학적 분석을 선행하여야 하며, 본 연구가 남북공유하천유역의 재해위험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nge analysis of future streamflow in South Korea using the HSPF model (HSPF 모형을 이용한 미래 남한 유출량 변화 분석)

  • Park, Jihoon;Cho, Jaepil;Jung, Imgook;Choi, Kyuhyun;Cho, Hyo 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96-39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남한의 유출량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상세화 작업을 수행한 13개의 GCM(global climate model)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미래 유출량을 추정하는 데 사용하였다. 미래 유출량을 생산하기 위해 앞에서 선정한 13개 GCM을 사용하여 수문기상자료를 구축하였다. 모의기간은 S0: reference period (1976-2005), S1: near future period (2011-2040), S2: mid-century period (2041-2070), S3: distance future period (2071-2100) 총 4개로 구분하였다. 공간적으로는 109개 중권역을 대상으로 HSPF 모형을 모의한 다음 최종적으로 남한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HSPF 모형의 매개변수 보검정은 장기간의 일별유량자료가 구축된 총 6개 댐 상류유역을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유출량은 기본적으로 강수량과 증발산량에 굉장히 영향을 받으며, 미래 수문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남한의 강수량과 증발산량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다만 강수량의 상대적인 변화가 증발산량의 변화보다 크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미래 유출량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미래 강수량은 미래 변동성이 굉장히 큰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미래 유출량의 변동성도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절적으로 살펴보면 여름과 가을의 미래 유출량이 증가하고 겨울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을과 겨울의 변동성이 매우 큰 특징을 보이며 미래 극한 홍수와 가뭄의 출현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남한의 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Visualization Method of High Definition Weather Radar Information for various GIS Platforms (다양한 GIS 플랫폼을 위한 고해상도 기상레이더 정보 시각화 기법)

  • Jang, Bong-Joo;Lim, Sanghun;Lee, Suk-Hwan;Moon, Kwang-Seok;Chandrasekar, V.;Kwon, Ki-Ryo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11
    • /
    • pp.1239-1249
    • /
    • 2013
  • According to development of weather radar, researches about observation, analysis or forecast of weather phenomena such as tornado, flash-flood etc. were encouraged by reducing frequency interferences, transmission noises, attenuations of radar signal. In contras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visualization and expression methods for weather radar data but weather radar manufacturers or the organs of government for weather are just busy interpreting expressed weather images projected on GIS. We propose an effective high definition weather radar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ble to apply various GIS platforms to observe and take actions against rapid local weather changes effectively. In this paper, first we change information acquired from weather radar to raster or vector type high definition data structures using specific algorithms. And then, we quadrate our processed raster/vector type weather data with various GIS platforms accurately to make observers can recognize and check weather situations over exact geographical positions and elevations intuitively.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at our method make observers can recognize and analyze weather changes, tornados, local downpours or flash floods accurately by analyzing high definition weather radar data combined with GIS platform including detailed target locations and elevations.

Insurance Coverage of Property Damage in Petrochemical Industry (석유화학공업 재물손해의 보험대책)

  • 이기형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11
    • /
    • pp.845-858
    • /
    • 1994
  • 1988년 이전에는 한국의 석유화학공장은 다른 나라에 비하여 관리상태나 손해상황이 양호한 공 장으로 여겨져 거의 안전도조사(underwriting survey)가 실시되지 않았으나 1989년 이후부터 보험사고가 급격히 증가, 보험금 지급이 많아져 위험조사를 실시한 후 보험을 인수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공업의 내용연수는 15년에서 20년으로 보고 있으며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에서도 건설한지 20년을 전후해서 사고가 다발한다는 점은 국내 석유화학공장의 안전성 확보대 책에서 중요한 점을 시사한다. 석유화학공업의 안전성 확보대책으로서 해외재보험자가 요구하고 있는 "경영전반적인 위험관리"를 도입 추진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기에는 사전적 손해 방지대책을 포함하는 위험통제는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사후적 대책인 위험재무도 경영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내공장의 사고빈발로 해외재보험자들이 재물손해의 자기부담금액(deductible)인상(business interuption)의 Time Excess연장(7일에서3 0일) 등의 보험조건을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의 사고 경험에 비추어 국내 플랜트의 내용연 수가 거의 다 되어서 사고발생위험이 잠재하고 있고 석유화학공업의 특성상 사고빈도는 낮으나 손해규모가 대규모이고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비율이 타산업에 비해 월등히 크다는 점 등에서 안전대책에 대한 경영자의 관심제고를 밑바탕으로 한 위험관리의 정착화, 안전기준 등의 국제 수준으로 향상 및 전문기술인력 확보를 통하여 사고발생 억제에 대하여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고 사료된다.안된다고 사료된다.작 원리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2차원 그래픽의 기능만으로도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그 다음 단계인 기본설계나 상세설계와의 자료 공유를 생각하면, 3차원 그래 픽이 필요하다. 다만, 3차원 그래픽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요구되는데, 현재 PHIG S와 x-window가 결합되어 PEX라는 라이브러리로 개발되고 있으므로 차후의 연구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이 글에서는 간단한 2차원 그래픽 기능만을 이용하였다. 앞으로 PEX의 기능을 적 절히 구사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279cm 되게 하고 선축은 팬톰의 27번 절편과 28번 절편의 접변과 최대 전단면의 교차선과 일치시켜 양방향에서 15분씩 조사하여 전단면에서 선량을 측정하였다. 팬톰내 선축상 중앙점의 선량을 기준으로 다른 부위의 선량을 비교하였다. 두경부와 복부, 폐의 하반에서 선량의 차이는 $\pm$ 10% 이내였고, 폐의 상반과 어깨와 골반 부위에서 선량은 10%이상 저선량을 보였다. 특히 어깨부위에는 30%이상 저선량을 보였다. 이로부터 서울대병원과 유사한 조건에서 코발트로 전신조사하는 경우에는 폐나 두경부에 대응하는 조직보상체를 이용하기보다는 어깨부위에 선량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한다.alpha$ 부분공간들의 합공간 역시 on-semistrbtifiable over $\alpha$ 하다. 6. 폐연속 net-cevering 함수에 의하여 cn-semistratifiable over $\alpha$ 성질이 보존된다. 보잘것이 없었고, 현재에도

  • PDF

Analysis of Areas Vulnerable to Urban Heat Island Using Hotspot Analysis - A Case Study in Jeonju City, Jeollabuk-do - (핫스팟 분석을 이용한 도시열섬 취약지 특성 분석 - 전주시를 대상으로 -)

  • Ko, Young-Joo;Cho, Ki-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8 no.5
    • /
    • pp.67-79
    • /
    • 2020
  • Plans to mitigate overheating in urban areas requires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city. The key information is the distribution of higher and lower temperatures (referred to as "hotspot" or "coldspot", respectively) in the ci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reas within Jeonju City that are suffering from increasing land surface temperatures (LST) and the factors linked to such this phenomenon. To identify the hot and cold spots, Local Moran's I and Getis-Ord Gi* were calculated for the LST based on 2017 images taken using the thermal band of the Landsat 8 satellite. Hotspot analysis revealed that hotspot regions, (the area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Land Surface Temperature) are located in the old town area and in industrial districts. To figure out the factors linked to the hotspot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taking into account environmental covariates including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land cover. The values of NDVI showed that it had the strongest effect on the lowering L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directions for urban thermal environment designing and policy development to mitigate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