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 재흡수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ti-arthritic Effects of Buthus martensi Karsch Herbal Acupuncture, Inhibiting Interleukin-1-induced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Human Chondrocytes (전갈 약침액의 인체연골세포에서 nitric oxide synthase의 interleukin-1 유도 유전형질 발현과 nitric oxide의 생산의 억제에 관한 연구)

  • Cho, Hyun-seok;Kim, Kap-s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0 no.1
    • /
    • pp.104-119
    • /
    • 2003
  • 목적 : 면역억제 작용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 전갈약침(BMK)의 IL-1으로 야기된 1차성 골관절염 인체 연골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골 기능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 골관절염 연골에서 채취된 인체 연골세포는 ID-1(2ng/ml)에 의해 처리되어졌으며, IL-1과 BMK($10{\mu}g/ml$)를 함께 처리한 연골세포와 비교하였다. 결과 : IL-1 단독처리된 연골세포에 비해 BMK가 함께 처리된 연골세포에서 연골세포의 손실과 퇴화의 중요한 요소인 NO의 생산량이 의미있게 저하되었다. IL-1단독으로 처리된 연골세포보다 IL-1과 BMK가 함께 처리된 연골세포에서 iNOS mRNA의 단백질 합성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전사인자로서의 NF-B의 활성화가 IL-1 단독으로 처리된 연골세포에 비하여 BMK가 함께 처리된 군에서 상대적으로 의미있게 억제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BMK가 인제 골관절염 연골에 있어서 NF-B 활성화에 의존한 IL-1 유도염증의 치료상에 효과적인 반응억제제임을 시사하며, 골 세포의 골 재흡수 활동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PDF

Healing Following Transplantation of Periodontitis-Affected Roots with Calcium Sulfate in the Extraction Socket (Calcium Sulfate가 성견 발치와내에서 치주질환이환 치근이식과 치조골 재생에 미치는 영향)

  • Chai, Jung- Kiu;Kim, Chong-Kwan;Cho, Kyoo- Sung;Moon, Ik-Sang;Kim, Jin;Han, Soo-Boo;Choi, Sang-Moo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6 no.3
    • /
    • pp.579-589
    • /
    • 1996
  • 이 연구의 목적은 치주질환에 이환된 성견의 치근을 활택술 후 발치와에 이식하였을 때 calcium sulfate 골이식이 치근흡수와 치근유착을 지연시키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성견의 제2, 제3 소구치 주위의 치조골을 제거하여 분지부를 노출시키고, 8주간 교정사를 결찰하여 실험적 만성치주염을 유발하였다. 치관을 제거하고, 치근을 반분하고, 활택한 후 발치하였다. 발치된 치근을 둘로 나누어 각각을 우측에는 calcium sulfate와 함께, 좌측에는 이식재 없이 이식하였다. 12주간의 치유 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대조군에서는 흠의 치관쪽으로 치근흡수와 치근유착이 일어났고, 실험군에서는 성견 결합조직과 calcium sulfate가 위치하였던 공간이 관찰 되었고 치근흡수는 지연되었다. 이 연구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치근 이식시 calcium sulfate 의 사용은 치조골로부터의 육아조직을 배제하고 치근흡수와 치근유착을 지연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두 이소플라본과 골조직의 대사(Bone turnover)

  • Kim, Seong-Ra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5 no.1
    • /
    • pp.16-26
    • /
    • 2002
  • 이 논문은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가 난소를 절제한 쥐의 골격 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투여량에 따라 조사한 것이다. 실험 초기에 암컷의 Wistar rats(7개월령; n=55)을 절제 후 봉합시킨 군(SH; n=14)과 난소절제군(OVX; n=41)으로 각각 구분하여 사육하고 80일 후에 각 5마리씩을 해부하여 난소절제로 인한 골손실 진행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후 난소절제 쥐(OVX)를 9마리씩 4그룹으로 나누고 대두 이소플라본(IF, 대두단백질이 없는 실험식이에 혼합하여 공급)을 각각 0, 20, 40, 80mg/ (kg body.d)씩 84일간 공급하였다. 동시에 SH rats에게도 이소플라본이 없는 실험식이를 섭취시켰으며 164일 후에 해부하였다. 예상했던 대로 골 무기질 밀도(대퇴골, 골간부위와 골간단부위) 및 골 표면적에 대한 다공성 골 면적의 비(대퇴골 원위부 골간단에서)가 OVX군이 SH군보다 낮았다(P<0.05). OVX군은 SH군보다 혈장 osteocalcine 농도가 높았으며 소변으로의 deoxypyridinoline 배설량이 많았다(P<0.05). 164일째 osteocalcine 과 deoxypyridinoline 농도는 OVX군에서보다 IF40 및 IF80군에서 더 낮았다(P<0.05). 그럼에도 불구하고 골 무기질 밀도와 다공성 골 면적이 OVX군에서보다 IF군들에서 더 낮아지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난소를 절제한 성숙한 쥐에게 대두 이소플라본을 매일 섭취시키는 것은 골격조직의 재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미 진행된 골감소증(osteophenia)을 회복시킬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Histologic findings of three-wall intrabony defects around dental implants using different grafting materials in beagle dogs (수종의 골이식재를 이용한 성견의 임플란트 주위 3면 골내낭의 조직학적 관찰)

  • Moon, Hee-Il;Moon, Sang-Kwon;Shim, Chang-sung;Shim, Jung-Sung;Lee, Yong-Keun;Cho, Kyu-S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3 no.3
    • /
    • pp.439-455
    • /
    • 2003
  • 연구목적 : SLA surface dental implant 주위의 3면 골내낭에서 xenogeneic demineralized bone matric putty, porous ${\beta}$-tri-calcium phosphate, 새로이 개발된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를 사용한 치료를 조직학적으로 비교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실험동물로는 15개월에서 18개월 사이의 12kg에서 15kg 정도되는 성견을 사용하였다. 20개의 SLA surface implant가 사용되었으며, 성견 하악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사용되었다. 임플란트 식립전에, 각각의 임플란트 근심면에 straight fissure bur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3면 골내앙(근원심 5mm ${\times}$협설 3mm ${\times}$깊이 3mm)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골 결손부에는 demineralized bone matrix putty, porous ${\beta}$-tri-calcium phosphate,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를 넣은 것을 각각 실험군으로, 이식재를 넣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8주 후에 실험 동물을 희생시키고 조직학적 관찰을 하였다. 결과 : 조직학적 소견상 임플란트 주위에 급성 염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은 매우 적은량의 신생골을, ${\beta}$-TCP을 이용한 골내낭에서는 약간의 기저부에서 유래된 신생골이 관찰된다. ${\beta}$-TCP granules 가운데로 상당량의 측면의 골에서 유래된 신생골 형성이 보인다. xenogeneic DBM putty에서는 많은 량의 신생골이 기저부에 형성된 것을 볼수 있으나 대조군과의 차이는 크지 않다. 이식재의 종류와 상관없이 흡수되지 않은 이식재를 임플란트 주위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골내낭 안의 이식재들은 모두 connective tissue로 둘러 싸여 있었다. 모든 실험군에서 이식재에서 기인한 신생골 형성과 임플란트 표면에 신생 골유착의 조직학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midronate-loaded PLGA Wafer for the Treatment of Bone Resorption (골 재흡수 치료를 위한 파미드로네이트를 함유한 이식형 생분해성 PLGA 웨이퍼의 제조와 특성결정)

  • 유제영;김상욱;강길선;성하수;정제교
    • Polymer(Korea)
    • /
    • v.26 no.5
    • /
    • pp.680-690
    • /
    • 2002
  • Implantable biodegradable wafers were prepared with pamidronate -loaded poly (L-lactide-co-glycolide) (PLGA, 75 : 25 mole ratio by lactide to glycolide, molecular weight : 20000 and 90000 g/mole) by direct compression method for the sustained release of pamidronate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the treatment of bone resorption. Pamidronate-loaded PLGA powders were prepared by means of physical mixing and spray drying with the control of formulation factors and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X-ray diffractometer. The pamidronate-loaded PLGA powders fabricated into wafers by direct compression under the constant pressure and time at room temperature. These wafers were also observed for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 release pattern, and degradation pattern. The release rate of pamidron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ir initial loading ratio as well as increasing wafer thickness. The molecular weight of PLGA affects the release pattern : the higher molecular weight of PLGA, the faster release rat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higher viscosity of high molecular PLGA solution at same concentration tends to aggregate PLGA and pamidronate resulting in unstable pharmaceutical dosage form. This system had advantages in terms of simplicity in design and obviousness of drug release rate and nay be useful as an implantable dosage form for the treatment of aural cholesteatoma.

Inhibitor activity of Ulmus davidiana Planch(UD) Herbal Acupuncture Solution on Cathepsin having bone resorption activity (유근피 약침액이 골재흡수 중 Cathepsin에 대한 억제 작용)

  • Kim, Geun-sam;Jo, Hyun-seog;Hwang, Min-seob;Kim, Kap-sung;Lee, Seung-deok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2 no.3
    • /
    • pp.1-12
    • /
    • 2005
  • It was clarified that ethanol extract herb-acupuncture solution (EE-UD) and hydrotherapy herb-acupuncture solution (WE-UD) in Ulmus davidiana Planch (Ulmaceae), are the excellent inhibitors of cathepsin K and L. WE-UD inhibited cathepsin K when IC50 value was 5.32 ${\square}g$/ml, and suppressed cathepsin L when IC50 value was 6.34 ${\square}g$/ml. However, EE-UD indicated the activity of inhibiting cathepsin K and L in the level of 1.45 ${\square}g$/ml and 2.43 ${\square}g$/ml, thus it showed more significance than WE-UD. It could be observed that EE-VD is an excellent inhibitor to cathepsin K with Ki value of 0.8 ${\square}g$/ml. This activity is increased by 10-fold even in the analytical experiment when having operations like glutathione in pH 7.0. Also, this supports the mixture of GSH thiolate anion, thus it was thought that this increase in effectiveness is probably attributable to the enhanced chemical function in the combinations of herb-acupuncture solution towards a place of activity in enzyme. WE-UD showed the time-dependent inhibiting property, thus it allowed to know the disunion and the compounding speed in constant cathepsin K during the process of experiment. Finally, EE-UD was proved to suppress the absorbent bone ash in the experiment related to osteoclast in rats for test, and to the bone in rodent. It was proved that WE-UD has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protease in cathepsin K and L, and in collagen of bon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progress of bone damage, which was induced due to cathepsin K. Also, it obtained the conclusion that it is effective to the reabsorption activity of bone in the bone marrow cells.

  • PDF

The influence of magnet on tissue healing after immediate implantation in fresh extraction sites in dogs (성견에서 발치 후 즉시 식립 임플란트에 설치한 자석이 주위 조직에 미치는 영향)

  • Yu, Seok-Min;Cho, In-Ho;Shin, Soo-Yeo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7 no.4
    • /
    • pp.435-444
    • /
    • 2009
  • Statement of problem: The clinical use of electric and electomagnetic fields for fracture healing applications began in the early 1970s. Since then, several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shown to promote healing of fractures. Developments of these devices have been aided in recent years by basic research and several well controlled clinical trials not only in the medical field but in dentistr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lveolar bone reduction following immediate implantation using implants onto which magnets were attached in fresh extracted sockets. Material and methods: Four mongrel dogs were involved. Full buccal and lingual mucoperiosteal flaps were elevated and third and fourth premolars of the mandible were removed. Implants with magnets and implants without magnets were installed in the fresh extracted sockets and after 3 months of healing the animals were sacrificed. The mandibles were dissected and each implant sites were sampled and processed for histological examination. Results: The marginal gaps that were present between the implant and walls of the sockets at the implantation stage disappeared in both groups as a result of bone fill and resorption of the bone crest. The buccal bone crests were located apical of its lingual counterparts. At the 12 week interval the mean of marginal bone resorption in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magnet group. The majority of specimens in magnet group presented early bone formation and less resorption of the buccal marginal bon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implants with magnets attached in the early stages of implantation may provide more favorable conditions for early bone formation and reduce resorption and remodeling of marginal bone.

Healing patterns after guided bone regeneration in human extraction sockets (인간의 발치와 내에서 골유도재생술 후의 치유양상)

  • Jang, Hyun-Seon;Yeom, Chang-Yeob;Park, Joo-Cheol;Kim, Su-Gwan;Kim, Heung-Joong;Kook, Joong-Ki;Kim, Chong-Kwan;Kim, Byung-Oc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4
    • /
    • pp.949-959
    • /
    • 2005
  • 이 연구는 임플란트를 식립하기를 원하는 전신건강상태가 양호하며 구강위생상태가 좋은 14명 환자(남자:8명, 여자:6명, 평균나이 : 44세)의 20개의 발치와 내에 흡수성 차폐막(BioMesh. Sam Yang Corporation, Korea)과 함께 탈회냉동 건조동종 골(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allografts, $250-500{\mu}m$. Pacific Coast Tissue Bank, U.S.A.)과 이종골(Bovine-Bone, Bio-Oss 0.25-1.0 mm, Geistlich, Biomaterials and Osteohealth, Switzerland)을 1:1(부피)로 혼합하여 이식한 후 그 치유양상을 관찰하고자 조직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직재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치한 후 1개윌이 경과된 후에 이식재와 차폐막을 위치시켰다. 표본제작을 위하여 이식술을 시행한 지 약 6개윌 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직전 식립부위에서 trephine bur로 골을 채취하였는데, 20증례 중 7증례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전에 차폐막이 노출되었다. 차폐막이 노출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노출된 것을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조직학적인 관찰을 위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탈회 표본을 제작하였고, alkaline phosphotase(ALP)틀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후 골 형성 상태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발치와내에서 골유도재생술 후 나타나는 치유 형태를 5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다. Type I, II와 III는 새로운 골 형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면역조직화학적 검사 시 ALP 음성 소견을 나타내었다. Type V는 새로운 골 형성과 ALP 양성 소견을 나타내었으나 염증, 괴사, 결합조직의 증식 등은 없었다. Type IV와 Type V의 차이는 결합조직의 증식여부로 구분되었다. 막이 노출되지않은 증례들 중 7 증례에서는 Type V의 치유 형태를, 2증례에서는 Type IV의 치유 형태를 나타내었다. 막이 노출되었던 증례에서는 Type I, II, III의 다양한 치유 형태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발치와 내에 골유도재생술을 시행한 후 차폐막의 노출 여부가 신생골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 분류한 치유 형태가 향후 골유도재생술 후의 결과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rhubarb extra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대황 추출물이 골수유래 대식세포의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 In-A C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23 no.4
    • /
    • pp.219-226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hubarb extra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Ms). Osteoclasts are vital for bone resorption and remodeling. Osteoclast dysregulation can contribute to various bone-related disorders that directly affect oral health. Rhubarb, a medicinal plant with anti-inflammatory properties, has been shown to modulate bone metabolism. Methods: BMMs were isolated from the femurs and tibias of 5-week-old C57BL/6 mice and cultured in the presence of mous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M-CSF) for 3 days. Subsequently, BMMs were treated with M-CSF and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 (RANKL) to induce osteoclast differentiation. Results: Rhubarb extract effectively suppress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BMMs. Furthermore, rhubarb extract inhibited the mRNA expression of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and cathepsin K (CTSK), which are essential for osteoclastogenesis. Moreover, it inhibited the RANKL-induced expression of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 c1 (NFATc1), a crucial transcription factor in osteoclast differenti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hubarb extract promotes oral health by inhibiting osteoclastogenesis in BMMs. Thus, rhubarb extract shows promise as a therapeutic agent for bone-related disorders that directly affect oral health, particularly those associated with abnormal osteoclast activity. Further research and exploration of the underlying mechanisms are warranted to fully understand their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서목태의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프럭토즈폴리머 레반의 보충에 의한 폐경 후 여성의 골질환 개선 효과

  • 강순아;김승현;장기효;장병일;임융호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36-437
    • /
    • 2004
  • 폐경기성 골다공증의 치료 방법인 에스트로겐 투여에 의한 위험성을 보완하기 위해 한약재 및 식품 등 천연물의 활성성분을 이용한 대체 요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이소플라본(isoflavone)계 식물성 에스트로겐을 함유한 기능성식품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콩과식물 중 isoflavone 함량뿐 아니라 배당체와 결합되지 않은 aglycone 함량이 높은 서목태(쥐눈이콩; 약콩)와 무기질 홉수 중진 효과를 지닌 프럭토즈폴리머(levan; beta-2,6 linked fructose polymer, ∼6,000,000 Da)를 폐경 후 여성들에게 공급하여 골형성 지표와 골흡수 지표의 변화, 혈중 칼슘 농도, 골대사를 살펴보고 골밀도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골다공증 예방제로서의 기능성물질의 효능을 살펴보고 신물질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중략)

  • PDF