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관리

Search Result 5,72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Research on Improving Quality Management for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 Focusing on pipe-type underground facilities - (지하공간통합지도 품질관리 개선방안 연구 - 관로형 지하시설물을 중심으로 -)

  • Bae, Sang-Keun;Kim, Sang-Min;Yoo, Eun-Jin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0 no.2
    • /
    • pp.221-235
    • /
    • 2020
  •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underground spaces are increasing as the use of land based on ground surface became limited due to rapid urbanization triggered by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Despite its merit of efficient use of limited land and space, it may contribute to occurrence of various disasters such as sinkholes and damage to underground facilities. After the sinkholes formed and occurred across the country in 2014, there has been an effort to establish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containing 15 types of underground information. Still,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underground information stemmed from continuation of such events including the rupture of the hot water pipe in Goyang-si and the fire in the KT site in Ahyeon-dong, Seoul. Hereby, with the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this study analyzes quality standards, regulations, and guidelines related to spatial data to improve quality inspection standards and methods included in the production rules for the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In particular, it suggests improvement plan for data quality management for pipe-type underground facilities, known as lifelines, which are essential part of daily life of the citizens, and the largest cause for accidents according to 15 types of underground information managed through the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Spatial Object-Relational Data Model in iSTORM (iSTORM에서의 공간 객체-관계 데이터 모델)

  • 박경현;남광우;박성희;류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24-26
    • /
    • 2000
  • 공간 데이터는 복합적인 속성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연산 또한 복합적이라는 점에서 일반 데이터와 다른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공간 데이터는 일반 속성 데이터와 구별되는 파일이나 별도의 저장 구조를 사용하여 관리되어야 한다. 이것은 비공간 데이터와 공간 데이터간의 상호 동기화 문제와 트랜잭션의 처리 등에서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단일 데이터베이스화하여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일화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지원하기 이한 공간 객체-관계 데이터 모델을 정의하고 이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타입 저장 방법들에 대해 기술한다.

  • PDF

A Space-Based Approach to Organizing Local Records Using CIDOC CRM: A Case of the Port of Busan (CIDOC-CRM을 이용한 지역기록의 공간 기반 구조화 - 부산항을 사례로 -)

  • Hyun, Moon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5 no.2
    • /
    • pp.83-101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pability of organizing local record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identified that space can be a useful context of records. Accordingly, it designed a records model on additional space entity. It attempted to organize five sample records based on the space of the port of Busan (Busanhang) using CIDOC CRM (6.0). In conclusion, it presented that a space entity provides relations across other entities. As such, it is possible to propose a defining space entity when designing records model that can support the understanding of records' contexts.

A Study on the Conceptual Frame for Spatial Study of Logistics Industry (물류산업의 공간연구를 위한 개념 체계에 관한 연구)

  • Sung, Sin-Je;Kang, Sang-Mo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6 no.1
    • /
    • pp.81-9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ystemize the spatial studies of logistics industry by arranging the partially scattered current studies on spatial studies of logistics industry overall. Logistics industry now builds a complex spatial organization which has been developed to the stages of independent optimization by materials management and physical distribution providing specialized logistics services,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including IT and management step by step. The complex spatial organization of logistics industry has been systematized with geographical space and virtual space, disintegration and integration, and intermediation and disintermediation. The three areas reported a dynamic characteristic overlapped in space. The dynamic characteristic has a dose relationship with interaction between IT and space of economic activities.

Acquisition of Watershed-based Pollution Source Information using Spatial Distributed Geo-Information (분포형 공간정보를 이용한 유역단위 오염원정보 구축)

  • Bae, Myoung-Soon;Ha, Sung-R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4
    • /
    • pp.215-223
    • /
    • 2006
  • The Total Maximum Daily Load(TMDL) Act just implemented as a new tool of watershed based water quality management, in Korea. Thus, there are a number of pending questions to resolve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TMDL. The allocation of pollution source is a exceedingly sensitive issue on local development planning. The simple area-based allocation (SAA) is conventional method to allocate the administrational pollution information to watershed based information. The SAA has a limitation that it can'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pollution source and it has caused more uncertainty of TMD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watershed-based pollution information using the spatial distribution-based allocation(SDA). In the specific area where pollution source is concentrated such as urbanized region, it has been certified that SDA could reduce a tolerance of pollution information dramatically. As a result of study, SDA is expected a effective tool for TMDL and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development and protection.

  • PDF

A Study on Creating and Managing "Makerspaces" in Libraries (도서관 무한창조공간 구축 및 운영모형 제안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1 no.1
    • /
    • pp.53-76
    • /
    • 2014
  • Combining makerspaces and library services is an innovative idea that could positively and radically change the library user experience. The Library Makerspace is able to offer users a different view of the world, and give them the opportunity to explore and imagine new possibilities which they can then creat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real-world makerspace examples to create suggests for utilizing this trend. The roles and concepts of library makerspaces deriv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space for infinite creativity as social communication space, study areas, job searches, self-publishing, idea incubation, collaboration, equipment and utilization, storytelling, expert mentoring and consulting, and so on. The possibilities are endless, and allow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library.

Design of Spatial Relationship for 3D Geometry Model (3차원 기하모델에 대한 공간 관계 연산 설계)

  • Yi Dong-Heon;Hong Sung-Eon;Park Soo-H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3 no.2 s.33
    • /
    • pp.119-128
    • /
    • 2005
  • Most spatial data handled in GIS is two-dimensional. These two-dimensional data is established by selecting 2D aspects form 3D, or by projecting 3D onto 2D space. During this conversion, without user's intention, data are abstracted and omitted. This unwanted data loss causes disadvantages such as restrictingof the range of data application and describing inaccurate real world. Recently, three dimensional data is getting wide interests and demands. One of the examplesis Database Management System which can store and manage three dimensional spatial data. However, this DBMS does not support spatial query which is the essence of the database management system. So, various studies are needed in this field. This research designs spatial relationship that is defined in space database standard using the three-dimension space model. The spatial data model, which is used in this research, is the one defined in OGC for GMS3, and designing tool is DE-9IM based on Point-Set Topology blow as the best method for topological operation.

  • PDF

Development of Forest Fire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CGIS를 이용한 산불 현황정보 검색시스템 개발)

  • 조명희;오정수;조윤원;백승렬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49-5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산불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효과적인 산불 현황정보 검색시스템을 개발하녀 산불 관리자에게 효율적인 공간분석 도구를 제공함으로서 산불에 관한 종합적인 공간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분석하여 속성을 갱신·추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간의 산불현황 통계자료를 이용한 전국 시·군단위의 공간분포도를 작성하여 전국 산불 발생현황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고 산불 발생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과의 상관성을 분석 가능하였다. 특히 최근 산불발생이 빈번한 삼척시의 지형도 및 임상도, 위성영상, 현지사진을 이용하여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서 산불 발생위험지역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플랫폼은 IBM호환 PC에서 Windows 98을 운영체 제로 하여 DBMS는 Access 2000을 이용하였고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객체지향언어인 Visual Basic 6.0과 GI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Component GIS인 MapObjects 2.0을 사용 하였다. 그 결과 산불관리자는 진화에 필요한 관리구역내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뿐만 아니라 산불방제사업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결정지원과 함께 실무자 중심의 산불관리행정을 도모하 고 산림자원관리비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것이다.

  • PDF

Application of Traffic Zone System in Seoul (The Case of Kangnam ASEM Block in Seoul) (교통특별관리구역의 적용방안 (강남ASEM 지역 중심으로))

  • 황기연;엄진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3
    • /
    • pp.17-27
    • /
    • 2000
  • 서울시는 선진 대도시와는 달리 노면교통이 도시고속도로 중심이 아니라 신호교차로와 좌회전이 많은 일반 간선도로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일부 구간에서의 정체는 공간적으로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도로교통체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통행량 유발이 집중되는 시설이 많이 위치한 강남과 도심의 일부구역의 정체는 강남과 도심 전체의 교통소통에 악영향을 주고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통zoning제도의 한 방식인 교통특별관리구역 제도의 도입을 통한 강력한 블록별 통행규제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에서 $\ulcorner$교통특별관리구역$\lrcorner$ 제도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아시아-유럽 정상회담 개최장소인 강남의 ASEM지구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그 적절한 시행방안을 사전적으로 검토하는데 있다. 본 연구결과 특별관리구역의 공간적 범위를 크게 하고 통과교통도 규제하는 것이 교통개선효과 측면에서는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간적 범위를 크게 할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혼잡유발에 책임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규제의 대상이 되는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공간적 범위를 혼잡유발시설 주변으로 축소하고 도착통행만을 규제할 경우에는 전이교통이 늘어나서 규제의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규제대상만 불편하게 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연구결과 나타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구역의 범위는 혼잡유발정도가 큰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블록 주변으로 한정하되, 교통개선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구역 내를 통과하는 교통도 규제의 대상이 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통과교통도 규제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구역을 범위를 설정할 때 구역 주변도로의 교통상황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icient Aggregate Information Management of Spatiotemporal Data in Spatial Data Warehouses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시공간 데이터의 효율적인 집계 정보 관리 기법)

  • Ryu, Ho-Sun;You, Byeong-Seob;Park, Soon-Young;Lee, Jae-Dong;Bae, Hae-Yo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5.05a
    • /
    • pp.43-46
    • /
    • 2005
  • 다차원 분석을 위한 OLAP 연산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빠르게 응답하기 위해 집계 값을 미리 계산하여 저장해 두는 사전 집계 방식을 이용한다. 시공간 데이터에 대한 사전 집계 기법으로는 R-트리의 각 노드에 대한 과거 집계 값을 요약 테이블로 관리하는 기법과 R-트리의 노드에서 현재 집계 값을 관리하는 기법이 있다. 그러나 이 기법들은 현재와 과거 모두의 집계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서는 성능이 저하되며, 특히 과거 집계 정보의 경우 시간에 따른 계층화가 되어있지 않아 시간에 대한 계층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 데이터의 현재와 과거 집계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aR-tree를 이용하여 해당 영역에 대한 현재 집계 정보를 저장하고, 각 노드에 과거 집계 정보에 대한 연결을 위하여 링크를 추가하였다. 과거 집계 정보는 각 노드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집계 정보를 계층 구조로 유지하는 시간 요약 집계 테이블을 만들어 저장한다. 따라서 제안한 기법은 현재와 과거 집계 정보를 모두 유지할 수 있으므로 현재와 과거 집계 정보에 대한 처리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안 기법에서는 공간 정보를 공간 인덱스인 R-트리로 유지하고, 과거로부터의 시간 정보를 시간 요약 집계 테이블을 이용하여 계층화시켜 유지하므로 시간과 공간에 대한 계층 분석이 용이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