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관리

Search Result 5,72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WEB기반의 환경GIS 자료구축과 검색에 관한 연구

  • 김창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1997.12a
    • /
    • pp.1-5
    • /
    • 1997
  • WEB기반의 환경GIS 자료관리를 위해 JVM(Java Virtual Machine), JDBC, Oracle을 이용한다 환경GIS자료에는 위성영상, 주제도, 일반 GIS자료 등이 있으며, 이 자료는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가지고 Server의 DB에 존재한다. 자료의 검색과 등록은 WEB Browser에서 조회용 지도를 이용하여 지도상 공간속성정보와 비공간속성정보에 의한 검색기능을 제공한다.

  • PDF

자연에서 찾은 건강_빛이랑 친구하자 - 빛을 디자인하는 사람 - 우리나라 최초 조명디자이너 고기영 사람에게 이로운 건강한 빛을 담다

  • Lee, Yun-Mi
    • 건강소식
    • /
    • v.35 no.2
    • /
    • pp.10-11
    • /
    • 2011
  • 제주 나인브릿지 골프장,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 남대문의 서울스퀘어, 충무로 대한극장 등. 이 공간의 공통점은 고기영 조명디자이너의 손길이 닿은 작품이라는 것이다. 밤이 낮보다 아름다운 공간을 수놓는 조명디자이너. 그녀가 생활하는 공간은 어떤 공간일까. 지난 1월 12일 한남동 '비츠로' 사무실에서 고기영 대표(48세)를 만났다.

  • PDF

Development of Suitability map for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빗물 저류 및 침투를 위한 적합도 개발 연구)

  • Kim, Young-Min;Kim, Ree-Ho;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03-1706
    • /
    • 2009
  • 빗물관리시설은 강우, 증발량 등 기상조건과 집수면의 토지이용 및 토양 특성에 영향을 받으므로 대상지역의 조건에 따라 설치가능 여부, 시설 규모 등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빗물관리시설의 계획 수립 시에는 대상지역의 기상, 지형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시설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분석 기능을 통해 대상 지역의 강우-유출특성, 지형 공간 특성을 고려하여 빗물관리 포텐셜을 분석하였다. 빗물관리 포텐셜은 저류시설을 통해 확보하거나 침투시설로 침투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을 말한다. 저류 포텐셜은 잠재 지표면 유출량(Runoff potential)으로 산정하였으며, 침투 포텐셜은 일반화된 Green-Ampt 모델에 따라 산정하였다. 산정한 저류 및 침투 포텐셜의 크기, 제약조건인 경사도 등급에 따라 빗물관리 적합도(Suitability map)을 도출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물리적 변수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인자, 빗물관리가 어려운 제약조건들을 추가로 고려한다면 빗물관리시설의 적지 선정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가입자시설 종합관리시스템(SIMS) 설계 및 구현)

  • Kim, Jang-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 no.2 s.2
    • /
    • pp.131-141
    • /
    • 1993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SIMS. SIMS provides not only the basic functions, such as input and output of outside plant maps and facility status statistics report, which are the major function of TOMS, but also can manage outside plant facilities and subscriber information integrately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large outside plant facility database and to increase the qualify of subscriber service. SIMS provides following functions: Work order generation for telephone installation; Automatic cable pair assignment; Cable tracing and unused pair management; Subscriber record management and statistics report generation; Subscriber address information management.

  • PDF

Development of the Metadata Editor for Managing the Underground Facilities on UFSN (UFSN 기반 지하시설물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편집기 개발)

  • Lee, Young-Kyun;Kim, Min-Suck;Kim, Gwang-Ho;Kim, 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27-231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연구가 활성화 되면서 GIS 분야에서도 USN을 연동한 실시간 GIS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GIS 분야 중 지하시설물은 그 중요성에 비해 관리 감독의 어려움에 의해 정량적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을 획기적으로 정밀하게 관리 감독할 수 있는 UFSN(Underground Facility Sensor Network) 기반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앞서 요구되는 지하시설물 관리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관리데이터를 구조화하는데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USN 메타데이터 표준과 국토해양부 3차원 공간정보 메타데이터 표준을 조합하여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로 분류하였고, 분류된 메타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메타데이터 편집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UFSN 기반 지하시설물 메타데이터는 개발된 편집도구에 의해 작성되어 실제 관리시스템에 적용될 예정이며, 향후 USN 기반 GIS 시스템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Architecture Design of Road and Facility Operation Management System for 3D Spatial Data Processing (3차원 공간데이터 처리를 위한 차로 및 시설물 운영 관리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연구)

  • KIM, Duck-Ho;KIM, Sung-Jin;LEE, Jung-Uc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4
    • /
    • pp.136-147
    • /
    • 2021
  • Autonomous driving-related technologies are developing step by step by applying the degree of driving. It is essential that operational management technology for roads where autonomous vehicles move should also develop in line with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However, in the case of road operation management, it is currently managed using only two-dimensional information, showing limitations in the systematic operation management of lane and facility information and maintenance.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construct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capable of 3D spatial information-based operation management by designing a convergence database that can process real-time big data with high-definition road map data. Through this study, when using a high-definition road map based operation management system for lane and facility maintenance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and manage facilities, edit and analyze data of multiple users, link various GIS S/W and efficiently process large scale of real-time data.

4D BIM based Workspace Planning Process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4D BIM 기반의 건설프로젝트 작업공간 계획 프로세스)

  • Choi, Byungjoo;Lee, Hyun-Soo;Park, Moonseo;Kim, Hyunsoo;Hwang, Sungj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5
    • /
    • pp.175-187
    • /
    • 2013
  • Each participant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requires their own workspace to execute their activities. In this environment, inappropriate workspace planning in construction site causes workspace conflicts which result in a loss of productivity, safety hazard and poor-quality issues. Therefore, workspace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and constraints have to be managed at construction site. However, current construction planning techniques such as Gantt chart, network diagram and critical path method have proven to be insufficient to workspace planning. This paper contains formalized process for workspace planning in 4D BIM environment to prevent workspace related problems in construction project. The proposed process in this paper represents workspace occupation status for each activity and suitable solutions for identified workspace conflicts by integrating workspace attributes and activity execution pla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oject manager will be able to prevent probable workspace conflicts and negative effect on project performance by devising appropriate workspace plan during preconstruction phase.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for Design and Planning of Route Unused Land (국도 유휴공간의 개발 계획을 위한 공간정보오픈플랫폼의 활용)

  • Lee, Dong Gook;Go, Jae Woong;Lee, Hyun J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3
    • /
    • pp.95-106
    • /
    • 2015
  • Unused land is a new load of building and a linear improvement, expanding the loss of function of the road abandoned road construction sites, as well as existing roads is possible additional advantage. However, some space is overcharge checkpoints, materials yard, make this vehicle utilization and maintenance of the unfavorable situation, as vehicle rest area but unused land most of the space required for the use of the system management plan. We are analyzed the location, topographical features, cultural property and in the space which is geospatail open platform set up to classify the type of unused land. Depending on the type of unused land using the geospatial open platform performs a 3D model and a proposed mode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environment and landscape. To derive the Gangwon development Plan and design of future route unused land was becoming helps you make better use of unused land.

Study on a Dynamic Collector for Distributed Spatial Databases (분산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동적 콜렉터)

  • 이재훈;박순영;정원일;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665-667
    • /
    • 2003
  • 분산된 공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 관리하고 공유하기 위하여 분산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분산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많은 변화가 있는 환경이기 때문에 최적화된 질의 플랜을 작성하기가 어렵고 또한 고비용의 공간 연산 비용을 고려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질의 실행 시간이 변화된 분산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고려하여 질의를 수행하며 공간 조인을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동적 콜렉터를 제안한다. 동적 콜렉터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으며 분산 공간 조인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Parallel Spatial Index Structure (병렬처리 공간자료구조연구)

  • Bang, Kapsa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9.11a
    • /
    • pp.775-776
    • /
    • 2009
  • 공간데이터를 관리하는 공간 index structure는 대부분 순차처리를 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많은 응용분야에서 방대한 양의 공간 데이터는 보조기억장치(예: disk)에 저장이 되어 사용이 되고 공간 index structure의 operation은 I/O에 대한 의존도가 크므로, I/O operation의 병렬처리는 공간 index structure의 질의반응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PR-tree라는 병렬형 공간 index structure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